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고위험 모아간호학][기말시험][출처표기] 1. 아동이 부모와 헤어져야 하는 분리불안의 세 단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13. 자궁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잠재기 지연(prolonged latent phase)에 대하여 이를 미산부와 경산부의 구체적 기준으로 정의하시오. 14.유두자극 검사의 원리는 무엇인가. 15.산후 대퇴성 혈전성 정맥염의 증상, 약물치료와 간호를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1 고위험 모아간호학][기말시험][출처표기] 1. 아동이 부모와 헤어져야 하는 분리불안의 세 단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13. 자궁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잠재기 지연(prolonged latent phase)에 대하여 이를 미산부와 경산부의 구체적 기준으로 정의하시오. 14.유두자극 검사의 원리는 무엇인가. 15.산후 대퇴성 혈전성 정맥염의 증상, 약물치료와 간호를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동이 부모와 헤어져야 하는 분리불안의 세 단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2. 중환아실 간호사는 환아의 표준유지량을 잘 계산하여 환아에게 주입될 표준수액량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체중이 13kg인 아동에게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24시간 동안의 수분유지량을 계산하시오.
3.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받았거나 장기간의 양압 기계적 환기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치료를 받았던 호흡곤란증후군 신생아에서 합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은?
4. 신생아/영아가 호흡기 감염, 중이염에 잘 걸리는 이유를 3가지 정도 나열하시오.
5. 아동에게 발생하는 두부외상의 특징을 5가지 이상 서술하시오.
6. 중환아실 아동의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지침을 아는대로 서술하시오.
7. 백혈병 환아의 치료 및 간호중재를 계획하시오. ※ 골수이식부분은 간단히 서술하세요.
8. 급성 신부전증 환아의 간호중재를 계획하시오.
9. 임신초기 임부가 오심과 구토의 불편감을 호소할 때 그 원인과 완화법을 설명하시오.
10. 태반조기박리의 원인을 2개 이상 드시오.
11. 임신성 당뇨여성이 출산후 a) 경구피임제, b) 자궁내 피임장치를 권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시오.
12. 태아 전자감시에서 후기하강 (late deceleration)이 나타난 경우, 이를 해석하고 간호중재를 설명하시오.
13. 자궁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잠재기 지연(prolonged latent phase)에 대하여 이를 미산부와 경산부의 구체적 기준으로 정의하시오.
14. 유두자극 검사의 원리는 무엇인가
15. 산후 대퇴성 혈전성 정맥염의 증상, 약물치료와 간호를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이유를 설명하시오.
임신 전부터 당뇨병인 여성의 경우나 임신성 당뇨여성이 출산한 후 경구피임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경구피임제는 당뇨병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어 이미 혈관계 질환이 합병된 당뇨병에서는 혈관장애를 더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다. 즉, 인슐린 작용을 억제하고 혈전을 유발할 위험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교재, p61).
자궁 내 피임장치는 자궁 내에 설치하는 작은 플라스틱 장치로 가장 효과적인 비 호르몬 피임이 가능하나 일반 당뇨병 여성의 경우나 임신성 당뇨여성이 출산후에는 감염증에 의하여 패혈증이나 케톤산혈증에 쉽게 걸릴 수가 있으므로 특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비정상적인 질 분비물, 성교 동통, 생리통과 생리량의 증가, 하복부 동통, 열감 등의 조기 징후가 발견될 시 즉시 진찰을 받아야 한다.
12. 태아 전자감시에서 후기하강 (late deceleration)이 나타난 경우, 이를 해석하고 간호중재를 설명하시오.
임신 3기에 정기적인 태아 심박동 전자 모니터링은 임신에서 태아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자태아감시 방법으로는 외부 태아 감시기를 이용한 방법과 내부 태아 감시기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태아 전자감시는 간헐적 태아감시보다 태아 상태에 대해 더 많은 자료를 제공해 주고 기록(기록지, 컴퓨터)을 남긴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감시에서 태아의 심박동이 주기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양상의 변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자궁수축 과정에서 태아의 심음이 기준선보다 떨어지는 것을 하강이라고 한다. 이러한 하강의 양상은 조기 하강, 후기하강, 변이성 하강으로 나타난다.
후기하강은 자궁수축이 최고조에 달할 때 태아심음이 하강하기 시작하여 자궁수축이 끝난 후에도 기본선으로 회복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한다. 태아의 심음이 기본 심박동보다 15회/분 이하인 경우는 경증, 15~45회/분으로 떨어지면 중등도, 45회/분으로 떨어지면 중증으로 구분한다. 이것은 태반에서 산소와 노폐물의 교환이 충분하지 않아 자궁 태반부전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교재, p88).
