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명을 존중하고 조화롭게 관계 맺어야 한다. 12장에는 다른 행성의 정보를 탐사하기 위한 보이저호를 비롯한 탐사선의 노력 이야기가 나온다. 저자는 계속해서 우리가 우주를 이루는 일부에 불과하며 그렇기 때문에 겸손하게 다른 생명체(존재)들과 소통하고 관계맺어가야 한다고 말한다. 13장에는 과학자인 저자의 고민이 드러난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외계의 행성을 탐사하는 데에도 유용하였으나 핵무기를 발전시키는 역할도 하였다. 그는 인류가 우주의 모든 존재와 상호동반자적인 관계로서 온 우주를 사랑하려는 노력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칼 세이건의 말대로 우리도 코스모스의 일부이다. 인간과 우주는 가장 근본적이고 근원적 차원에서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부분이지만 전체이고 전체로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다.
칼 세이건의 말대로 우리도 코스모스의 일부이다. 인간과 우주는 가장 근본적이고 근원적 차원에서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부분이지만 전체이고 전체로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다.
추천자료
칼세이건 ≪코스모스≫ 독서 보고서
[독후감] 코스모스(Cosmos) _ 칼 세이건 저
코스모스(COSMOS) [소개 및 내용요약, 소감문] _ 칼 세이건 저
칼세이건의 코스모스 독후감
칼 세이건(Carl Sagan)의 『코스모스 (Cosmos)』를 읽고 나서 [독후감]
『코스모스 (Cosmos)』 _ 칼 세이건 (Carl Edward Sagan) 저 [독후감/서평]
코스모스 독후감 감상문 칼 세이건
[독후감] 다시쓰는 코스모스 별과 우주이야기 - 줄거리를 중심으로
독후감) 우주에서 만나요 (잭 쳉 장편소설, 성장소설)
[A+ 독후감, 인생역작] 코스모스를 읽고(칼 세이건, 부제 만개한 질서와 마주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