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해일이 몰아치기 전에
Ⅱ. 본론
1. 교육기관인 동시에 학교폭력 발생지
2. 무분별한 폭력 속 다수의 피해자와 가해자
Ⅲ. 결론-언어와 학교폭력
Ⅳ. 참고문헌
(2) 유아기 문제행동에 대해 설명하고,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 함양에 대해 논하시오.
목차
Ⅰ. 서론-유아기 문제행동과 자기조절
Ⅱ. 본론
1. 거울을 보는 방법
2. 다시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로
Ⅲ. 결론-감정이라는 주식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교육기관인 동시에 학교폭력 발생지
2. 무분별한 폭력 속 다수의 피해자와 가해자
Ⅲ. 결론-언어와 학교폭력
Ⅳ. 참고문헌
(2) 유아기 문제행동에 대해 설명하고,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 함양에 대해 논하시오.
목차
Ⅰ. 서론-유아기 문제행동과 자기조절
Ⅱ. 본론
1. 거울을 보는 방법
2. 다시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로
Ⅲ. 결론-감정이라는 주식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아기 문제행동이나 자기조절은 이렇게 돌고 돌아 서로서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만약 제대로 대처하는 이 없이 문제행동을 일으키며 성장한 성인이라면 자신이 배운 대로 유아를 다룰 가능성이 있다. 비록 그런 상황 속에서 자랐더라도 후천적인 교육을 통해 유아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대하는 사례도 있다. 하지만 이 과정은 뼈를 깎는 고통에 맞먹을 것이다. 그래도 훌륭하게 유아를 성장시키고 진정한 성인으로 거듭나게 하고 싶다면 늦게라도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을 잘 조정할 필요가 있다. 사실 어떤 일을 하든 그 일의 주체인 나부터 돌아보는 것이 좋다. 내가 어떤 사람이고 뭐가 부족하고 잘났는지 낱낱이 알아가야 한다. 내가 나를 알아야 세상을 제대로 응시할 수 있다. 그 세상에는 사랑하고 싶은 사람들이 더러 있을 것이다. 사랑하고 싶다면 나부터 사랑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한다.
거울에 비친 나를 온전히 나로 인식하는 인간 중 왜곡되지 않게 자신을 완전히 받아들이는 사람은 적다. 거울을 보고 그저 꾸미기만 하지 말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살펴봐야 한다. 그래야 아직 미성숙된 사람들이 문제행동을 하지 않고 자신을 조절하고 사랑할 줄 알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나만의 행복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각자의 행복을 추구하고 있다. 그래서 아직 자신을 보지 못한 유아를 그냥 놔둬서는 안 된다. 자율적인 태도로 대하라고 해서 방치하라는 것이 아니다. 방치는 무관심에서 나오는 것이지 누군가를 “위한” 바른 태도가 아니다. 그렇다면 유아를 대하는 바른 태도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유아가 어떤 문제행동을 일으켰는지, 뭐가 그걸 일으키게 했는지 알아야 한다. 그러려면 유아와 가까운 관계를 맺고 섬세하게 돌보고 지켜봐야 한다. 그리고 유아에게는 자기조절이 필요한 적응 유연성도 중요하다. 적응 유연성은 기질이나 외부세계의 영향(기질,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접촉이나 지원 등)을 많이 받는다. 유아의 적응 유연성은 충동성, 과잉 행동, 걱정과 불안 등의 문제행동과 연관성이 있다. 외부세계의 영향을 부모의 가르침으로 다른 방향으로 바꿔 받아들이게 할 수 있어서 부모는 자녀에게 중요한 영향력을 끼치는 존재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거울을 처음 보는 아이에게 최선을 다해 거울을 보는 법을 알려줘야 한다. 나와 아이를 완전한 성인으로 성장시키고 싶다면 말이다.