후기하강에 따른 간호중재는 임부의 체위를 좌측와위로 변경하고 산소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산소는 10~12L/분이 적당하다. 또한,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하고 옥시토신을 주입하고 있다면 중지하여야 한다(교재, p88). 이것은 자궁수축을 자극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자궁수축을 감소시키기 위해 터부탈린 같은 자궁수축억제제를 투여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태아의 산독증을 파악하기 위해 태아의 두피에서 채혈할 준비를 하고 동시에 분만을 고려하여야 한다.
13. 자궁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잠재기 지연(prolonged latent phase)에 대하여 이를 미산부와 경산부의 구체적 기준으로 정의하시오.
자궁기능부전(uterine dysfunction)이란 난산의 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궁 수축력을 기준으로 하여 저 긴장성 자궁기능부전과 고 긴장성 자궁기능부전으로 나뉜다. 자궁기능부전으로 인해 지연분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지연분만의 양상에는 잠재기 지연, 활동기 경관 대개 지연, 활동기 속발성 개대 정지, 감퇴기 지연, 하강 지연, 하강 정지 등이 있다. 여기서 잠재기 지연(prolonged latent pahse)이란 진통이 시작되어 자궁경부가 3~4cm로 개대되는 기간인 잠재기가 길어지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자궁기능 부전으로 인한 잠재기 지연은 자궁경부가 3~4cm로 개대 되는 시간이 20시간 이상인 경우를 미산부, 14시간 이상인 경우를 경산부로 나누어 정의하고 있다(교재, p107).
14. 유두자극 검사의 원리는 무엇인가
유두자극 검사(nipple stimulation test)의 원리는 가슴의 유두를 자극하여 뇌하수체 후엽의 옥시토신을 분비하는 것이다. 주된 방법은 양쪽 유두를 2분간 돌리고 3분간 휴식 20분 동안 반복 10분 동안 3회의 자궁수축이 이루어진다면 성공한 것이고 아니라면, 3분간 유두 자극, 2분 휴식 과정 반복 10분간 3회의 수축이 일어나거나 양성 자궁수축 자극검사가 관찰되면 멈추도록 한다(교재, p82).
15. 산후 대퇴성 혈전성 정맥염의 증상, 약물치료와 간호를 설명하시오.
정맥염은 정맥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응고된 혈액이 혈관 벽에 달라붙는 혈전의 염증을 동반하는 경우를 혈전성 정맥염이라 한다. 혈전성 정맥염은 침범 부위에 따라 대퇴정맥, 복재 정맥, 슬와 정맥에 침범하면 대퇴 혈전성 정맥염이라고 한다. 대퇴 혈전성 정맥염은 정맥 저류가 생기거나 골반정맥염에서 파급된다. 임부에게는 대개 산후 10~20일 사이에 발생한다. 주된 증상은 혈괴가 정맥벽에 부착되어 정맥 순환이 차단되면서 침범된 하지에 부종이나 발열, 동통과 압통이 나타난다. 부종이 심해지면 하지강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환부가 하얗고 반짝이는 증상을 동반한다. 이를 동통성 백고종이라 한다.
약물치료 및 간호는 산모를 안정시키고 침범당한 하지를 올리고 압박감을 없애기 위해 크래들을 한 후에 이불을 덮어준다. 그리고 감염된 하지를 올리고 얼음팩을 대어 준다. 이때 주의할 것은 감염된 하지를 문지르거나 마사지를 하는 등의 마찰이 생기면 혈괴가 떨어져 나와 전색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항상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고영양식을 섭취하여 전신 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약물치료로는 통증이 발생할 때 진통제와 함께 헤파린, 디큐메롤과 같은 항생제와 항응공제를 투여하도록 한다(교재, p127).
16. 참고 문헌
1) 이상미ㆍ김혜원(2015),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교재).
2) 글로북스 편집국(2012), 아동간호, 글로북스.
3) 채경미(2012), 백혈병환자의 퇴원 후 간호요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4) 임미란(2008), 입원환자의 정맥주사요법에 따른 정맥염 발생, 계명대학교 대학원.
5) 예하미디어 편집부(2006), 고위험모아간호학 (요점), 예하미디어.
6) 이혜령(2005), 소아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조혈모세포 근원에 따른 이식 성적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1.11.11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8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