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확산의 영향요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1. 모방(imitation)
(1) 빈발모방
(2) 성과모방
2) 지식(knowledge)
(1) 묵시적 지식
(2) 명시적 지식
3) 기타 관련 요인
(1) 자치단체장의 의지
(2) 분위기
(3) 보상

Ⅲ. 방법론
1. 자료 조사 및 방법
2. 테이터의 성격 및 내용

Ⅳ. 분석의 결과

Ⅴ. 결 론

본문내용

도가 높을수록 이들에 의해 모방되는 수준은 그 만큼 영향이 있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성과모방은 가설에서도 예측하였듯이, 회귀계수 -.103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확산에 있어 모방효과에 대한 지지자들이 주장하고 있는 철저한 믿음이 지리정보시스템의 도입이라는 측면에서는 그렇게 큰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보상변수의 영향 정도는 회귀계수가 .025로 매우 낮다. 통계적 검증을 위한 p값도 .752로 유의수준을 만족시키는데 크게 부족한 것이었다. 이는 가설9가 기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문가의 조언도 마찬가지로 회귀계수가 .112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검증을 위한 p값이 .169로 유의수준을 만족시키고 있지 못하다. 이것은 가설 6의 기각을 의미한다. 반면에 관련문헌 및 자료는 지리정보시스템의 도입에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b = .304), 통계적으로도 p값이 .001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이것은 가설5가 채택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 지식이 엄밀하게 혁신확산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고 해석하기는 조심스러우나 부서장 및 관련 공무원들은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 공무원들은 지리정보시스템에 관련된 자료 및 문헌을 근거로 하여 전문적인 지식의 획득과 정보의 축적을 통해 그 필요성을 인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방정부의 도입 사례집, 운영집, 계획서 등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이전과 학습이 가능한 까닭이다. 이밖에도 교육.훈련, 조직의 분위기(b = -.091), 방문.견학(b = -.100)등은 혁신확산에 관한 지리정보시스템의 도입에는 기각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훈련은 회귀계수가 - .147로써 <표3>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의 도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들 가운데서 가장 높은 것이었다.
Ⅴ. 결 론
혁신의 확산에 대한 모방 및 지식효과 그리고 지리정보시스템의 도입에 대한 이들의 영향변수의 분석에서 나타난 문제나 제약들의 확인은 앞으로 성공적인 정부혁신의 확산과 개선 노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이 어떠한 정책적 의미를 갖는 가를 몇 가지로 언급해 둘 필요가 있다. 첫째, 다른 정부의 성공적인 혁신 모델과 노력에 대한 적절한 모방이다. 정부혁신의 확산 과정 중에서 모방은 어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어느 나라나 모두 경험한다. 정부가 다른 정부의 서비스 제공의 변화나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성공적인 혁신을 모방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혁신 및 확산은 그 순서가 외국예의 도입, 국내 다른 정부나 기관의 모방, 시행착오에 의한 방법 등의 순으로 일어난다(Gow, 1992: 446). 실행을 통한 시행착오의 과정은 지식 또는 정보가 효과적인 정부혁신성과를 획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과정이다. 세심한 정책기획은 시간, 자원 면에서 소모적이기만 할 뿐, 시행으로부터 얻어지는 것과 같은 학습효과(learning effect)를 제공해 주지 못한다. 반면에 실험과 현장경험은 실제적인 학습과 피드백 과정을 활성화시키고 내용을 제대로 알게 해 주며, 올바른 정부혁신의 확산은 바로 이러한 경험적인 지식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다. 둘째, 지식의 충족 노력이다. 지식 또는 정보의 충족 노력이 없는 한 정부혁신의 확산에서 기대되는 장점들은 현실적으로 큰 의미를 갖기 어렵다. 이러한 노력의 확대는 정부의 흡수능력을 크게 확대하여 정부혁신의 확산과 더불어 혁신의 도입 방향, 질에 영향을 미친다. 정부의 흡수능력은 주로 정부가 실제적인 혁신활동 또는 무형의 혁신활동을 통해 다른 지방정부나 중앙정부에서 개발된 지식 또는 정보를 모방할 수 있는 정부의 능력을 의미한다. 정부혁신의 흡수능력(absorptive capacity)은 물론 명시적 지식과 묵시적 지식의 축적을 요구한다. 이러한 흡수능력은 연구개발에 대한 기초연구활동 등을 비롯하여 혁신확산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Cohen & Levinthal, 1990: 128). 정부의 흡수능력은 정부혁신의 능력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외부에 있는 정보 또는 지식의 소재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과 그 유용성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기도 하다(Vanagunas & Webb, 1994: 439). 이것을 중앙정부가 도와준다. 정부혁신 확산의 방향을 결정하고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국가 혹은 중앙정부의 역할이다(Kenny, 1995: 694-695; Gow, 1992: 441; 박명수외, 1997: 85; 남궁근, 1994: 107). 국가 또는 중앙정부의 기능이 중요한 것은 모든 혁신주체들간의 연계와 상호작용 학습(interactive learning)을 만들어 가는 까닭이다(Niosi et al., 1993: 209; Gregersen & Johnson, 1997: 483). Moon & Bretschmeider도 마찬가지로 혁신확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며, 정부는 이를 위해서는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Moon & Bretschmeider, 1997: 72).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우선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부서장 및 관련 공무원의 인지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지리정보시스템 도입 관련 변수들에 대한 이들의 시각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든 왜곡되었거나 지식이 부족했다면 이들에 바탕을 둔 이 연구의 결과 역시 제한될 수 있다. 이것이 이 연구의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다. 또 다른 문제는 이 연구가 광주, 전남북의 지리정보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라는 점이다. 이론적으로는 함축하는 바가 크다 하더라도 일반화와 관련된 외적 타당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 결과가 다른 연구들을 이론적으로 지지하는데 에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는 있으나 그와 같은 목적을 넘어 다른 정부의 현상을 설명해 주는 것으로는 과대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이러한 변수의 설명력 정도는 모방과 지식, 기타관련요인을 설명해 주는 다른 중요한 이론적 변수들이 생략되었을 경우 모형 자체가 잘못 규정되어 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underspecification error).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9.15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2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