사회적 담론을 통해 본 근대 한국인의 만주인식 레포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적 담론을 통해 본 근대 한국인의 만주인식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Ⅰ. 구한말의 만주 인식

(1) 역사적 고토로서의 만주
(2) 간도 영토론과 근대적 영토관

Ⅱ. 식민지 초기의 만주 인식

(1) 만주와 단군강역론
(2) 독립운동의 근거지 만주와 만주 식민지론

Ⅲ. 만주국 시기의 만주 인식

(1) 오족협화와 재만 자치론
(2) 입신출세의 땅으로서의 만주

맺음말

본문내용

세와 입신양명에 있었다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점은 고토 의식과 독립운동의 중심지라는 기존의 만주 인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제3의 만주관으로 보인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만주 인식은 비록 해방 이후 민족정체성과 이념 확립이라는 미명 아래서 배제되고 마모되는 망각의 과정을 겪었지만, 이 시기 만주에서의 경험은 후일 현대 한국에 산업화과정에도 영향을 끼친 분명한 근대사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이것을 복원하는 것은 현대를 거치며 한국인의 망실된 근대 한국인의 만주 인식을 되살리는 의의를 가지는 것이다.
맺음말
지금까지 근대 한국인의 만주 인식에 대해서 구한말과 식민지 초기, 만주국 시기의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구한말의 만주 인식은 병자호란 이후 생성된 만주에 대한 고토의식을 살펴보는 것부터 거슬러 올라갔다. 만주족에 대한 이적관과 조선을 중화 문명의 계승자로 생각하는 조선 중화 의식이 결부되면서 생겨난 고토의식은 후대의 만주 인식의 전반을 관통하는 핵심적 인식구조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 위에서 구한말에 등장한 간도 영토론은 백두산 정계비의 해석을 둘러싼 한-청 간의 국경선 분쟁이었다. 간도 영토론의 전개 과정을 통해 한국이 거점 중심의 전근대적 영토관으로부터 탈피하고 국제법과 영토주권의 상관관계에 대해 인식하였으며, 사회진화론과 제국주의적 영토관의 영향을 받은 근대적 영토관을 확립해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식민지 초기의 만주 인식에서는 만주를 단군의 발상지로 보는 단군강역론이 등장하였다. 글에서는 이 같은 논거를 주장했던 신채호와 최남선의 인식을 쫓아가면서 한민족의 생존과 독립을 실증해 줄 수 있는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만주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기반 위에서 당대 한국인들은 만주 지역을 국권침탈의 현실을 극복하고 민족 독립의 열망을 실현할 근거지로써 생각하며 만주로 대거 이주하였는데, 이것은 비슷한 시기에 나타난 만주식민지론으로 표현되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만주가 항일 독립운동을 상징하는 지역으로 확립되게 만든 주요한 원인이었다.
마지막으로 만주국 시기의 만주 인식에서는 만주국 성립 이후 등장한 오족 협화론과 재만 자치론에 대해서 다루어보았다. 이를 통해 일제의 만주 지배를 합리화하기 위한 정치적 선전이었던 오족협화가 조선인들에게는 신분 상승의 기회로 느껴진 점을 알아보았고, 만주의 조선인들이 이에 호응하여 만주 지역의 행정과 자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독립운동과 친일이라고 하는 국가적 · 민족적 만주 인식에서 벗어나 출세와 입신양명이라는 동기를 통해 당대의 만주 인식을 해석해보려는 시도였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민족 정체성과 이념 확립이라는 명목하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했던 또 하나의 만주 인식에 대해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본문을 전개해 가면서 만주와 연관된 당시의 사회적 담론들이 당대인들의 만주 인식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시기별로 만주에 대한 담론과 인식은 차이가 있었지만, 큰 틀에서 볼 때 근대 한국인의 만주 인식에는 모두 당대의 시대적 요구가 사회적 결핍이 투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각 시기의 만주 인식을 하나의 통일된 맥락으로 해석해내는데 미진하였으며, 만주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인식의 근거로 제시되었던 인물들과 그들의 발언 등을 계급이나 입장에 따라 그 성격을 나누어 분류하지 못했다는 점은 한계였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현규환, 1967, 『한국유이민사(韓國流移民史)』 상(上), 어문각.
손춘일, 1999, 『만주국의 재만한인에 대한 토지정책연구』 백산자료원.
김경일, 윤휘탁, 이동진, 임성모, 2004,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20세기 전반 만주의 조선인』, 역사비평사.
김재용, 이해영, 2015, 『기억과 재현:만주국 붕괴 이후의 동아시아 문학』,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총서 8.
김춘선, 2018, 『재중 한인 이주사 연구: 재중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총서 1』, 한국학술정보.
이명종, 2018, 『근대 한국인의 만주 인식』, 한양대학교출판부.
논문
이동환, 1983, 「북여요선(北輿要選) 찰계공문고(察界公文攷) 국역」, 『영토문제연구』1, 민족문화연구원.
김문식, 1993, 「성해응의 (成海應) 경학관과 (經學觀) 대중국 인식」, 『한국학보』, 19(1).
백동현, 2005, 「한말 민족의식과 영토관」. 『한국사연구』, 129,
하원호, 2006, 「개화기 조선의 간도인식과 정책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14.
김도형, 2008, 「한말·일제하 한국인의 만주 인식」, 『동방학지』, 144.
신주백, 2008, 분단과 만주의 기억, 『만주, 동아시아 융합의 공간』, 소명출판.
고승희, 2009, 「1880년대 조 청 감계 협상과 국경 문제 인식」, 『근대 변경의 형성과 변경민의 삶』, 동북아역사재단, 122.
이화자, 2009, 「18·19세기 조선의 토문강 분계강 인식」, 『근대 변경의 형성과 변경민의 삶』 동북아역사재단.
김현철, 2011, 「한말 조선의 대외관과 영토 인식」, 『만주연구』 12, 104쪽.
박찬승, 2013,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동아시아문화연구』, 55.
한홍화, 2014, 「일제말기 소설에 나타난 만주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명종, 2015, 「1910·1920년대 조선 지식인들의 만주=단군강역 담론」, 『한국근현대사연구』 74.
김동노, 2017, 「만주에서 한강으로 : 식민주의 개발체제의 전이」, 『한국사회학』, 51(2).
이동진, 2019, 「방법론적 지역주의’와 만주연구의 과제 - ‘만주국’ 이민 연구의 동향을 중심으로 -」, 『만주연구』, 28.
간행물
《동아일보》
《조선일보》
《뎨국신문》
《매일신문》
사료
『국역 석주유고』
『숙종실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웹사이트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https://nl.go.kr/newspaper/sub0101.do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1.04.27
  • 저작시기2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8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