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1국어 1단원 학습지도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1-1국어 1단원 학습지도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단원 개관

Ⅱ. 단원 학습 목표

Ⅲ. 단원 학습 계획

본문내용

시다.\"
\"아무리 배가 고파도 남이 애써 농사 지어 놓은 곡식에 어찌 함부로 손을 댄단 말이오?\"
\"아 그까짓 벼이삭 몇 개 자른다고 표가 나겠소? 고집 부리지 말고 오늘밤에 나가서 몇 개 잘라 오시오.\"
선비가 하릴없이 그 날 밤이 이슥하기를 기다려 낫을 들고 나갔어. 남의 논에 가서 벼이삭을 자르려고 하는데 자꾸 뒤가 켕겨. 뒤가 켕겨서 하늘을 떡 올려다보니, 마침 새벽녘이 되었던가 동쪽 하늘에 샛별이 반짝반짝 떠 있는데, 아 그것이 자기를 내려다보고 꾸짖는 것 같더란 말이지.
\'아이고, 내가 이게 무슨 짓이냐. 굶어 죽는 한이 있더라도 남의 곡식에 손을 대서는 안 되는데. 저 샛별 보기 부끄럽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그냥 돌아섰어. 빈손으로 집에 돌아오니 아내가 잔소리를 늘어놓지.
\"아 그래, 기껏 낫을 들고 나간 양반이 빈손으로 와요? 식구들 다 굶어 죽일 작정이오?\"
\"하늘에 있는 샛별 보기 부끄러워 그 짓은 못하겠소. 날이 밝으면 내 산에 가서 칡뿌리라도 캐어 올 테니 너무 걱정 마오.\"
참, 그래서 날이 밝으니까 산에 가서 칡뿌리를 캐다가 삶아 먹고 겨우 목숨은 부지했는데, 그것도 하루 이틀이지 내내 그러다가는 칡뿌린들 남아나겠어? 앞으로 무얼 먹고사나 하고 걱정이 늘어졌는데, 그 날 저녁에 웬 떠꺼머리 총각이 문간에 턱 찾아와서는,
\"저는 갈 곳 없는 떠돌이인데 이 집에 머슴살이를 할까 하니 거두어 주십시오.\"
이러하거든.
\"마음은 고마우나 우리는 농사 지을 논밭도 없는 데다 당장 먹을 양식도 없는 형편이니 딴 집에나 가 보게.\" 했더니,
\"이 댁 형편을 다 알고 왔으니 거두어나 주십시오. 제가 도와 드리면 살 길이 생길 것입니다.\"
이런단 말이야. 듣던 중 고마운 말이라 반갑게 맞아들였지. 맞아들이기는 했는데, 워낙 가난한 집이라 머슴 할 일이 없어. 농사를 지으려니 논이 있나 밭이 있나, 집안 일을 하려니 세간이나 변변한가. 주인이 되레 미안해서,
\"내일부터 당장 무슨 일을 할 텐가?\" 하니,
\"가을걷이 철이니 남의 농사일을 거들어 주고 품값으로 양식을 받아다 먹고 살아야겠습니다. 주인도 저를 도와 함께 일을 해주십시오.\" 하거든,
\"나는 이 날 이때까지 글만 읽어서 일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네.\" 하니까.
\"그러니까 이제부터 배우셔야지요.\"
하면서 가을걷이하는 법을 이것 저것 가르쳐 주더란 말이야. 그 이튿날부터 선비는 머슴과 함께 남의 집에 가서 품을 파는데, 참 등이 휘어지도록 일을 했어. 명색이 선비가 남의 품팔이를 한다고 동네 양반들 손가락질을 받아 가며 일을 했지. 그래서 그 해 겨울을 그럭저럭 굶지 않고 넘겼어.
이듬해 봄이 되니까 머슴이,
\"이제부터는 노는 땅을 일구어 논밭을 만듭시다.\"
하기에 머슴 말대로 여기저기 못쓰게 된 땅을 빌리고 얻어다가 논밭을 일궜어. 밭을 갈아 씨를 뿌리고 거름을 주고 김을 매고, 참 억척같이 일을 했어. 머슴은 밤낮으로 선비에게 일하는 법을 가르쳐 가면서도 제 몸 아끼기 않고 일을 도와주고, 한번 일 맛을 들인 선비도 죽자사자 일을 했지. 그 덕분에 가을이 되니까 곡식을 제법 많이 거둬 들여서 곳간에 쌓아두고 먹을 만큼 되었어.
이렇게 되니 머슴이 하직 인사를 하네.
