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목적 --------------------------------------------- 2
2. 문헌고찰 --------------------------------------------------------- 2
1. 정의
2.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7. 경과&합병증8. 예방 및 식이조절
Ⅱ. 사례연구기간 및 방법 ------------------------------------- 8
Ⅲ. 간호과정 적용
1. 간호사정 ------------------------------------------------- 8
2. 간호과정 적용 ------------------------------------------------- 20
Ⅳ. 핵심기본간호술 성취수준 평가표 기록 ---------- 27
Ⅴ. 결론 및 실습소감 --------------------------------------- 28
1. 연구의 필요성/목적 --------------------------------------------- 2
2. 문헌고찰 --------------------------------------------------------- 2
1. 정의
2.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
6. 치료
7. 경과&합병증8. 예방 및 식이조절
Ⅱ. 사례연구기간 및 방법 ------------------------------------- 8
Ⅲ. 간호과정 적용
1. 간호사정 ------------------------------------------------- 8
2. 간호과정 적용 ------------------------------------------------- 20
Ⅳ. 핵심기본간호술 성취수준 평가표 기록 ---------- 27
Ⅴ. 결론 및 실습소감 --------------------------------------- 28
본문내용
, 중심정맥관, L-tube, 기관절개관 유지중
3
간호진단 #1: 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가래 빼줘”(손바닥에 작성)
“숨쉬기가 힘들어” (손바닥에 작성)
숨을 쉴때마다 그르렁 거리는 소리 관찰됨
CT결과 폐렴이 관찰됨
기관절개관으로 계속 흡인하는 모습이 관찰됨
호흡수가 불규칙하고 호흡 깊이는 깊음
내원 3일 전부터 기침, 객담 심해져 호흡곤란 주호소로 내원함
진해거담제 투여 중
가래를 빼달라고 한시간에 1~2번씩은 간호사 선생님을 찾음
간호목표
단기목표:객담으로 인해 불폄감을 호소하는 것이 하루에 10회 이하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객담이 사라지고 편안한 상태를 나타낼 것이다.
간호계획
호흡의 깊이, 기침, 가래의 특징 등의 호흡 양상을 사정한다.
2. 가래가 배출되지 않아 호흡이 힘들때에는 간호사를 부르도록 교육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4. 신체상부를 올리고 체위변경을 자주 수행한다.
5. 기관절개관을 하고 있으므로 말을 하 지 않고 숨을 쉬도록 교육한다.
6. 객담으로 인해 호흡이 힘들어 산소포 화도가 낮아지면 비강캐뉼라로 산소를 공급한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적용하기 위해 객담과 관련된 정보를 사정해야 한다.
기관 절개관으로 인해 기침이 힘든 상 태이므로 객담으로 인해 숨이 막힐 때 에는 간호사를 통해 흡인하여 호흡을 돕도록 한다.
처방된 약물은 객담의 양을 줄이고 객담을 묽게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도와준다.
신체상부를 올리면 폐가 확장되어 숨쉬기가 편해지고가래의 이동과 배출을 통해 기도청결이 유지된다.
기관절개관을 적용중에 말을 하게되면 절개관을 통해 객담이 나와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말은 가급적 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객담으로 인해 산소포화도가 낮아지면 비강을 산소를 즉시 공급하여 저산소혈증을 예방한다.
간호수행
1. 호흡의 깊이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V/S을 측정했다
날짜/시간
BP(mmHg)
P(회/min)
RR(회/min)
BT(℃)
SPO2
8/14 7:00
158/73 mmHg
70회 /min
18회 /min
37.5 ℃
96%
8/14 15:00
157/72 mmHg
83회 /min
18회 /min
37.6 ℃
99%
8/15 7:00
143/75 mmHg
79회 /min
13회 /min
37.5 ℃
95%
8/15 15:00
135/70 mmHg
69회 /min
14회 /min
37.3 ℃
97%
2. 가래가 배출되지 않아 호흡이 힘들때에는 간호사를 부르도록 교육하였다. - 말을 할수 없으므로 박수를 치거나 난간을 쳐서 간호사를 부르도록 하고 상태를 살핀 뒤 흡인을 해주었다.
3. 의사에 처방에 따라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 8/14 Nasea 0.3mg IV - 8/15 Nasea 0.3mg IV
4. 대상자의 침대를 올려주어 좌위나 반좌위를 취하게 하였고 힘들면 앙와위로 쉴수 있게 하였다. 대상자가 반좌위를 요구하기도 하였다.
5. 기관절개관을 하고 있으므로 말을 하지 않고 숨을 쉬도록 입으로 말을 하려고 할 때마다 객담이 절개관으로 나온다는 것을 말하고 손으로 글씨를 쓰게하는 비언어 적인 방법을 사용도록 하였다.