2. 다시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로
유아의 자기조절을 잘 끌어 올려준다면 육아의 짐을 덜 수 있기도 하다. 유아가 자기조절의 중요성을 깨닫기 위해서 선택한 것에 책임을 다하는 자세를 가르쳐야 한다. 그러려면 선택의 기회를 쥐여줘야 하고 그에 따른 몫은 어쩔 수 없다는 것을 인지시켜 줘야 한다. 그리고 하면 안 되는 것들은 왜 안 되고 되는 것들은 왜 되는지 조금은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알려줄 필요도 있다. 줏대 없이 그냥 안 된다. 그냥 된다는 말만 반복해서는 유아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야기할 뿐이다. 입 아프고 귀찮기만 한 방법은 아니다. 유아가 아직 어리다고는 하지만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범주의 합리적인 이유라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유아기 문제행동은 자기 조절력의 활성화 및 발달을 통해 고쳐질 수 있다. 사람이 사람을 키우고 성장시키는 것은 이렇게나 어렵고 섬세한 일이다. 그래서 유아를 돌보거나 양육하는 것은, 생명을 책임진다는 것은 많은 고민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함부로 행하지 않고 선택한 것의 의미가 퇴색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유아가 장난감을 스스로 치우기를 원한다면 치우는 법을 알려주며 자연스럽게 “나는 이런 것도 가능한 가치 있는 존재이다.”라는 메시지를 알려줘야 한다. 선택한 것에 책임을 다하는 당연하지만 조금은 잔혹한 세상의 이치를 깨닫게 해줘야 한다. 보호자는 피보호자를 보호하는 것이지 모든 것을 대신해주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유아가 큰맘 먹고 선택한 것을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면 응원해주고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줘야 한다. 행복한 인생을 사는 것에 기여하여 최소한의 개입을 하는 것은 괜찮으나 대리인이라도 된 것인 양 굴면 안 된다. 나는 나고 너는 너라고 제대로 분리해야 한다.
Ⅲ. 결론-감정이라는 주식
유아기에는 아직 많은 것이 서툴다. 유아를 양육하는 사람도 유아 본인도 난관에 부딪힐 때 당황스럽고 힘들 것이다. 한쪽만 힘든 관계가 아닌 같이 힘듦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이 있을 때 사람은 외로움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다. 유아에게 해가 되는 말이 아니라면 조금은 솔직해도 괜찮다. 슬퍼할 일에도 억지로 웃으며 견디면 유아의 정서와 감정 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사실 이런 일이 있어서 힘들다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괜찮다. 힘듦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자라면 나중에 힘듦이 들이닥쳤을 때 문제행동을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 힘듦을 잘 받아들이고 헤쳐나갈 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줘야 한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키우고 싶다고 긍정적인 감정만 수용해주면 안 된다. 부정감정도 감정이다. 부정감정을 무조건 나쁘게만 보지 않도록 그런 감정이 드는 자연스러운 일이고 그래도 된다는 것을 알려줘야 한다. 괜찮다. 괜찮아, 그래도 너를 사랑하는 내가 늘 여기 있잖아. 같은 따뜻한 말 한마디가 사람을 먹여 살라기도 한다. 사람은 동물과 다르게 밥만 먹고 살아가는 게 아니라 “감정”을 먹고 살기도 한다. 감정은 인간의 주식이기에 상하지 않도록 조심히 보관하고 다뤄야 한다. 내 감정도 소중하지만 남의 감정이라고 무시해서는 안 된다. 결국, 감정을 보관하던 내 마음만 더 좁아지거나 망가질 것이다. 아이에게 존재의 가치, 소중함을 느끼게 하려고 사람뿐만 아니라 곤충이나 동물을 소중히 대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생명의 소중함은 곧 모든 생명체의 소중함이기에 아이는 생명을 가진 존재라면 존중하고 눈여겨볼 줄 아는 “성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유아기질과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유아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정주연, 김정민, 홍채영, 2017)
자기조절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유아기에서 학령기까지를 중심으로-(김건희, 허명진, 박병도, 2015)
거울에 비친 나를 온전히 나로 인식하는 인간 중 왜곡되지 않게 자신을 완전히 받아들이는 사람은 적다. 거울을 보고 그저 꾸미기만 하지 말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살펴봐야 한다. 그래야 아직 미성숙된 사람들이 문제행동을 하지 않고 자신을 조절하고 사랑할 줄 알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나만의 행복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각자의 행복을 추구하고 있다. 그래서 아직 자신을 보지 못한 유아를 그냥 놔둬서는 안 된다. 자율적인 태도로 대하라고 해서 방치하라는 것이 아니다. 방치는 무관심에서 나오는 것이지 누군가를 “위한” 바른 태도가 아니다. 그렇다면 유아를 대하는 바른 태도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유아가 어떤 문제행동을 일으켰는지, 뭐가 그걸 일으키게 했는지 알아야 한다. 그러려면 유아와 가까운 관계를 맺고 섬세하게 돌보고 지켜봐야 한다. 그리고 유아에게는 자기조절이 필요한 적응 유연성도 중요하다. 적응 유연성은 기질이나 외부세계의 영향(기질,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접촉이나 지원 등)을 많이 받는다. 유아의 적응 유연성은 충동성, 과잉 행동, 걱정과 불안 등의 문제행동과 연관성이 있다. 외부세계의 영향을 부모의 가르침으로 다른 방향으로 바꿔 받아들이게 할 수 있어서 부모는 자녀에게 중요한 영향력을 끼치는 존재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거울을 처음 보는 아이에게 최선을 다해 거울을 보는 법을 알려줘야 한다. 나와 아이를 완전한 성인으로 성장시키고 싶다면 말이다.
