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주택정원의 전통계승기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현대 주택정원의 전통계승기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총 페이지수 : 11
□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II. 전통주택의 공간구성 및 작정기법의 설계적 해석
1. 전통주택의 공간구성체계
2. 정원의 의미와 조영의 사상성
3. 전통적 식재기법
3. 석물 및 수경시설의 도입
III. 전통조경 요소의 현대적 적용 방안
1. 설계 원칙의 정립
2. 공간구성 및 설계적 적용
결론
참고문헌



*한글2002로 작성하였습니다.
*한글97에서는 보이지 않아요

본문내용

를 느낄 수 있는 공간, 아름답게 감싸는 여성의 정취를 체험하는 園의 공간, 숲을 조성함으로써 군식에 의한 수목의 스카이라인 형성 및 수간의 실루엣 효과 등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강조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5) 후원(들꽃, 산책, 소요정, 모임터)
자연속에 있는 것을 발견하고 부각시키는 것이 동양인의 태도이다. 동양의 미와 창조에 대한 태도는 서양의 것과 달라 자연의 理와 氣를 풀어 자연이 그 자체가 될 수 있게끔 이미 아름답고 창조적인 자연 그 자체를 열어주는 것이다.1)
따라서 기존 과수원(桃花園)을 활용하여 산책길을 걸어가면서 다양한 들꽃을 감상 할 수 있는 逍遙庭을 조성하며, 亭子木아래 모임터를 두어 여름을 즐기며 밤하늘의 정경과 노래를 할 수 있는 天, 地, 人의 만남터를 만든다. 연결로를 통해 안뜰과 뒷뜰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산책길을 조성하고 모임터, 草亭園, 桃花園을 구성하였고 참나무류, 살구, 산딸나무를 재식하여 전원속의 民家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하였으며 진달래, 도라지, 제비꽃, 민들레, 달맞이꽃 등의 들꽃으로 향토미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복숭아나무와 배롱나무를 보존하였으며 그리고 시설물로서는 침목, 평석 산책로, 침목계단, 草亭, 평상, 바베큐 그릴을 도입하였다.
이 공간에서는 갑갑한 도시생활을 벗어나 시원한 옛 정경을 체험 할 수 있는 주인 선호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즉 장소의 다양성외에 식재의 향토성을 증가시켜 자연의 아름다움, 풍부함, 신바람을 느끼게 하고 자연에 대한 사랑과 배움의 계기가 되는 뜰이 되도록 하다.
6) 實用庭(別庭)
살림집에서 菜田, 藥草園, 닭장과 같은 한국의 정서에 부합되는 뜰의 조성으로 주거성을 표현하는 서비스 공간이 되도록 한다. 또한 연못, 계류를 도입하고 수생, 습지식물을 곁들여 수경공간을 연출하였으며 그리고 주인의 취향이 반영된 녹색카페트 잔디마당을 도입하여 다용도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즉 창고, 주차공간을 도입하여 실용적 기능성에 비중을 두었으며 창고(주차 겸용), 주차장, 채전, 약초원, 닭장, 잔디마당, 연못을 설계하였고 기존 복숭아 과수원을 활용하였다. 외곽 경계부에 대나무, 탱자나무, 사철나무 생울타리로 영역성을 부각하고 시각불량요소를 차폐하였고 유실수와 녹음수로 실용성 및 기능성을 충족시켰으며, 연못, 계류에 물옥잠, 어리연 등 水生植物을 도입하였다. 약초원에는 관상미가 부각되는 도라지 등의 군락미를 도모하였다. 시설물로는 연못, 평상, 벤취, 플랜터, 溪流, 조명등, 창고, 닭장, 주차마당를 입지시켰으며 샘터, 개울, 연못, 水路 등을 연계시켜 정적효과 뿐 아니라 물의 동적, 입체적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공간에서는 농경살림을 체득하도록 하여 노동하며 즐기고 자연을 사랑하는 실체적 공간임을 느끼게 하였다.(도4)(도5)(도6)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전통의 계승과 창조라는 맥락에서 전통적 공간구성기법 및 작정기법을 현대의 주택공간에 실천적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설계적 적용에서는 주거공간을 廣域景觀構造體系속에 관련시켜 접근하였고 傳統文化的 성격의 공간 이미지를 은유적으로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전통공간 및 경관요소의 현대적 접목의 방향을 조경적인 측면에서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현대 주거공간에서의 경관적 이미지는 조영물의 물리적인 획일배치에 의존하고 있어 입지환경과 조화된 合一性을 찾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산세와 지형조건을 고려하고 향토적소재를 활용하여 전통성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며 생태적 에너지 보전형 재식의도를 반영하고 차경기법과 같은 시계구성으로 자연동화적 공간구성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현대 주거공간은 조형원리가 활용되지 못하고 외부공간의 성격이 모호한 비인간적 척도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본능적으로 친근감을 느끼는 공간규모를 선호하므로 이에 따른 목적공간 확보를 통해서 탐미관이 적용되는 등 내외부공간이 調和되는 단위공간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3. 현대 주거공간은 공간의 위계 및 연속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영역성이 나타나지 않고 공간적 체험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목적공간 진입시 급격한 경관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매개공간을 확보하고 亭子木, 有實樹 등을 도입하여 식별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고유 문양소재로 부터 이미지를 발견하여 마을과 연계된 외부공간 조성으로 보다 넓은 私的 外部空間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4. 현대주택은 실내의 내적질서에 비중을 두기 때문에 옥외공간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고 높은 담장으로 인해 정원의 privacy는 확보되나 활용도가 낮아지고 상징성, 명료성, 심미성등이 상실된다. 그러므로 현대 민가 정원에서도 심미성과 실용성이 동시에 투영된 動的 體驗空間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감사의 글: 전산도면처리에 도움을 준 조광연군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
참고문헌
1.고주석, 1998, 작정기, 환경과 조경1998, 1,2월호
2.대한주택공사, 1988, 전통조경요소를 도입한 단지경관 구성 연구,pp9-106
3.민경현, 1991, 한국의 정원문화, 예경산업사
4.변우혁, 1976, 이조시대 정원의 수목과 배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논문
5.신상섭, 1991, 전통주거의 외부경관 구성체계에 관하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신상섭 외, 1996, 동양조경사, 문운당, pp.201-212
7.안봉원외, 1986, 조경계획론, 문운당, pp108-109
8.엄붕훈, 1988, 정원의 설계방향과 구성연구, 환경과 조경 제22호
9.윤국병,1982, 고려시대의 정원용어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ppp28-40, 1982
10.이규보, 동국이상국집, 고전간행사, 동국문화사, 1958
11.이명우, 신상섭, 1995, 조경설계의 실제(Ⅱ), 기문당, pp101-103
12.정동오, 1986, 한국의 정원, 민음사, pp.22-23
13.簡野道明,1955, 字源, 角川書店, pp372-373
14.樂嘉藻,1933, 中國建築史, 華世出版, pp9-13
15. IFLA 한국조직위원회,1992, 한국전통조경, 도서출판 조경,p104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06.14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0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