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학원론 1학년) 1997년의 동아시아 금융위기와 2007~2008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의 배경, 위기 진행과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역학원론 1학년) 1997년의 동아시아 금융위기와 2007~2008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의 배경, 위기 진행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아시아 금융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의 배경
1) 동아시아 금융위기
2) 글로벌 금융위기

2. 동아시아 금융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의 진행과정
1) 동아시아 금융위기
(1) 금융 구조조정
(2) 기업 구조조정

2) 글로벌 금융위기
(1) 9/11 이후
(2)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3. 동아시아 금융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1) 동아시아 금융위기
(1) 거시경제정책
(2) 구제금융정책
(3) 금융구조조정
(4) 기업구조조정
(5) 외환거래 자유화
(6) 노동개혁
(7) IMF의 자금지원정책

2) 글로벌 금융위기
(1) 정부지원기관(GSEs)에 대한 긴급구제조치
(2) 구제지원 프로그램
(3) 재정정책
(4) 비전통적 통화정책
(5) 양적완화

4. 당시 기준(정책)금리 및 원-미국달러 환율의 변화
1) 동아시아 금융위기
2) 글로벌 금융위기

5. 동아시아 금융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의 원인 및 대응 정책 비교
1) 발생 원인
2) 대응정책

6.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뻗었기 때문에 금융기관의 부실 규모가 더욱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즉, 한국은 외환이라는 연결고리 속에서 수행된 고금리 정책 과정에서 기업들의 연쇄도산이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져 공적자금의 규모가 커지게 되었지만, 외환확보에 대한 걱정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던 미국은 우선적으로 금융위기의 충격을 완화하는 데 주력했기 때문에 기업들의 연쇄도산과 금융기관의 부실 규모를 최소화하여 TARP 의 규모를 줄일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으로는 양국의 재정 상태의 차이가 공적자금 규모의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한국은 IMF 의 권고에 따라 초기에는 긴축 재정을 고려했으나 이후에는 재정을 조금씩 확대해 나가는 정책을 채택하였다. 반면에 미국은 적극적으로 부양책을 사용하여 총 GDP 의 5%가 넘는 자금을 시중에 투입하였다. 따라서 재정을 절약하고 있었던 한국은 미국에 비해서 한국은 재정에 비교적 여유가 있었기 때문에 막대한 규모의 공적자금 조성이 가능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6. 나의 의견
한국의 금융 위기는 한국 경제에 메울 수 없는 손실을 가져왔으며, 그 영향은 장기적으로 우리에게 많은 유익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첫째, 국가경제발전전략을 합리적으로 수립하여 국가의 거시적 통제를 강화한다. 정부가 대형 기업집단에 지나치게 치중하면서 국제정세 변화에 대응해 경제발전 전략을 제대로 조정하지 못하고, 올바른 성장목표를 정하지 못해 대기업이 유연하지 못하고 중소기업이 성장하지 못하고, 정부가 거시적으로 합리적 거시조정을 하지 못하는 바람에 기업의 생산능력이 떨어지고 경기가 떨어졌다. 둘째, 경제구조의 대응 능력을 높이고, 산업구조를 확실하게 조정하고, 국제시장에서 자국 제품의 경쟁력을 증대시켜야 한다. 한국은 수출 촉진을 경제 발전의 선두로 삼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노동 집약적 제품의 중국, 동남아 각국의 자본 집약적 제품 경쟁, 일본은 있다. 미국 및 유럽 연합의 반덤핑 규제 등으로 쇠퇴하고 결과는 한국 수출은 여전히 강세를 보였지만 수입 때문에 무역 적자가 줄지 않고 외화 보유액 급감 등이 급증하면서 금융 위기를 촉발한 가능성이 있다. 셋째, 금융 감시를 강화해 금융질서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금융 위기의 원인 중 하나는 금융 감시가 부실하고 질서가 문란하며 금융기관의 반칙이 심하다는 것이다. 