\"이제는 이 댁도 양식 걱정 안 하고 살게 됐으니 저는 그만 가겠습니다.\"
선비가 고맙고 섭섭해서,
\"굶어 죽게 된 우리 식구를 살려 준 은인인데 사경이라도 받아 가지고 가게.\"
하니까,
\"저는 사경 따위를 받을 형편이 못 됩니다. 주인이 지난해 남의 논에 선 벼이삭을 자르려고 하다가 제가 지켜보는 것을 보고 그만두신 일이 있지 않습니까? 그 마음씀이 하도 고마워서 제가 조금 도와드렸을 뿐이니 그런 걱정은 마십시오.\"
하고는 훌쩍 사라지기를 연기처럼 사라지더라네. 그러고 보니 머슴이 이 집에 와 있는 동안에는 새벽녘에 샛별이 뜨지 않았단 말이야. 그러니 그 머슴이 샛별머슴이지.
선비는 어떻게 되었느냐고?
그야, 그 뒤에도 부지런히 일을 해서 아주 잘 살았지. 그 선비도 그저께까지 살다가 어저께 죽었다지 아마.
1) 이 글이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2) 이 글을 읽고 느낀 점을 간단히 말해 보자.
3) 만약 샛별머슴이 고약한 행동을 하여 선비에게 잘 살 수 있는 길을 가르쳐 주었다면 어떤 행동을 했을까 상상하여 써 보자.
4)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교환해 보자.
〈자료 3〉다음 시를 모방해서 한 편의 시를 써 보자.
복종
한용운
남들은 자유를 사랑한다 하지마는 나는 복종을 좋아해요
자유를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당신에게는 복종만 하고 싶어요.
복종하고 싶은 데 복종하는 것은 아름다운 자유보다도 달콤합니다. 그것이 나의 행복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나더러 다른 사람을 복종하라면 그것만은 복종할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을 복종하려면 당신에게 복종할 수 없는 까닭입니다.
〈예시 작품〉 2 등
학생작품
남들은 1등을 좋아한다 하지마는, 나는 2등을 좋아해요.
1등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1등보다는 2등을 하고 싶어요.
2등을 하고서도 만족할 수 있다면, 일등을 한 것보다도 행복합니다. 그것이 나의 행복입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이 나에게 꼭 1등을 하라고 한다면, 나는 1등을 하겠지만 내심 섭섭할 것입니다.
1등을 하게 되면, 2등의 여유를 느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자료 4〉 다음 시를 수필로 바꿔보자.
누나가 무척 예뻐했나 보다.
일찍 등교한 강아지
\"집에 가\"
누나의 야단에
눈 깜빡이며 미적미적
돌아서면 또
쫄쫄쫄
잠깐 돌아선 사이
달아나 버린 누나 냄새
여기 끙
저기 끙끙
꼬리 그만 처진다
수위 아저씨 호통에
교문 밖에 서서
누나 있던 곳
보고
또 보고



누나 나올 때까지 기다릴 모양이다.
- 이복자, \'강아지의 등교\'
어린 시절 우리집에서는 강아지를 기르고 있었다. 우리 모두 강아지를 좋아하여 강아지를 데리고 놀았으며, 목욕을 시킨다거나 할 때는 서로 씻기려고 말다툼도 할 정도였다. 누나는 특히 강아지를 예뻐했고, 강아지도 누나의 맘을 아는지 우리들보다 누나를 더 따랐다.
어느 날이었다.
※ 유의점 : 1. 수필의 특성이 살아 있어야 한다.
2. 시에 나타난 내용, 분위기, 심상 등이 수필에서도 그대로 잘 나타나도록 한다.

키워드

국어,   1단원,   문학,   즐거움,   새봄,   배경지식
  • 가격3,300
  • 페이지수46페이지
  • 등록일2002.08.02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