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에 입국한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집단에서 유아(3~5살), 초등(6~11살), 중등(12~17살), 성인부모 네 집단 중 한 집단을 선택하여 이들이 재학할 학교(유치원 포함)에서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what) 어떤 이유에서(why) 어떤 방식으로(how) 실시할 수 있을까에 대해 제안서를 작성하시오.
1) What(어떤 교육 프로그램)
2) Why(왜 그런 교육이 필요한가) 3) How(어떻게 실행/운영해야 하는가)
2. 지역사회에서의 시민교육 차원에서 다문화교육 추진기관 또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을 통해 한국인인 이웃, 즉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들과 이웃으로 살아가는 지역주민들에게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what) 어떤 이유에서(why) 어떤 방식으로(how) 실시할 수 있을가에 대해 제안서를 작성하시오.
1) What(어떤 교육 프로그램)
2) Why(왜 그런 교육이 필요한가) 3) How(어떻게 실행/운영해야 하는가)
3. 참고문헌
1) What(어떤 교육 프로그램)
2) Why(왜 그런 교육이 필요한가) 3) How(어떻게 실행/운영해야 하는가)
2. 지역사회에서의 시민교육 차원에서 다문화교육 추진기관 또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을 통해 한국인인 이웃, 즉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들과 이웃으로 살아가는 지역주민들에게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what) 어떤 이유에서(why) 어떤 방식으로(how) 실시할 수 있을가에 대해 제안서를 작성하시오.
1) What(어떤 교육 프로그램)
2) Why(왜 그런 교육이 필요한가) 3) How(어떻게 실행/운영해야 하는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가장 인기 있는 업체에게 협조 공문을 보내서, 요리에 일일 선생님으로 모시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이는 음식의 홍보효과를 노릴 수 있으며, 무보수가 아니라 일정의 강사료를 준다고 하면, 생각보다 거절할 업체 대표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역 내에서 요리 클래스를 운영하는 학원에도 협조를 요청해서, 공간을 대여하도록 할 예정이다. 요리를 위해서는 깨끗하고 위생적이면서 조리도구가 갖추어진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학원 역시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정의 이용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그리고 학원의 시설이 좋으면 선주민의 적극적인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그램과 연관된 학원으로 선정되는 것만으로도 사실 많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기간은 한 달로, 1주일에 1회기씩 총 3~4회기로 진행할 예정이다. 분기당 한 번씩 운영하도록 하며, 기존 선주민 신청자는 선발 우선순위에서 제외될 수 있음에 대한 공지가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선주민-이주민의 이해와 관계 맺기 이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회기를 진행하고 나면, 적극적인 선주민과 이주민의 존재가 나타날 것이고, 이와 비슷한 다른 프로그램의 개발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생길 것이다. 그러면 먼저, 선주민-이주민의 자조모임을 만들고, 새로운 프로그램 기획을 통해 통합된 마을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3. 참고문헌
조문수(2015), “제주 지역주민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외식 행태 변화”. 탐라문화 48권 48호. p.7~p.39
정혜경(2015), “한국 음식문화의 의미와 표상”. 아시아 리뷰 5권 1호. 97p ~ 121p
지역 내에서 요리 클래스를 운영하는 학원에도 협조를 요청해서, 공간을 대여하도록 할 예정이다. 요리를 위해서는 깨끗하고 위생적이면서 조리도구가 갖추어진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학원 역시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정의 이용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그리고 학원의 시설이 좋으면 선주민의 적극적인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그램과 연관된 학원으로 선정되는 것만으로도 사실 많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기간은 한 달로, 1주일에 1회기씩 총 3~4회기로 진행할 예정이다. 분기당 한 번씩 운영하도록 하며, 기존 선주민 신청자는 선발 우선순위에서 제외될 수 있음에 대한 공지가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선주민-이주민의 이해와 관계 맺기 이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회기를 진행하고 나면, 적극적인 선주민과 이주민의 존재가 나타날 것이고, 이와 비슷한 다른 프로그램의 개발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생길 것이다. 그러면 먼저, 선주민-이주민의 자조모임을 만들고, 새로운 프로그램 기획을 통해 통합된 마을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3. 참고문헌
조문수(2015), “제주 지역주민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외식 행태 변화”. 탐라문화 48권 48호. p.7~p.39
정혜경(2015), “한국 음식문화의 의미와 표상”. 아시아 리뷰 5권 1호. 97p ~ 121p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사회학2공통) 한국에 입국한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집단에서 지역사회에서의 시민교육...
2021년 2학기 교육사회학 기말시험 과제물(what, why, how 제안서 작성)
2021년 2학기 교육사회학 기말시험 과제물(what, why, how 제안서 작성)
교육유아2 - 교육사회학 - 지역사회에서의 시민교육 차원에서 다문화교육 추진기관 또는 지역...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2021년 기말시험 과제물, 한국에 입국한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집단에서 교...
[교육사회학] 2021년 기말시험 1) 한국에 입국한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집단 교육 프로그...
한국에 입국한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집단에서 유아(3~5살), 초등(6~11살), 중등(12~17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