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한국어 교재 연구 현황에 대해 조사 후 앞으로의 개발 방향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쓰십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한국어 교재 연구 현황에 대해 조사 후 앞으로의 개발 방향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쓰십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어교육 교재의 변천

2. 교재의 변천 동향

3. 한국어교육 연구의 변천

4. 앞으로의 개발 방향에 대한 본인의 생각

본문내용

이어 ‘언어문화(1974)’, ‘말(1977~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2001~현재)’이라는 한국어학당의 연구기관지를 발행하여 왔다. 이 자료를 비롯하여, 한국어교육계의 주요 학회인 이중언어학회63), 국제한국어교육학회64)의 학술지의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이 배출되지 않던 1990년대 이전 시기의 논의(1980년대까지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는 72편에 이름, 강승혜(2003))에 대한 검토는 석사학위 논문, 기타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에서 발간한『언어교육』, 한글학회의『교육한글』등을 참조하였다. 그리고 한국어교육 전공 박사학위 논문이 생산되기 시작한 1990년대부터는 박사학위 논문들65), 학회지 논문을 검토하였다.
그간의 한국어교육연구의 성과물에 대한 고찰은 강승혜(2003, 2005a,2005b), 김중섭(2004), 이지영(2005)등에서 이루어진 바 있다. 강승혜(2003)은 1960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어교육 분야의 연구물 720편을, 시기별, 연구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의 흐름을 일별하고 있어서 한국어교육 연구의 전체적인 동향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를 제공해 준다. 강승혜(2005)는 이 중에서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2005년까지의 연구물)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지영(2005)도 시기별 한국어 교재 연구물을 망라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들 연구는 한국어교육 연구가 그간에 양적으로 얼마나 성장하였는지, 그리고 한국어교육의 연구 주제가 어떤 영역으로 확장되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지난 50년간의 한국어교육 연구가 보인 일련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변천을 논하면서 시기별 구분을 피하는 이유는, 우선 1959년부터 1990년대이전까지는 본격적인 한국어교육 연구 성과가 없어서 시기별로 연구물이 양적인 불균형을 보이기 때문(1970년대 9편, 80년대 63편, 90년대 345편, 2000년대 292편 이상(강승혜, 2003))이다. 이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연구의 동향을 10년 단위로 분절하는 것보다,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연구의 동향별로 구분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어교육 연구에는 50년간 지속된 연구의 경향, 약 25년간 지속된 연구의 경향, 약 20년간 지속된 연구, 최근 10여 년간 있은 연구의 경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학회지 논문, 박사학위 논문 및 연구보고서 등을 검토한 결과,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은 크게 다섯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교육 실천의 초반에는 한국어교육 연구라고 할 만한 것이 없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 연구가 독립적인 학문분과(discipline)로 존재한다는 인식이 있지도 않았고, 학문적 성과도 없는 상태였다. 즉, 초기에는 주로 국어학 종속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교육 연구의 초기를 국어학적 연구가 이루어지던 시기라고 보고, 이를 한 흐름으로 규정하였다. 초반의 국어학적 연구는 최근에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특정문형 및 어휘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기술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문형 교육 내용을 정립하고자 하는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다.
둘째, 1980년대의 학회 성립 이후에는 국내외의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해 보고하는 논의들이 양산되었다. 이를 한국어교육 현황 보고식 논의라는 큰 흐름으로 규정하였다.
셋째, 1990년대부터는 본격적으로 한국어교육 연구물들이 생산되면서 언어교육 이론의 적용을 탐색한 논의들이 등장하였다. 이를 언어교육 논의로 설정하였다.
넷째, 21세기를 대비하는 시점인 1990년대 후반 이후에는, 개인이나 개별 한국어교육 기관 차원에서 이루어지던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벗어나 국가기관 차원에서 대규모 프로젝트형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개별 한국어교육기관 차원이 아닌 국가 차원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내용 선정및 교재 개발, 한국어교육 평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다섯째, 2000년대 들어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들이 있었는데, 이는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에서 매우 의미있는 지점을 차지하는 논의이기 때문에 이를 검토하였다.
4. 앞으로의 개발 방향에 대한 본인의 생각
개인적으로 앞으로 한국어 교재 연구가 특정문형이나 어휘등의 이론적인 내용만이 아닌 실생활에 필요한 생활현실에 맞게 재미와 흥미가 더해져서 지루하고 힘들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즐겁고 신나게 배울 수 있도록 개발되어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 가격7,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12.02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9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