한국 금융 위기의 교훈은 금융 시스템이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견실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기본 요건임을 일깨워준다. 넷째, 적정 외채 규모와 구조를 확정해 채무 위기를 피하는 것이다. 너무 빨리 외채를 차입하면 급속한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지만 반대로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고, 한편 국민소득의 대부분을 빚 갚고 국내 기업의 자금을 끌어들이는 데 써야 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부채 상환 시간이 너무 집중되어 돈이 돌기 쉽다. 또 외자 도입은 단순히 양적 성장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품질 위주의 외채 구조를 합리적으로 확정해 단기 채무를 가능한 한 줄이고 중장기 채무를 늘려 자금 활용도를 높이고 통화 다양화로 환율 리스크에 따른 채무 증가를 줄여야 한다. 다섯째, 자본시장을 합리적으로 발전시키고 자금 조달의 통로를 늘린다. 한국은 자본시장 발전이 더디고 구조가 비합리적이어서 은행 여신을 지나치게 중시하고 다른 금융시장 발전을 소홀히 해 기업 조달 채널이 단일하게 됐다. 기업 부실이 무너지면 은행 자산이 줄고 대출을 받지 못하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997년의 동아시아 금융위기와 2007~2008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의 배경, 위기 진행과정, 금융위기는 인간의 탐욕과 투기 심리에서 비롯된다. 지금까지 발생한 금융위기의 공통 요소는 과다한 신용(대출), 투기, 버블, 자본도피, 외환 부족 등이다. 여기에는 정부와 민간, 금융회사의 도덕적 해이와 쏠림 현상이 작용하고 있다.1997 년 한국의 외환위기와 2008 년 미국의 금융위기는 발생의 원인에 있어 몇 가지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정부의 암묵적 지급 보증 및 대출 기준 완화가 있었고 그에 따라 과도한 차입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금융기관의 해외차입을 통해 기업들의 부채비율이 위험 수준에까지 도달하였고, 미국에서는 모기지 시장을 통한 가계대출을 통해 집값이 위험한 수준까지 상승하게 되었다. 두 경우 모두 위험 수준에 이르기까지에는 금융기관들이 정부의 암묵적 지급 보증에 의존하여 대출과 투자를 무리하게 늘리는 도덕적 해이가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위기의 발생 원인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공통점이 있으나,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두 경우가 큰 차이를 보인다. 한국은 IMF 로부터 구제금융자금을 지원받으면서 (특히, 외환의 형태로 지원받으면서) IMF 의 권고사항을 이행해야만 했으며 정부 주도하의 구조조정을 진행할 수 없었다. 반대로 미국은정부의 주도하에 경기회복과 구조조정을 동시에 노리는 정책을 운용할 수 있었다.이렇듯 금융위기 탈출 방식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안정화에 초점을 맞추어 금융·외환시장을 안정화하는 데 주력하는 정책이고 다른 하나는 성장을 촉진하면서 안정화 노력을 실행하는 방식이다.
참고문헌
안철원, (2013), 『금융경제학』, 한경사.
정덕구, (2008), 「글로벌 금융위기와 해법」, 친디아 칼럼.
장 민. 2009. 주요국의 금융위험 대응책 및 시사점.
박현수. 2009. 주요국의 금융기관 국유화 동향과 전망. 삼성경제 연구소.
김도형 등, (2010), 『글로벌 금융위기와 정책대응』, 한울출판사.
누초경, (2009), 「2008 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한 한국경제의 대처방안」,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학위 논문.
이승석(2018) 「금융위기 이후 거시경제 구조변화 분석」KERI Insight18-06, 한국경제연구원.
백재승 (2010). 경제위기와 기업가치: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비교분석. 대한경영학회지.
손평식 (2017). 세계금융위기시 이익정보와 현금흐름정보의 가치관련성과 기업지배구조의 영향분석. 전문경영인연구.

키워드

  • 가격6,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3.03.16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0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