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Ⅰ. 서 론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서 현장에서 언어 지식(문법)을 다룰 때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문제, 즉 언어 지식(문법)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에 관련된 제안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그 제안의 핵심은 그 교수 학습 방법으로 탐구 학습의 방법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탐구 학습이란 일찍이 듀이나 브루너 같은 학자들에 의해서 지지되어 온 교수 방법의 하나로 이미 널리 알려진 교수 학습 방법이다. 그 동안 이 문제에 관심이 없었던 국어 과목에서는 다소 낯선 술어라는 면이 있겠지만, 과학 과목은 물론, 심지어는 일부 사회과 과목에서도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 그렇지만 국어과에 내부에서도 이러한 방법에 대한 제안이나 관심은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다(이대규. 1994. 박영목. 1995년 참조). 반면에 학생들의 입장에서 보면 이 술어는 매우 익숙한 말이다. 학생들은 이미 초등 단계에서부터 이 방법을 사용한 학습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Ⅱ. 문제점인식



Ⅲ. 탐구 학습의 이해



Ⅳ.언어 지식(문법)과 탐구 학습의 실제


Ⅴ. 정 리

지금까지 언어 지식(문법) 영역의 교수 학습에 탐구 학습 방법을 도입하자는 주장과 함께 그 전개 가능성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이 아무리 훌륭한 방법이라고 하더라도 전혀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국어교육 분야에서는 다소 생소한 교수 학습 방법인 이 탐구 방법의 문제점들도 함께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우선 탐구 수업의 실천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탐구 수업은 같은 주제를 전통적인 방식, 즉 설명식, 주입식, 암기식으로 가르치는 것보다 시간을 더 많이 필요로 한다. 게다가 현실적인 문제, 즉 입시 대책 같은 것 때문에 정신이 없는 실정인데 언제 일일이 이러한 탐구 학습의 방법으로 수업을 설계할 수 있겠는가 하는 점도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가 아니더라도 현재 교육과정의 언어 지식(문법) 영역에서 요구하는 상당량의 학습 내용을 모두 탐구 방식으로 다루는 일은 불가능하다. 또한 실제로 탐구 방법으로 다루기 어려운 제재도 있다.