6. 객담으로 인해 호흡이 힘들어 산소포화도가 낮아지면 처방에 따라 비강캐뉼라로 산소를 공급하였다 - 8.13 : O2 2L - 8.14 : O2 2L - 8.15 : O2 2L
간호평가
- 대상자는 객담으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는 횟수가 하루에 10회로 줄어들었다. (미달성)
- 대상자는 객담으로 인한 불편감은 전보다 감소 했지만 객담이 사라지지는 않았고 아직도 살짝 불편감을 호소하며 편안한 상태를 나타내지는 않았다.(미달성)
간호진단 #2: 신체기능 약화와 관련된 절망감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지금 내가 힘을 내어봐서 뭐하겠어(라고 쓰인 종이를 줌)
너무 힘들다고 계속 손바닥에 써서 말하심
인생이 너무 서글프다고 손바닥에 써서 보여주심
나 살 수 있어? 라고 물어보는 모습 관찰됨
8/13일 수술가기전 울면서 불안해 하는 모습 관찰됨
계속 한숨을 쉬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목표
단기목표:대상자는 3일이내에 불안증상을 나타내는 말이 20회 이하로 줄어든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전동시까지 불안이 사라져 순조롭게 치료를 수용할 수 있다.
간호계획
불안의 징후와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환자가 수술과 처치로 인해 불안해 할 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절망적인 감정을 완화시키기 위해 옆에 있어주며 대상자와 대화를 통해 지지체계를 형성한다.
면회시간에 방문한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상태를 알려주고 불안함과 절망감에 대해 지지해줄수 있도록 한다.
불안의 정도와 징후를 정확히 사정해야 대상자의 불안완화간호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8/13일 OP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막연한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의 치료 이해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긴장감과 불안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대화를 통해 라포를 형성하고 지지체계가 되어준다.
보호자를 통해 대상자가 불안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고, 격려와 정서적 지지를 통해 불안이 감소 되도록 한다.
간호수행
불안의 징후와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고 자신의 상태가 점점 나빠지는 것만 같고 너무 오랜 입원기간(한달)이 절망감의 원인임을 파악하였다. - 주변에 누군가가 있어주길 원하시므로 가능한한 옆에 있어드리며 대상자의 말에 반응해 주었다.
환자가 8/13일에 있었던 오른쪽 무릎 이식장치제거술로인해 불안해 할 때 이수술이 보통 얼마나 걸리는지, 하고있던 장치를 빼고 나오기만 하면 되는 수술이라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 울고계시는 대상자의 손을 잡아주며 불안해하는 감정을 나누며 지지해주었다.
대상자의 절망적인 감정을 완화시키기 위해 옆에 있어주며 대상자와 대화를 통해 지지체계를 형성하였다. - 대상자가 손으로 글을쓰면 같이 따라 읽고 말에 대해 반응을 해주었다. 이제 죽을 때가
3
간호진단 #1: 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가래 빼줘”(손바닥에 작성)
“숨쉬기가 힘들어” (손바닥에 작성)
숨을 쉴때마다 그르렁 거리는 소리 관찰됨
CT결과 폐렴이 관찰됨
기관절개관으로 계속 흡인하는 모습이 관찰됨
호흡수가 불규칙하고 호흡 깊이는 깊음
내원 3일 전부터 기침, 객담 심해져 호흡곤란 주호소로 내원함
진해거담제 투여 중
가래를 빼달라고 한시간에 1~2번씩은 간호사 선생님을 찾음
간호목표
단기목표:객담으로 인해 불폄감을 호소하는 것이 하루에 10회 이하로 감소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객담이 사라지고 편안한 상태를 나타낼 것이다.
간호계획
호흡의 깊이, 기침, 가래의 특징 등의 호흡 양상을 사정한다.
2. 가래가 배출되지 않아 호흡이 힘들때에는 간호사를 부르도록 교육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4. 신체상부를 올리고 체위변경을 자주 수행한다.
5. 기관절개관을 하고 있으므로 말을 하 지 않고 숨을 쉬도록 교육한다.
6. 객담으로 인해 호흡이 힘들어 산소포 화도가 낮아지면 비강캐뉼라로 산소를 공급한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적용하기 위해 객담과 관련된 정보를 사정해야 한다.
기관 절개관으로 인해 기침이 힘든 상 태이므로 객담으로 인해 숨이 막힐 때 에는 간호사를 통해 흡인하여 호흡을 돕도록 한다.
처방된 약물은 객담의 양을 줄이고 객담을 묽게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도와준다.
