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학개론 ) 지적장애, 2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교육학개론 ) 지적장애,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의사소통 장애의 정의 및 특성
(1) 의사소통 장애의 정의
①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② 말소리 장애(Speech sound disorder, SSD)
③ 말더듬 장애(Stuttering)
④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2) 의사소통 장애의 진단
①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② 말소리 장애(Speech sound disorder, SSD)
③ 말더듬 장애(Stuttering)
④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2) 의사소통 장애의 원인
(1)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2) 말소리 장애(Speech sound disorder, SSD)
(3) 말더듬 장애(Stuttering)
(4)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3) 의사소통 장애의 교육방법
(1)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2) 말소리 장애(Speech sound disorder, SSD)
(3) 말더듬 장애(Stuttering)
(4)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말에 대한 공포를 최소화하고 유창성이 증가하면 공포감이 줄어든다는 인식을 아동에게 심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교사는 말을 더듬는 아동의 교육을 위해 부드럽고 따뜻한 어조를 사용하여 느리고 자상하게 이야기를 진행해야 한다. 한편 말더듬 수정 치료법은 성인의 말더듬 장애 완화를 위한 교육을 위해 널리 활용된다.
(4)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는 대부분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증상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장애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생활하는 데 있어 심각한 결함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들은 사회가 부족하고 대화에 있어 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 어려우므로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짧은 대화 연습, 질문에 대한 적절한 대화 연습 등을 기반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결론
의사소통은 개인이 사회를 살아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수단의 하나로, 의사소통은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로 이루어지며 각 요소를 기반으로 원하는 바를 이야기하거나 주어진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답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이 같은 의사소통에 있어 또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의사소통 장애라 일컬으며, 장애의 구체적 특성에 따라 언어장애, 말소리 장애, 말더듬 장애,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로 분류할 수 있다. 영·유아기의 의사소통 장애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및 훈련을 통한 증상 완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성인이 되어서도 사회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각 장애의 세부 특성을 바탕으로 발병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을 통해 병의 경중을 파악한 후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참고문헌
1) ‘의사소통’,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국립특수교육원, 2009.
2)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5조 1항
3) 「Exceptional learners: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Daniel E. Hallahan, James M. Kauffman, Paige C. Pullen,, Allyn&Bacon, 2005.
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Washington DC, 2000.
5) ‘장애등급표’, 보건복지부, 2019.
6) <말소리 장애>, 김수진 외 1인 저, 시그마프레스, 2015.
7) Prevalence of speech delay in 6-year-old children and comorbidity with language impairment. Shriberg, L. D., Tomblin, J. B., & McSweeny, J. 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6):1461-1481, 1999.
8) ‘말더듬’,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국립특수교육원, 2009.
9) Social (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 a research review of this new DSM-5 diagnostic category. Swineford, L. B., Thurm, A., Baird, G., Wetherby, A. M., & Swedo, S. 「Journal of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6(1):1-8, 2014.
10) ‘학령기 아동언어장애 진단 및 평가에 관한 질적 연구 : 진단 및 평가 모형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이윤경, 「언어청각장애연구」 11(1):30-50, 2006.
11) ‘소아의 말소리장애’, 김성태, 「임상이비인후과」, 30(2):176-181, 2019.
12) ‘학령전 말더듬 아동이 보이는 수반행동과 비유창성의 연관성’, 이혜란,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3) ‘A genomewide scan identifies two novel loci involved i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C. 「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70(2):384-398, 2002.
14) ‘A dominant gene for developmental dyslexia on chromosome 3.’, Nopola-Hemmi, J. et al. 「Journal of medical genetics」 38(10):658-664, 2001.
15) 「Voice Science」, Sataloff, R.T. Plural Publishing, 2005.
16) ‘한국 유창성장애의 유전적 요인에 대한 연구’, 신문자·이성은, 「언어청각장애연구」, 7(1):155-165, 2002.
17) Social communication deficits in conduct disorder: a clinical and community survey. Gilmour, J., Hill, B., Place, M., Skuse, D.H.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5(5):967-978, 2004.
18) ‘언어장애아 부모의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 김지영·최성규, 「언어치료연구」, 16(3):93-112, 2007.
19) ‘자녀 연령에 따른 장애아 부모의 언어치료 실태 및 요구 조사’, 김지현·황상심, 「언어치료연구」, 22(1):273-297, 2013.
20) The eti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disability and phonological disorder. Tunick, R. A., & Pennington, B. F. 「Annals of Dyslexia」, 52(1):75-97, 2002.
  • 가격4,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2.08.02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5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