부록>

본문내용

하여 가설로 정리해 보자.
자료 수집 활동
적절한 자료의 수집을 위해
교사가 도울 수 있다.
준비
자료
'-음/-ㅁ' : ㄱ. 꿈, 잠, 춤, 삶, 죽음, 튀김, 셈, 울음, 셈, 믿음, 기쁨, 슬픔
ㄴ. 열심히 공부함. 열심히 공부하고 있음. 열심히 공부하고 있기는 함.
'-기' : ㄱ. 달리기, 높이뛰기, 멀리뛰기, 오래달리기, 줄다리기,
술래잡기, 보기, 굽기, 졸이기, 삶기, 튀기기, 볶기,
더하기, 빼기, 나누기, 곱하기
ㄴ. 앉기, 서기, 않히기, 세우기, 죽이기, 살리기, 주기, 빼앗기/날이 갈수록
살기가 힘들어./가기도 잘도 간다, 서쪽 나라로./큰 소리를 치기는 잘도
치네만/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기는 하다.
추리
추리 활동 유도
.'-음/-ㅁ, -기'가 사용된 말들을 각자 더 조사해 보자.
.그렇다면 '-이, -음/-ㅁ, -기'가 붙을 수 있는 말과 그렇지 못한 말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가설을 세워 보자.
추리활동
추리결과 정리, 발표
학생들이 발견한 것을 토대로
가능한 한
다양하게 추리하도록 한다. 시행 착오의
과정도 경험할 수 있다.
준비
자료
<예상되는 학생들의 추리>
1. 혹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차이는 아닐까?
2. 동작, 비동작의 차이는 아닐까?
3. 품사가 다르기 때문이 아닐까?
4. 단어 만들기와 문장 만들기의 차이가 아닐까?
5. 규칙성과 비규칙성의 차이는 아닐까?
가설
세우기
추리결과 검토, 가설 확정 유도
.각자 세운 가설을 발표해 보자.
가설 세우기 활동
가설 정리, 발표
방향이 이상한 추리에도 교사는 개입하지 않는다.
준비
자료
<예상되는 가설>
1.이들은 각각 문장 만들기와 단어 만들기로 구별되는 것 같다.
2.문장 만들기와 단어 만들기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는 것 같다.
문장 만들기 - 규칙적 출현
단어 만들기 - 불규칙적 출현
과정3. 잠정적 결론(가설) 검증
과정
교 사
학 생
비 고
증거
수집
잠정적 결론 확정, 뒷받침 증거 수집유도,
다양한 자료 수집 고무.
.잠정적 결론(가설)을 뒷받침해 주는 자료를
더 수집해 보자.
증거 자료 수집 활동
교사는 개입하지 않는다. 이 단계부터 그룹 활동으로 들어가는 것도 좋다.
증거
정리
정리 활동 고무
.가설과 자료가 일치하는지 확인해 보자.
증거 자료 정리 기록
정리 과정 관찰 적절한 선에서 조언
증거
분석
가설과 증거의 합치 유도
.자료에서 얻은 증거들이 가설을 뒷받침해
주는가?
.뒷받침한다면 어떻게 할 수 있는가?
.뒷받침해 주지 못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증거 분석 결과 정리
분석 결과 발표
교사가 가지고 있는 분석 결과는 끝까지 공개하지 않는다.
과정 4. 결론 진술
과정
교 사
학 생
비 고
증거와 가설 사이의 관계검토
결론 발표 유도
가설들의 합리성 판단활동
다양한 결론 발표허용
결론추출
및 진술
결론 정리 유도
가장 우수한 결론 판단
적절한 결론 추출정리 발표
적절한 시기에 결론을 확정
준비
자료
<예상되는 결론>
.'-음/-ㅁ, -기'는 문장도 만들고 단어도 만든다.
.'-이'는 문장을 만들지는 못한다. 오직 단어 만들기에만 사용된다.
.문장을 만들 때는 규칙적이어서 어느 문장에서나 가능하다.
.단어를 만들 때는 불규칙적이어서 가능한 경우도 있고, 가능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과정 5. 결론의 적용 및 일반화
과정
교 사
학 생
비 고
새로운
자료에
결론
적용
새로운 자료 제공<준비 자료 참조>
결론의 적용 유도
결론의 일치 여부 확인 유도
.이 자료들을 '-음/-ㅁ, -기' 의 검토를 통해서 나온 결론과 비교하여 보자.
.규칙적인 것은 어떤 것이고 비규칙적인 것은 어떤 것인가?
.이 중에서 사전에 실리는 말은 무엇이고, 그럴 수 없는 말은 무엇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주어진 자료의 용례 수집
결론과 비교
새로운 자료에 적용 및
합치 여부 판단
결론의 합리성 평가
일반적인 자료에까지
확대 적용해
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유도 한다.
준비
자료
'-이-,-히-,-리-,-기-,-우-,-구-,-추- ’/ '-이-,-히-,-리-,-기-’/ ‘-었-,-겠-,
-더-,-시-’등이 사용된 다양한 용례
┌ 규칙성 : 문장 만들기
┗ 불규칙성 : 단어 만들기
다양한 접사(접두사, 접미사의 용례)
결과의
일반화
시도
일반화, 의미 확인, 중요성 확인
.지금까지 알아낸 사실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단어 만들기와 문장 만들기는 각각 어디에 활용할 수 있는가?
질문에 반응, 발표
학생들의 응답이 활동적이지
못할 경우 적절한 시기에 교사가 정리한다.
이러한 활동의
가치 문제를 부각한다.
준비
자료
<탐구의 의의, 교사 유도 혹은 설명>
.이같은 관찰을 통해서 국어 현상을 체계적, 논리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가질 수 있다.
.문장 만들기와 단어 만들기는 그 성격이 각각 다르다. 비슷해 보이는 현상이라도
문장 만들기에 사용되는 것은 '어미',단어 만들기에 사용되는 것은 '접사'이다.
.문장 만드는 법은 정확한 문장의 구사에 도움을 준다.
.단어 만드는 법은 새로운 말을 만들 때 활용된다.
발전
.복수를 나타내는 '-들'은 문장 만들기인가, 단어만들기인가?
(즉, 어미인가? 접미사인가?)
.-음-/-ㅁ, -기'가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들은 의미가 각각
어떻게 다른가?
새로운 문제 인식으로
발전 가능.
탐구 결과가 통용되고 있는 지식에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새로 등장한 문제에 관심을 유도한다.
<부록 2>탐구 학습의 몇 가지 모델

a. 자료로부터 하나의 문제를 찾아낸다.
b. 가설 설정한다.
.분석적 질문을 한다.
.가설을 진술한다.
.가설의 잠정적 성격에 유의케 한다.
c. 가설의 논리적 의미를 인식한다.
d. 자료를 수집한다.
.필요한 자료 결정한다.
.가설에 대한 관련을 토대로 자료를 선택한다.
e. 자료의 분석, 평가, 해석을 행한다.
.원자료로부터 적절한 데이터를 선택한다.
.원자료의 眞僞를 검토한다.
.원자료를 평가한다.
(원자료 작성자의 사고 검토 및 사실 진술의 정확성 검토)
f. 자료에 비추어 가설을 평가한다.
.필요하다면 가설의 일부를 수정한다.
.일반화를 진술한다.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2.06.27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