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맞은 모성간호학 Case Study_임신성 당뇨(간호진단 6개)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맞은 모성간호학 Case Study_임신성 당뇨(간호진단 6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진단 목록

2-1. 간호진단 1
2-2. 간호진단 2
2-3. 간호진단 3
2-4. 간호진단 4
2-5. 간호진단 5
2-6. 간호진단 6

본문내용

난 2주간 관찰하였을 때는, 야간이나 화장실을 오갈 때 약간의 두통과 어지러움증을 호소하였으나, 크게 불편한 정도는 아니라고 설명하였다. 그 이후로도 큰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으며 혈당 상승, 폐부종 등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2주 간의 실습 기간이 끝나면서 해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지 못했다.
간호진단 6 : 처치(장시간 절대침상안정(ABR), 당뇨관리, 정맥주사 불편감)와 관련된 지식부족 (우선중재 필요)
자료수집
Subjective data (주관적 자료)
“몸을 너무 움직이고 싶어요. 허리도 너무 결리고 아픈데 허리에 뭐 댈 거 없을까요?”
(IV 위치 변경마다)“주사 그냥 안갈면 안돼요? 너무 아파요..”
“아, 너무 피곤해서 잠들어버렸어요. 어제 밤에 자기 전에 까먹고 당뇨검사 못했는데 어떡해요?”
“간식이 너무 먹고싶어요. 아몬드 같은 거?”
“저 대출 연장해야해서 오늘 꼭 나가야하는데 외출 시켜주시면 안될까요?”
“이전에 다니던 병원에서는 배에 인슐린 투약해도 된다고해서 그동안 배에 하고 있었어요”
O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
ABR 처방으로 절대 침상안정 중임
- SONO 검사 결과 C/L 1.02cm → 2.5cm → 1.06cm
과거력) 23.3.20 20+0wks PIH / 현병력) 27+5wks GDM (50g 경구 당부하 수치에서 190/100g에서도 상승)
27+5wks 레버미어 아침기상 시 36단위+식사 15분 전마다 휴마로그 6단위씩 자가 투여(4회/day)
self BST(total 6회): 아침 공복 시, 아침 1시간 후, 아침 2시간 후, 점심 1시간 후, 저녁 1시간 후, 취침 전 시행
- 혹여나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식간 NPO와 ABR중임
- DM식이 시작(국물, 소스 자제/2000kcal 미만으로 섭취, 식단 Self 기록 후 간호사에게 알리도록함)
입원 시 irregular contraction, 60-70초, 10-20torr2:00 irregular contraction 30분간 2회15:00 30분간 3회(50-70초/10-40torr), 21:00 3~8분(30-60초 간격, 10-40torr), 23:30 7-10분(50-50초 간격, 10-20)irregular wave form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에게 입원기간동안 지식부족으로 인한 문제상황이 일어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제공되는 처치의 목적을 이해하고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다.
간호계획(Planning)
합리적 근거
ABR의 목적과 절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짧은 자궁경관으로인해 조산의 위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절대침상안정을 통해 조기에 경관이 열리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또한 NST 적용 중 계속해서 태아심음의 위치가 바뀌고 있기 때문에 유지를 위해서라도 ABR이 잘 지켜져야한다.
2. Self BST 및 인슐린 자가투약을 실시하는 경우 간호사가 주기적으로 잘 시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BST나 자가투약이 실시되지 않았을 경우 간호사가 판단하에 시간 간격을 두고 검사 및 투약을 실시해야한다. 만약 시행하지 않았다면 그 이유에 대해 물어 앞으로 투약과 검사가 제시간에 이뤄질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3. DM식이, NPO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잘 조절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식단을 기록하도록한다.
임신성 당뇨로 인해 DM식이를 제공하고 있으며 하루 권장량인 2000kcal가 넘지 않도록 식단을 정확히 기록하도록 돕는다.
조산의 위험으로 인해 언제 수술에 들어가게 되는지 모르는 상태이다. 따라서 식간 NPO로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4. IV를 교체하는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감염의 위험 때문에 IV는 3일에 한번 교체해야한다.
5. 처치 때마다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궁금한 것은 없는지 불편한 것은 없는지에 대해 질문하도록 도와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해 대상자 스스로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간호사는 처치 시마다 치료적 의사소통을 제공하여야한다. 또한 대상자의 질문에 정확한 지식으로 답변하면서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하고 지식부족을 해소할 수 있어야한다.
간호평 가
지난 2주간 관찰하였을 때는, 처치에 대한 순응도는 높았지만 계속된 처치로 인해 피곤하고 예민한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하지만 감정의 회복이 빠르고 태아에 대한 기대감과 긍정적인 태도로 다시 금방 회복하고 설명 때마다 지식을 바로잡는 모습을 보였다. 2주간의 실습이 끝나 해소되었는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04.15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7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