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에 있어 민족 이질화의 내용과 극복 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시작하는 말 - 민족 이질화는 정말로 중요한 문제인가?

II. 심리적 이질감의 내용
1. 남한 사람들이 북한 사람들을 향하여 가지는 이질감
2. 북한 사람들이 남한 사람들을 향하여 가지는 이질감

III. 남북의 이질감은 어떻게 극복하여야 하는가?
1. 상대방에 대하여 알고 이해하여야 한다.
2. `사람의 통일`을 위한 준비 교육이 전체 국민들에게 이루어져야 한다.
3. 이질화를 바라보는 눈을 다르게 가져야 한다.

IV. 민족적 이질감을 극복하는데 있어 한국 기독교의 역할

V. 마치는 글

본문내용

남북한간 인성통합을 위하여. 서울. 나남출판
전우택 (1994) : 신흥종교집단에 대한 정신의학적 이해. 정신병리학 3(1) : 23-33
전우택 (1996) : 신흥종교 집단에 들어가는 과정에 대한 정신의학적 고찰. 신경정신의학 35(2):249-259
전우택 (1997a) : 탈북자들의 주요 사회 배경에 따른 적응과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통일연구 1:2 p109-167.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전우택 : (1997b) : 난민들의 정신건강과 생활 적응에 대한 고찰 및 한반도 통일과정에서 전망과 대책. 신경정신의학 36:1 p3-18
전우택, 민성길, 이만홍, 이은설 (1997) : 북한탈북자들의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6:1 p145-161
전우택 (2000) : 사람의 통일을 향하여 - 이질화된 남북한 사람들의 심리적 통합을 위한 사회정신의학적 고찰. 도서출판 오름
조혜정 (1994) : '북조선'과 '남한'의 동질성과 이질성. 또 하나의 문화통일 소모임. 통일된 땅에서 더불어 사는 연습, p 45-52.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Child IL (1943) : Italian or American? The Second generation in Conflic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Glazer N, Moynihan DP (1970) : Beyond the Melting Pot: The Negroses, Puerto Ricans, Jews, talians, and Irish of New York City. Cambridge MA, Mit Press, 2nd edition
Handlin O (1973) : The Uprooted. Boston, MA, Little Brown, 2nd edition
Park PE (1928) : Human migration and the marginal ma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33: 881-93
Warner WL, Srole L (1945) : The Social Systems of American Ethnic Group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Wirth L (1925/1956) : The Ghetto.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요 약
통일에 있어 민족 이질화의 내용과 극복 방안
한반도에서 정치, 군사, 경제적인 "땅의 통일"이 이루어 진다 할지라도 이질화된 사람들의 심리적 통합인 "사람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한반도에서의 통일은 많은 문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절실하다.
남한 사람들이 북한 사람들에 대하여 가지는 이질감은 크게 세 가지로 이야기 할 수 있다. 첫째, 정치적 영역이다. 이것은 김일성, 김정일에 대한 우상 숭배적 태도에 대한 이질감이다. 둘째, 문화적 영역이다. 북한 사람들의 말의 억양이나 일사분란한 미소와 춤동작 등에서 이질감을 느끼는 것이다. 셋째, 심리적 영역이다. 어린 시절부터 받아온 반공교육에 의한 심리적 장벽이 매우 높은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북한 사람들도 남한 사람들에 대하여 이질감을 느끼고 있다. 그동안 탈북자들의 말을 통하여 나타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상적, 가치관적인 영역이다. 남한 사람들은 북한적 기준으로 볼 때 지나치게 사상성도, 가치관도 없는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둘째, 문화적 영역이다. 외래어의 범람, 인기 가수들에게 보이는 청소년들의 광란적 태도 등에 이질감을 느낀다. 셋째, 사고 방식의 영역이다. 북한 사람들은 '흑백 논리적' 태도가 강한데 비하여 남한 사람들은 지나치게 '회색 논리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질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상대방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깊이 있게 알고 이해하여야 한다. 그동안 남북한은 이데올로기적, 군사적 대립으로 말미암아 서로를 객관적이고 학문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제는 상대방의 입장에서 상대방을 이해해 보려는 객관적 시도를 하여야만 한다.
둘째, '사람의 통일'을 위한 준비 교육이 전체 국민들에게 이루어 져야 한다. 즉 이와 연관된 깊이 있고 균형 잡힌 영화, 연극, 소설 등이 활발하게 만들어져야 하고, 남북한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서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로 민족의 이질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필요로 된다. 즉 북한 사람들을 다 남한 사람들처럼 만들어 놓는 강요된 동질화가 이질화의 극복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북한적 몇 가지 특징을 나름대로 인정하고, 그것이 통일된 한국을 더 다양하고 강한 나라로 만들 수 있는 힘이 된다고 보는 시각을 가질 때 만 진정한 사람의 통일과 동질성 회복이 이루어 질 수 있으리라 보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의 통일을 이루는데 한국 교회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독교 신앙 자체가 '다른 것에 대한 포용'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기독교는 그 발생부터 유대인과 이방인, 노예와 자유민, 남자와 여자 등의 당시로는 넘을 수 없었던 장벽을 극복하며 만들어진 종교이다. 둘째, 남한 교회들이 가진 선교적 열정이 있다. 셋째, 6.25 당시 월남한 사람들 중 많은 사람이 기독교도라는 점이다. 그들은 가장 적극적으로 북한을 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동시에 한국 교회는 이 역할을 하기 위하여 내부적으로 극복하여야 할 과제들도 있다. 첫째, 교회 내의 극우적 반공논리이다. 둘째, 종교의 본질상 가지게 되는 배타적 태도이다.
민족 이질화는 우리 민족이 가진 비극의 산물이다. 그러나 이 이질화는 우리 민족에게 하나의 기회이기도 하다. 세계화되고, 인종, 종교, 문화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21세기에, 남북한 사람들의 이질화 극복 경험은 한민족을 세계에서 활동하기에 더 적합하고 유능한 민족으로 만들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을 통하여 하나님이 우리 민족에게 주신 분단과 통일이라는 역사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1.11.16
  • 저작시기20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