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실학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머 리 말
2. 정약용의 생애
3. 다산의 정치사상
4. 다산의 경제사상
5. 맺 음 말
-----------------------------

본문내용

당시 국왕의 자문에 대한 답인 만큼 실현가능하였으며
종래 자연발생적인 영농방법을 과학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고쳐보려는 의도가 전편에 일관되어
있는 것은 그 시대에 뛰어난 제안이었다. 다산의 중농사상은 단순히 농업을 주중하는 것에 그치
지 않고 重農.上農 등과 같이 농민을 존대하자는 의미이다. 당시의 농민은 거의 노예화 되어 있었
으며 踐農, 離農의 풍습은 극단에 처해있었다. 이에 그는 사농공상의 지위를 균등하게 대하고 농
민을 한층 더 존재함으로써만 歸農과 力農을 보장할 수 있으며 遊食.離農의 악폐를 퇴치할 수 있
다고 하였다.
당시의 환곡제에 대한 피폐를 청구영언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피, 좁쌀 못 먹인 해에
무럽꾸리도 하도할샤.
陽德, 孟山, 酒이
永柔, 肅川 화냥년들이
저다 타 먹은 還上을
이늙은 내게다 물리라 하네
還上에 볼기 설흔 맞고
長利갑세 銅솟출 둑 떼어낸다.
사랑하던 女妓妾은
이월차리가 등미러 간다.
이하생략
맺음말
이상으로 조선 후기의 실학과 이를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학자들은 그
들의 학풍을 중심으로 정치적으로는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경제적으로는 삼정의 부패속에서 억
압과 압박을 받던 민을 위한 새로운 정책과 의견을 제시했던 것이다. 그들은 경세치용학파, 이용
후생학파로 나뉘어지는데, 전자는 대체로 토지제도와 행정기구에 대한 실학자들이고, 후자는 상공
업과 기술개발을 주장한 실학자들인데 다산은 이러한 실학을 독창적으로 창조적으로 한 단계 더
수준을 높혀 집대성하였다.
그의 사상 중, 특히 정치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을 살펴보았는데 그의 정치사상에는 근대적 민
주주의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경험을 통해 절실히 느낀 농민들을 존대하자는 의식과 민권의식이
드러난다. 또 그의 정치사상이 담겨있는 {원론}에서는 정치적 평 등을 위해서는 경제적 평등이 선
행되어야 함을 주장했고, {목민심서}에서는 타락한 관리들에게 귀감이 되는 목민술을 쓴 것이다.
경제적 사상은 그에게 있어서 중농을 중시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그것은 중농, 상농과 같이
적극적으로 농민을 중시하는 유식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입장이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목민심서} 권4, 吏典 제 1조 束吏.
유동원, 1983, {한국실학개론』, 정음 문화사,
최익한, 1989, {한국실학개론}, 청년사,
최익한, 1989, {실학파와 정약용} 청년사,

키워드

정약용,   실학,   사상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5.19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