신체상부를 올리면 폐가 확장되어 숨쉬기가 편해지고가래의 이동과 배출을 통해 기도청결이 유지된다.
기관절개관을 적용중에 말을 하게되면 절개관을 통해 객담이 나와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말은 가급적 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객담으로 인해 산소포화도가 낮아지면 비강을 산소를 즉시 공급하여 저산소혈증을 예방한다.
간호수행
1. 호흡의 깊이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V/S을 측정했다
날짜/시간
BP(mmHg)
P(회/min)
RR(회/min)
BT(℃)
SPO2
8/14 7:00
158/73 mmHg
70회 /min
18회 /min
37.5 ℃
96%
8/14 15:00
157/72 mmHg
83회 /min
18회 /min
37.6 ℃
99%
8/15 7:00
143/75 mmHg
79회 /min
13회 /min
37.5 ℃
95%
8/15 15:00
135/70 mmHg
69회 /min
14회 /min
37.3 ℃
97%
2. 가래가 배출되지 않아 호흡이 힘들때에는 간호사를 부르도록 교육하였다. - 말을 할수 없으므로 박수를 치거나 난간을 쳐서 간호사를 부르도록 하고 상태를 살핀 뒤 흡인을 해주었다.
3. 의사에 처방에 따라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 8/14 Nasea 0.3mg IV - 8/15 Nasea 0.3mg IV
4. 대상자의 침대를 올려주어 좌위나 반좌위를 취하게 하였고 힘들면 앙와위로 쉴수 있게 하였다. 대상자가 반좌위를 요구하기도 하였다.
5. 기관절개관을 하고 있으므로 말을 하지 않고 숨을 쉬도록 입으로 말을 하려고 할 때마다 객담이 절개관으로 나온다는 것을 말하고 손으로 글씨를 쓰게하는 비언어 적인 방법을 사용도록 하였다.
6. 객담으로 인해 호흡이 힘들어 산소포화도가 낮아지면 처방에 따라 비강캐뉼라로 산소를 공급하였다 - 8.13 : O2 2L - 8.14 : O2 2L - 8.15 : O2 2L
간호평가
- 대상자는 객담으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는 횟수가 하루에 10회로 줄어들었다. (미달성)
- 대상자는 객담으로 인한 불편감은 전보다 감소 했지만 객담이 사라지지는 않았고 아직도 살짝 불편감을 호소하며 편안한 상태를 나타내지는 않았다.(미달성)
간호진단 #2: 신체기능 약화와 관련된 절망감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지금 내가 힘을 내어봐서 뭐하겠어(라고 쓰인 종이를 줌)
너무 힘들다고 계속 손바닥에 써서 말하심
인생이 너무 서글프다고 손바닥에 써서 보여주심
나 살 수 있어? 라고 물어보는 모습 관찰됨
8/13일 수술가기전 울면서 불안해 하는 모습 관찰됨
계속 한숨을 쉬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목표
단기목표:대상자는 3일이내에 불안증상을 나타내는 말이 20회 이하로 줄어든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전동시까지 불안이 사라져 순조롭게 치료를 수용할 수 있다.
간호계획
불안의 징후와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환자가 수술과 처치로 인해 불안해 할 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절망적인 감정을 완화시키기 위해 옆에 있어주며 대상자와 대화를 통해 지지체계를 형성한다.
면회시간에 방문한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상태를 알려주고 불안함과 절망감에 대해 지지해줄수 있도록 한다.
불안의 정도와 징후를 정확히 사정해야 대상자의 불안완화간호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8/13일 OP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막연한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의 치료 이해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긴장감과 불안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대화를 통해 라포를 형성하고 지지체계가 되어준다.
보호자를 통해 대상자가 불안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고, 격려와 정서적 지지를 통해 불안이 감소 되도록 한다.
간호수행
불안의 징후와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고 자신의 상태가 점점 나빠지는 것만 같고 너무 오랜 입원기간(한달)이 절망감의 원인임을 파악하였다. - 주변에 누군가가 있어주길 원하시므로 가능한한 옆에 있어드리며 대상자의 말에 반응해 주었다.
환자가 8/13일에 있었던 오른쪽 무릎 이식장치제거술로인해 불안해 할 때 이수술이 보통 얼마나 걸리는지, 하고있던 장치를 빼고 나오기만 하면 되는 수술이라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 울고계시는 대상자의 손을 잡아주며 불안해하는 감정을 나누며 지지해주었다.
대상자의 절망적인 감정을 완화시키기 위해 옆에 있어주며 대상자와 대화를 통해 지지체계를 형성하였다. - 대상자가 손으로 글을쓰면 같이 따라 읽고 말에 대해 반응을 해주었다. 이제 죽을 때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