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례,혼례에대하여 구체적으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관례,혼례에대하여
□ 총 페이지수 : 49
□ 목 차:

혼례
혼인의 의미
전통적 혼례
《관례(冠禮) 》
관례의 의의
계례의 의의
계례의 절차

관혼상제(冠婚喪祭)에 관하여
베트남의 관혼상제
Ⅰ. 들어가는 말
Ⅱ. 꽌 레(Quan Le-冠禮)
Ⅲ. 혼 레(Hon Le-婚禮)
Ⅳ.땅 례(Tang Le-喪禮)
Ⅴ. 떼 례(Te Le-祭禮)
Ⅵ. 맺음말

본문내용

땅(man tang)이라고도 하며, 뜻은 이제 상복을 벗는다는 의미이다.
띠에우 뜨엉(tieu tuong-小祥)과 다이 뜨엉(dai tuong-大祥)이 끝나면 망자를 위해 종이로 만들었던 밍키(minh khi-冥器), 즉, 각종 생활용품, 의복, 이불, 접시, 그릇, 집, 배, 차, 오리, 닭, T.V, 냉장고, 카셋트 라디오 등을 저 세상에서도 생존시와 똑같이 쓰도록 태워버리는 풍습이 있는데 이를 돗 마(dot ma)라고 한다. 돗 마(dot ma)시에는 태울 물건들을 모두 묘 앞에 가지고 와서 스님을 모시고 독경을 하고 예를 올리고 나서 태운다.
Ⅵ. 맺음말
지금까지 살펴 본 베트남의 통과 의례는 과거 북속시대의 영향으로 중국 문화로부터 기원하여 발전된 4가지 관혼상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가정의례는 베트남 토착민 그리고 소수민족들의 고유 문화와 접목되면서 중국 고유 의례와는 달리 약간씩 변천되어 왔다. 더욱이, 과학의 발달, 사회제도의 변천과 종교의 영향으로 원초적인 과거의 의례 모습을 찾는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지방마다 개별 민족마다 고유의 문화를 간직하고 있어 베트남 전체를 가름하는 혼례, 상례, 제례에 대한 정해진 의례 절차가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중국의 의례에 관한 책이 베트남에 소개되면서 베트남 현실에 맞게 적용되다 보니 중국의 의례를 골간으로 한 베트남형 의례가 생겼다고 할 수 있다. 설화를 기원으로 한 부부애의 상징으로 예물의 필수품 쩌우까우의 등장이 그러하고 신부가 시댁에 처음 도착할 때에 화로를 문지방에 놓아 밟고 들어오게 함으로써 화로불의 힘으로 악령을 태워버리고자 하는 다분히 주술적인 풍습, 시어머니가 '보이'단지를 들고 이웃에 잠시 피신하였다가 되돌아오는 풍습은 원시 신앙적인 면을 엿볼 수 있는 독특한 풍습이다. 중요한 절차마다 반터에 예를 올리고 의례를 진행하는 것은 조상 숭배가 신앙에 가까울 정도로 강하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이러한 조상 숭배에 대한 정신은 다음의 고사성어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즉, "꺼이 꼬 꼬이, 느읔 꼬 응우온-cay co coi, nuoc co nguon:뿌리 없이 나무 없고, 샘 없이 물 없다"라든지, "우옹 느읔 녀 응우온-uong nuoc nho nguon:飮水思源)이라는 고사성어에서 우리는 베트남 사람들의 조상 숭배에 대한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할 수 있다. 즉, 뿌리가 있어야 나무가 있고 샘이 있어야 물이 있듯이 조상이 있음으로 해서 '나'가 존재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이 바로 베트남 사람들의 기저에 깔려 있는 조상에 대한 숭배정신이라 할 수 있겠다.
● 관혼상제의 의의
관혼상제란 관례, 혼례, 상례, 제례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이를 사례라고 합니다.
재래의 전통적 의식은 근세 200여년 동안 우리나라 가례에 기준이 되어온 사례편람에 바탕을 둔 것입니다.
관례는 남자의 경우 성인이 되었다는 상징으로 갓을 씌우는 것을 의미하며 여자의 경우에는 머리를 올리고 비녀를 꽂는 의식을 의미합니다. 관례는 성인식으로, 근대 우리 나라 예속에서 관례 의식은 사라졌습니다.