2. 다시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로
유아의 자기조절을 잘 끌어 올려준다면 육아의 짐을 덜 수 있기도 하다. 유아가 자기조절의 중요성을 깨닫기 위해서 선택한 것에 책임을 다하는 자세를 가르쳐야 한다. 그러려면 선택의 기회를 쥐여줘야 하고 그에 따른 몫은 어쩔 수 없다는 것을 인지시켜 줘야 한다. 그리고 하면 안 되는 것들은 왜 안 되고 되는 것들은 왜 되는지 조금은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알려줄 필요도 있다. 줏대 없이 그냥 안 된다. 그냥 된다는 말만 반복해서는 유아의 혼란스러운 마음을 야기할 뿐이다. 입 아프고 귀찮기만 한 방법은 아니다. 유아가 아직 어리다고는 하지만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범주의 합리적인 이유라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유아기 문제행동은 자기 조절력의 활성화 및 발달을 통해 고쳐질 수 있다. 사람이 사람을 키우고 성장시키는 것은 이렇게나 어렵고 섬세한 일이다. 그래서 유아를 돌보거나 양육하는 것은, 생명을 책임진다는 것은 많은 고민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함부로 행하지 않고 선택한 것의 의미가 퇴색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유아가 장난감을 스스로 치우기를 원한다면 치우는 법을 알려주며 자연스럽게 “나는 이런 것도 가능한 가치 있는 존재이다.”라는 메시지를 알려줘야 한다. 선택한 것에 책임을 다하는 당연하지만 조금은 잔혹한 세상의 이치를 깨닫게 해줘야 한다. 보호자는 피보호자를 보호하는 것이지 모든 것을 대신해주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유아가 큰맘 먹고 선택한 것을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면 응원해주고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줘야 한다. 행복한 인생을 사는 것에 기여하여 최소한의 개입을 하는 것은 괜찮으나 대리인이라도 된 것인 양 굴면 안 된다. 나는 나고 너는 너라고 제대로 분리해야 한다.
Ⅲ. 결론-감정이라는 주식
유아기에는 아직 많은 것이 서툴다. 유아를 양육하는 사람도 유아 본인도 난관에 부딪힐 때 당황스럽고 힘들 것이다. 한쪽만 힘든 관계가 아닌 같이 힘듦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이 있을 때 사람은 외로움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다. 유아에게 해가 되는 말이 아니라면 조금은 솔직해도 괜찮다. 슬퍼할 일에도 억지로 웃으며 견디면 유아의 정서와 감정 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사실 이런 일이 있어서 힘들다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괜찮다. 힘듦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자라면 나중에 힘듦이 들이닥쳤을 때 문제행동을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 힘듦을 잘 받아들이고 헤쳐나갈 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줘야 한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키우고 싶다고 긍정적인 감정만 수용해주면 안 된다. 부정감정도 감정이다. 부정감정을 무조건 나쁘게만 보지 않도록 그런 감정이 드는 자연스러운 일이고 그래도 된다는 것을 알려줘야 한다. 괜찮다. 괜찮아, 그래도 너를 사랑하는 내가 늘 여기 있잖아. 같은 따뜻한 말 한마디가 사람을 먹여 살라기도 한다. 사람은 동물과 다르게 밥만 먹고 살아가는 게 아니라 “감정”을 먹고 살기도 한다. 감정은 인간의 주식이기에 상하지 않도록 조심히 보관하고 다뤄야 한다. 내 감정도 소중하지만 남의 감정이라고 무시해서는 안 된다. 결국, 감정을 보관하던 내 마음만 더 좁아지거나 망가질 것이다. 아이에게 존재의 가치, 소중함을 느끼게 하려고 사람뿐만 아니라 곤충이나 동물을 소중히 대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생명의 소중함은 곧 모든 생명체의 소중함이기에 아이는 생명을 가진 존재라면 존중하고 눈여겨볼 줄 아는 “성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유아기질과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유아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정주연, 김정민, 홍채영, 2017)
자기조절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유아기에서 학령기까지를 중심으로-(김건희, 허명진, 박병도, 2015)
추천자료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2)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개입전략에 ...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공통)(1)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개...
[유아교육2]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2022년]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개입...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2022]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 언어폭력 개입전략,학...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2학년) 1.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개...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2022] (1)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개...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 (1)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개입전...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개입전략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