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및 연구소와 산업계간 기술이전의 구성모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기술이전매개체와 모델에 대한 고찰
2.1 기술이전매개체의 분류 및 고찰
2.1.1 개인
2.1.2 조직
2.1.3 시스템
2.2 기술이전 모델의 분류 및 고찰
2.2.1 Push형 기술이전 모델
2.2.2 Pull형 기술이전 모델
2.2.3 네트워크 기반형 기술이전 모델

3. 기술이전의 구성모델
3.1 정보유통을 위한 구성모델
3.1.1 중앙집중형 모델
3.1.2 분산형 모델
3.1.3 혼합형 모델
3.1.4 분산연계형 모델
3.2 기술이전 모델의 분류 및 고찰
3.2.1 Star형 모델
3.2.2 Cell형 모델
3.2.3 혼합형 모델
3.2.4 Bus형 모델

4.유형별차이점분석
4.1 정보유통을 위한 구성모델의 장·단점 분석
4.2 기술 및 지식이전을 위한 구성모델의 장·단점 분석

5.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히 우리나라와 같이 기술이전의 활성화를 위한 하부 구조를 구축하고 있는 경우 기술이전체계의 구축은 다양한 기술이전의 구성모델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출발하여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기술이전매개체와 기술이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기술이전의 구성모델을 기술이전의 초기화를 위한 정보유통과 기술이전의 실행인 기술 및 지식의 이전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유통을 위한 구성모델을 중앙집중형, 분산형, 혼합형, 분산연계형 모델로 분류, 서술하였다. 기술이전 정보유통의 관점에서 한국기술거래소는 국가적 기술이전 정보검색을 위한 gateway 역할을 위해 중앙집중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학 및 연구소는 전문영역의 기술이전 정보원으로서 분산형 혹은 혼합형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중앙집중형, 분산형, 혼합형의 정보유통 모델은 분산화 된 정보원간의 통합과 연계가 쉽지 않고, 글로벌 개방형 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분산연계형의 정보유통체계가 요구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기술 및 지식의 이전을 위한 구성모델을 Star형, Cell형, 혼합형, Bus형으로 분류, 서술하였다. 기술 및 지식이전의 실행 관점에서 대학과 연구소의 기술이전을 위한 구성모델은 일반적으로 혼합형 혹은 Star형의 형태이다. 기술이전에 대한 요구와 환경은 변하고 있다. Push형 기술이전에 대한 요구뿐 아니라 Pull형 기술이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기술이전서비스의 비용에 있어 기술이전 운영단위에 대한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중앙에서의 통합비용은 증가하고 있으며,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달로 점차로 상호 협력과 검색에 드는 비용은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향후 현재의 Star형으로 구축, 운영되고 있는 모델을 점차 혼합형 및 Cell형으로 전환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대학 및 공공연구소와 산업계간의 on-line 및 off-line에서의 네트워크와 협력활동의 필요성이 증대됨으로써 Bus형 모델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정보유통의 경우 분산연계형의 기술이전 정보유통체계의 구현이 요구되며, 기술 및 지식이전의 경우 기술이전 조직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이미 구축, 운영되고 있는 모델의 다른 모델로의 변환하는 것에 관한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이공래 (1998), 「한국의 국가혁신체제: 경제위기극복을 위한 기술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중소기업진흥공단 기술거래소 (1999), 「기술거래 원리와 실무」, 중소기업진흥공단.
지홍태 (1999), 「기술이전 및 실용화 추진체 설계연구」, 과학기술부.
이민형 (2000),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과 기업의 접근방안", 「기술관리」, pp. 63∼69.
Mogavero, L. N., and R. S. Shane (1982), What Every Engineer Should Know about Technology Transfer and Innovation, Marcel Dekker Inc.
Osborne, D. (1989), State Technology Programs: A Preliminary Analysis of Lessons Learned, Washington DC: The Council of State Policy & Planning Agencies.
Collins, T. R. (1998), The Development of a Holistic Technology Transfer Program for Small Manufacturers, Ph. D. Dissertation, Oklahoma State University.
Clarke, M., and E. Dobson (1991),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America's Manufacturers: A Review of State Industrial Extension Programs, Washington, DC.: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Goldhor, R. S. and R. T. Lund (1983), "University-to-Industry Technology Transfer: A Case Study", Research Policy, Vol. 13, pp. 121∼152.
Lee, S. Y. (1996), "'Technology Transfer' and the Research University: A Search for the Boundarie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Vol. 25, Issue 6, pp. 843∼863.
Mings, J. M. (1998), "Technology Transfer: A Shortcut in Danger of Short Circuit",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Vol. 23, No. 3.
Carr, K. R. (1992), "Doing Technology Transfer in Federal Laboratories (Part I)", http://www.millkern.com/rkcarr/flpart1.html.
Lundquist. G. (1999), "Technology Transfer in the Next Millennium", http://www. t2s.org/publ_tsquared_oct99-1.html.
OTA (1993), "Information Systems Related to Technology Transfer: A Report on Federal Technology Transfer in the United States", http://www.wws.princeton. edu/~ota/disk1/1993/9331.html.
Brent Sleeper (2001), "Defining Web Services", http://www.stencilgroup.com/ ideas_ scope_200106wsdefine d.html.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9.01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2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