혼례는 오래 전부터 잡다한 형식으로 전해 내려오다가 고려시대에 잡다한 풍습이 일원화되고 이조시대에 이르러 좀 더 규례화 되었습니다.
상례는 부모가 별세하면 3년 동안 거상하고 대상이 지나서 시제를 드리기까지 하는 모든 절차를 총칭하는 말입니다.
제례는 조상숭배 사상에서 온 제사 의식으로 우리 나라 옛 제례는 매우 까다로운 절차로 의식이 집행되었습니다. 어느 나라 국민생활에 있어서나 의식이 차지하는 위치는 대단히 중요합니다. 서구는 기독교 의식에 기초를 둔 것이고, 일본은 불교 의식에, 중국은 유교 의식에 근거했습니다. 그런데 한국인의 의식은 그 저변에 무속 적인 신앙이 뿌리를 박고 있으면서 조선왕조시대는 주자학을 나라의 이념으로 삼았기 때문에 전통적인 관혼상제는 주자가례에 매우 가깝게 행해지고 있었습니다.
불교나 유교가 우리 나라에 들어오면서 우리 민속의 의식에 틀을 형성시켜 주고 신앙적 내용을 추가시켜 줄뿐 아니라 관혼상제 의식의 저변에 흐르고 있는 기복신앙에도 불교와 유교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이 사실입니다.
천주교기 이 땅에 전파되면서 제일 먼저 부딪힌 문제는 조상제사 문제이었습니다. 조상 제사 문제는 천주교 박해시대 100년간 한국 천주교회의 숨통을 조이는 가장 큰 박해의 명분이었습니다.
개신교도 관혼상제 문제 때문에 박해를 받았습니다. 오늘날에는 조상 숭배가 과거와 같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여전히 조상숭배는 예수 믿으려는 사람에게 장애물이 되고 있습니다. 가정불화가 일어나고 조상에 대한 제사를 지내야 복을 받을 수 있다는 것과, 자식의 도리로서 돌아가신 부모를 생각해야 하는데 나타나는 갈등을 여러 교인들에게서 보게 됩니다. 그러므로 목회자는 관혼상제 문제에 대해서 상담을 하고 형편에 따라서 지도를 해야 합니다.
사회의 변동에 따라 모든 전통의례가 크게 흔들리고 있기 때문에 가정의례준칙이 새롭게 제정되고 있습니다. 개신교가 관혼 상제에 대한 어떤 신학을 의례화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관혼상제에 대한 의식이 교파마다 다르고 목회자에 따라 다르게 거행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개신교의 의식서는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첫째는 각 교단에 따라 제각기 사소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고, 둘째는 각 교단이 스스로 마련한 의식서이면서도 그 의식서는 지침서나 안내서이기 때문에 굳이 고집할 필요가 없다는 너그러움을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전통 문화의 유산인 관혼상제를 기독교가 수용하여 기독교 정신으로 진행하려면 몇가지 기본 명제를 전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첫째, 관혼상제 의식의 신앙적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둘째, 관혼 상제는 삼과 관계된 의식이라는 이해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셋째, 관혼 상제의 의식을 간소화하는 것을 전제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기독교는 의식의 형식을 버리고 간소화를 전제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사람도 깊은 감정의 차원에서는 여전히 형식에 기울어지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례나 추도예배 시간에는 많은 전통 의식이 가미될 소지가 있습니다.

키워드

관례,   혼례
  • 가격3,3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02.04.18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