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산업의 현황과 구조분석(항공산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현황

Ⅲ.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구조

Ⅳ. 발전전략

Ⅴ. 결론

본문내용

있다.
영종도 신공항과 수도권 요지의 셔틀항로 개발
기존 김포공항이외에도 영종도 공항을 적극 활용해 육상교통과 함께 셔틀항로를 수도권지역에 배치해 국내수요의 '틈새'시장을 개발할 수 있다.
영종도 신공항의 동북아 허브공항으로서 인근 해외공항과의 연락항로 활성화
영종도 신공항의 동북아지역 허브공항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해, 인근 일본 및 중국 등으로부터의 "환승수요"의 개발로 중소형항공기에 대한 신규수요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근 해외공항과의 연락항로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기능의 통합
항공기산업에 정부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정부 각 부처간의 긴밀한 협조 및 통합체계가 매우 중요하다.
정부 각 부처에 산재되어 있는 항공기산업관련 정부기능의 통합
산업자원부, 국방부, 과학기술부, 건설교통부 등 정부 관련부처의 항공기산업 지원기능을 통합하여 일원화할 수 있도록 통합기구의 설치가 시급하다.
국방부의 군용기 수요 제기 및 군비행장/공역의 공급 기능
통합기구 및 부서설치와 병행되어 국 세부기관에서의 고유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방부는 군용기 수요의 정확한 예측, 군비행장 및 공역규제의 완화 등을 통해 항공기산업의 육성 및 지원을 기대할 수 있다.
건설교통부의 공항 및 운항사업에 대한 관리 및 감독 기능
건설교통부는 국방부 등 관련기관과 협조하여 군비행장의 사용확대, 공역의 규제완화, 항공운송사업의 전반적 검토를 통해 항공운송사업의 활성화를 지원한다.
산업자원부의 산업지원 및 육성기능
산업자원부는 '항공우주공업과'의 부활 등 항공기산업육성을 총괄하여 추진하는 전담부서의 설치하여 항공기관련산업전반의 지원 및 육성기능을 전담한다.
과학기술부의 기술개발 지원 기능
과학기술부는 항공기관련 부품 및 소재산업에 대해 기술개발의 지원 등을 통해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항공기개발사업을 지원한다.
Ⅴ. 결론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항공기산업은 여러 산업분야에 걸쳐, 생산 및 기술측면에서의 제반 파급효과가 지대한 최첨단의 종합기술산업이며 국제경쟁력 결정에 있어 중요한 전략산업이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은 F-16 전투기사업 종결 이후, 향후 후속생산물량의 공급이 매우 불확실할뿐 아니라 내용면에서 막대한 규모의 수입초과를 보이고 있고, 생산측면에서는 수출보다는 내수에 치중되어 있는 등 전체 항공기산업이 매우 어려운 국면에 처해 있다.
게다가 장기적으로 항공기산업의 육성 및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인력과 시설투자가 극히 미약하거나 오히려 감소추세여서 여전히 취약성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같은 점은 산업구조적인 분석에서도 나타나는데, 1995년도 산업연관표에 의하면 1995년도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국내총수요는 3조 842억원이며, 이것은 우리나라의 항공기산업의 수요는 국방부문의 군용기 수요, 국제선 취항용 민항기 수요, 정비용 부품수요, 및 하청생산 수출을 위한 자재 및 부품수요에 크게 편재되어 있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우리로서 진입 가능성이 있고, 앞으로 적극 육성되어야 할 중형항공기 및 경량의 소형기 부문에 대한 수요는 현재까지 거의 창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생산구조측면에서의 부가가치율도 1995년도 기준 27.6%로서, 비교대상이 되는 자동차(30.6%), 통신기기(29.9%), 가전(31.3%), 등의 부가가치율에 비해 현저히 낮아 수치상으로는 상대적으로 저부가가치 산업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부가가치율이 낮게 보고되고, 또한 연도별로 부가가치율이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동 산업이 아직도 발전의 초기단계로 크게 해외부분에 의존하고 있어서 안정적이지 못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국산화율은 32.4%에 지나지 않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즉 항공기산업 내부에서 공급되는 주요정밀 부품은 주로 외국으로부터 도입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은 이러한 취약한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산업연관효과, 즉 생산유발효과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는 실정이 아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정부개입을 포함한 효율적이고 장기적인 발전전략수립이 적극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발전전략의 추진방향은 무엇보다도 고부가가치화를 지향하는 방향에서 모색되어여 하며 그에 대한 여러 대안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 고 문 헌>
노희목(1984), 「일본 항공기산업의 산업연관분석」, 『항공산업과 국방경제연구』, 제 10집, 항공산업연구소.
산업연구원(1989), 『이륙기를 맞이한 일본의 항공기산업 - 기술입국에의 견인차역으로서 -』.
유영기(1979), 「항공기 제조업의 산업연관분석과 정책적 함축성」, 『항공산업과 국방경제연구』, 제 1집, 항공산업연구소.
한국은행(1993), 『1990 산업연관표』
____(2000), 『1995 산업연관표』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1995), 『일본의 항공우주산업』
____________(2000), 『항공우주산업통계』
日本 行政管理廳(1984), 『소화 55년 산업연관표』
日本航空宇宙工業會(1992), 『世界の航空宇宙工業』.
Saw, David(1984.4), "The Emergence of the Third World Aircraft Industry," Military Technology.
Cairncross(1991), Sir Alec Planning in Wartime : Aircraft Production in Britain, Germany, and the USA, St Martins Pr Text.
Klepper, G.(1990), "Entry into The Market for Large Transport Aircraft", European Economic Review 34, No. 4: 775-803.
Tyson, Laura(1992), Who`s Bashing Whom? Trade Conflict In High-Technology Industries,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es, Washington DC
  • 가격무료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