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비평과 영화 (영미 문학비평)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thor's culture influences her attitude toward her society?
▶ Compare and contrast the film with Spike Lee's Malcom X.
『컬러 퍼플』을 토론하면서 반드시 거론해야하는 것 중의 하나는 위의 질문중에서 간단히 암시된 바처럼, 이 작품에 대한 미국 사회의 분열된 수용태도이다. 즉, 놀라움과 흥분으로 극찬을 하며 받아들인 비평가들과 독자들이 있는가하면, 또 그만큼 많은 수의 독자들은 드러내놓지는 못하더라도 탐탁치 않게 이 작품을 받아들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처럼 다분히 정치적인 수용 태도를 극명하게 반영했던 현상은 바로 다름아닌 그 해의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였다. 즉, 그 해 1985년에는 이 작품과 함께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가 각각 11개의 아카데미 상에 노미네이티드되었었다. 놀랍게도 이 작품으로 인해 그토록 극찬을 받았던 스필버그는 감독상에 노미네이티드조차 되지도 못했었다. 이렇듯이,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배후에서 작용한 아카데미상 선정팀의 위원들은 『컬러 퍼플』에 차갑게 등을 돌려버렸다. 그 해는 결국 『아웃 오브 아프리카』가 아카데미상을 휩쓸고 『컬러 퍼플』은 단 하나의 오스카상도 없이 끝나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그렇다면, 왜 그토록 미국 문학의 고전적인 작품으로 부상되고 그 영화화도 극찬을 받았던 이 작품이 외면을 당했을까 하는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는 확실히 지난 1994년도에 있었던 스파이크 리Spike Lee감독의 영화 『말콤 X』Malcom X와 비교되어 이야기 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컬러 퍼플』와 『말콤 X』는 각기 비인간적이고 비논리적으로 억압받는 계층, 인종, 그리고 성을 그려내면서, 피지배자들의 분노를 투쟁성으로 전환시켰다는 점에 있어서 아주 유사하다. 즉, 『말콤 X』에서는 역사적으로 억압의 대상이 되어온 흑인의 응집된 힘을 보여줄 것을 외치는 말콤 X라는 인물을 영웅적인 인물로 그리면서 실제로 투쟁적인 논리를 펼쳐간다. 따라서, 그 분노의 대상이 되는 특정 다수로서의 백인들에게 이는 실제로 위협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보인 것이다. 따라서, 백인들의 경제력으로 운영되는 미국의 쇼비지니스는 과감하고도 조직적으로 『말콤 X』라는 작품의 흥행을 방해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그 작품에 대한 비평가들의 평가조차도 양극화되어 대립되고, 결국 이 작품 또한 아카데미상에서 노미네이티드되어도 수상 작품 대열에는 결코 끼어들지 못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컬러 퍼플』은 어쩌면 흑백의 갈등보다도 더 심한 억압의 구조가 바로 흑인들 내부에서 남녀의 성차를 기반으로, 흑인 여성에 대한 이중적인 억압으로 재구성되어져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말콤 X』처럼 『컬러 퍼플』또한 포용의 미덕보다는 투쟁이라는 현실적 힘의 요구와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쉽게 흑인 인권 운동으로 치부해버릴 수 있는 흑인 인권 운동의 내부 움직임 속에서도, 여성과 남성의 문제가 대립되고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최근에 노벨상을 수상한 미국의 흑인 여성 작가인 토니 모리슨 Toni Morrison과 앨리스 워커의 비교가 바로 이런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재미있을 수 있다. 앞에서 논한 바처럼, 활기차게 부상하고 있는 흑인 여성 작가들과 작품들의 움직임을 주시하듯이 토니 모리슨은 최근에 노벨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게 된다. 그러면, 여기서 『컬러 퍼플』이라는 수작(秀作)으로 이미 명성을 얻은 바있던 여류작가인 앨리스 워커는 "왜 아닌가"를 분석하고 해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말콤 X가 미국 사회의 내부로 수용됨에 실패한 것과 같은 이치라는 점을 강조해한다. 결국 그것은, 기독교적인 사랑의 원리로 모두를 포용하고 참아낼 것을 메시지로 담고 있는 모리슨의 작품들과는 정반대로, 앨리스 워커의 기존 사회의 가치와 그 억압에 대한 투쟁적인 도전성은 오히려 백인우월주의라는 가치가 지배하는 사회의 안정적 유지를 원하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위협적인 힘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앨리스 워커는 반(反)백인은 물론 반(反)흑인남성주의로까지 논리가 전개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가 또 다시 흑인들 내부의 남성과 여성의 대립만을 보게 될 때, 흑인 남성들 내부에서는 말콤X와 마틴 루터 킹의 대립이 형성되어 있었고, 흑인 여성들 내부에서는 앨리스 워커와 토니 모리슨과 같은 근본적인 사상의 대립이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3. 결론
대학에서 영미 문학 비평 이론을 학부생들에게 가르치면서 우선적으로 중요한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비판적인 안목을 키우는 것에 흥미를 불러 일으켜 스스로 관심을 갖고 이론 서적들에로 가까이 가도록 방향제시를 하는 것이라고 본다. 즉, 영미 문학 비평 이론의 실용적 측면 또한 그 학문적 혹은 철학적 측면 못지않게 강조되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이론과 실제의 두 측면이 모두 학생들에게 제시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학비평이라는 학문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여러 현상, 즉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영역을 포괄적 의미에서 문화로 정의하여, 바로 그 문화가 투영된 문학을 텍스트로 논하기 위한 이론 연구로 정의 내린다. 따라서, 앞서 논의한 바처럼 현재 우리 사회에 큰 문화적 영향을 끼치고 있는 영미 문화의 이해는 그로 흡수되는 친숙함이 아닌, 논리적이고 비평적인 사고능력과 안목을 키우기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미 논한 작품들의 대부분은 그 문학적 가치가 높은 소설들이 영상화된 몇몇 작품을 다루었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은 일반 작품들의 분석도 병행해가면서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그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영미 문학 비평 이론의 자연스런 적용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러한 비평적인 안목의 함양없이 대학 강의실에서의 영화를 논하는 수업은, 자칫 전세계 영화시장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의 이데올로기가 헐리우드의 힘을 등에 업고 마침내 제3세계의 교실에까지 침투하는 신식민주의화의 과정에 불과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7.17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