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신학의 전개와 형성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205
  • 206
  • 207
  • 208
  • 209
  • 210
  • 211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218
  • 219
  • 220
  • 221
  • 222
  • 223
  • 224
  • 225
  • 226
  • 227
  • 228
  • 229
  • 230
  • 231
  • 232
  • 233
  • 234
  • 235
  • 236
  • 237
  • 238
  • 239
  • 240
  • 241
  • 242
  • 243
  • 244
  • 245
  • 246
  • 247
  • 248
  • 249
  • 250
  • 251
  • 252
  • 253
  • 254
  • 255
  • 256
  • 257
  • 258
  • 259
  • 260
  • 261
  • 262
  • 263
  • 264
  • 265
  • 266
  • 267
  • 268
  • 269
  • 270
  • 271
  • 272
  • 273
  • 274
  • 275
  • 276
  • 277
  • 278
  • 279
  • 280
  • 281
  • 282
  • 283
  • 284
  • 285
  • 286
  • 287
  • 288
  • 289
  • 290
  • 291
  • 292
  • 293
  • 294
  • 295
  • 296
  • 297
  • 298
  • 299
  • 300
  • 301
  • 302
  • 303
  • 304
  • 305
  • 306
  • 307
  • 308
  • 309
  • 310
  • 311
  • 312
  • 313
  • 314
  • 315
  • 316
  • 317
  • 318
  • 319
  • 320
  • 321
  • 322
  • 323
  • 324
  • 325
  • 326
  • 327
  • 328
  • 329
  • 330
  • 331
  • 332
  • 333
  • 334
  • 335
  • 336
  • 337
  • 338
  • 339
  • 340
  • 341
  • 342
  • 343
  • 344
  • 345
  • 346
  • 347
  • 348
  • 349
  • 350
  • 351
  • 352
  • 353
  • 354
  • 355
  • 356
  • 357
  • 358
  • 359
  • 360
  • 361
  • 362
  • 36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 목적과 방법
제1부 . 민중신학의 형성
제1장. 전사
1. 수난과 저항의 한국 민중사
1.1. 1945년 해방과 반공-냉전 이데올로기 시대의 개막
1.2. 1960년대, 군사파시즘과 반민중적 경제개발정책
1.3. 전태일 사건과 역사 주체로서의 민중의 등장
2. 한국 그리스도교사
2.1. 민족 수난기의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민족의식
2.2. 함석헌 사상의 영향
2.3. 토착화신학, 세속화신학, 하느님의 선교신학
2.4. 한국 그리스도교의 사회선교
제2장. 1970연대, 민중신학의 성립
1.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1970년대: 민중신학 성립기
1.1. 민중사건의 화산맥.―.하느님의 선교(1)
1.2. 신학자들의 증언.―.하느님의 선교(2)
2. 민중신학의 성립
제3장. 신학자들
1. 서남동
2. 안병무
3. 신학자들과 민중신학
제4장. 민중
1. 역사에 있어서의 민중

1.1. 1919년 3.1운동 이전까지의 민중 민중의식의 형성
1.2. 1945년 해방까지의 민중 민중의식의 형성
2. 현실에 있어서의 민중.―.민중 생활의 현주소
2.1. 장영근(농민)
2.2. 조만영(노동자)
2.3. 이옥순(도시빈민)
2.4. 전태일 사후 12년, 평화시장 여성노동자들의 상황
2.5. 분단 시대 민중의 비극적 삶
3. 주제로서의 민중.―.민중신학의 민중 이해
3.1. 민중신학의 주제 민중
3.2. 민중신학의 민중관
3.3. 민중의 한
3.4. 민중의 메시아성

제2부 . 민중신학의 전개
제5장. 사건과 합류의 해석학
1. 사건
2. 합류
2.1. 합류와 증언
2.2. 합류의 범례 : 김지하의 장일담 이야기
2.3. 민중신학의 한 패러다임으로서의 합류의 의미
2.4. 성령론적 공시성의 원리
3. 전거
4. 민중의 언어, 민중신학의 언어
4.1. 민중의 언어
4.2. 유언비어
4.3. 기적 이야기
4.4. 민중의 사회전기

4.5. 민중신학의 언어 : 민담의 신학.―.반신학
4.6. 탈신학적 민중신학의 언어 이해
5. 계시의 하부구조 : 민중신학에 있어서 한국적의 의미
제6장. 성서와 민중
1. 민중의 눈으로
2. 성서의 재발견
3. 성서의 해방
4. 예수사건과 그 전승주체
4.1. 문제제기
4.2. 케리그마의 성격
4.3. 예수사건 전승의 성격
4.4. 그 민중신학적 의미
5. 예수사건의 전승주체 분석의 민중신학적 의미
제7장. 1980연대 이후의 민중신학의 전개
1. 상황의 변화
2. 운동의 신학으로서의 민중신학
3. 민중교회 운동
4. 민중신학의 자기성찰과 전망
4.1. 1980년대에서 바라본 1970년대 민중신학
4.2. 비평의 올바른 관점
4.3. 민중교회의 선교 경험으로부터 본 민중신학

결론 . 본질과 구조, 그리고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에서의 보편성과 당파성의 문제」, 『신학사상』 65 (1989 여름), 325-348.
―, 「토착화신학의 모형 변화」, 『기독교사상』 371 (1990.1), 24-30.
박충구, 「자본주의와 기독교」, 『기독교사상』 385 (1991.3), 43-71.
서경석, 「민중신학의 위기」, 『기독교사상』 417 (1993.9), 187-204.
―, 「박재순 선생의 글에 응답함」, 『기독교사상』 419 (1993.11), 183-191.
서관모, 「국가, 시민사회, 이데올로기」, 『이론』 6 (1993 가을), 63-92.
서광선, 「민중과 성령」, 『민중과 한국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1), 302-318.
―, 「민중신학의 언어와 실천」, 『기6사연 무크3』 (민중사, 1991), 174- 193.
서진한, 「80년대 민중신학의 과학성과 대중성」, 『기사연 무크1』 (민중사, 1990), 103-145.
서창원, 「남미 해방신학의 그리스도론적 성격과 방향」, 『기독교사상』384 (1991.2), 154-166.
손규태, 「민중신학에서의 민족문제」, 『전환기의 민중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2), 164-179.
―, 「한국사회의 위기 진단」, 『신학사상』 72 (1991 봄), 67-85.
송기득, 「안병무 민중신학의 최근 동향」, 『신학사상』 60 (1988 봄), 127- 165.
―, 「민중신학의 정체」, 『1980년대 한국민중신학의 전개』 (한국신학연구소, 1990), 59-83.
「심포지엄: 변화된 상황에서의 민중신학」, 『신학사상』 80 (1993 봄), 131 -164.
「심포지엄: 변화된 세게에서의 대안적 가치체계의 모색」, 『신학사상』76 (1992 봄), 124-161.
「심포지엄: 민중신학의 오늘과 내일」, 『신학사상』 81 (1993 여름), 7-39.
「심포지엄: 오늘의 교회와 선교, 무엇이 문제이고 어디로 가야하나」, 『신학사상』 73 (1991 여름), 347-382.
「심포지엄: 한국교회의 성장과 기독교운동의 진단」, 『기사연 무크1』 (민중사, 1990), 18-37.
「심포지엄: 한국사회의 종교적 정신적 위기」, 『신학사상』 72 (1991 봄), 124-146.
안병무 강원돈 대담, 「민족문제와 민중신학」, 『신학사상』 69 (1990 여름), 377-394.
안병무 박재순 대담, 「민중의 생명을 향한 민중신학」, 『기사연 무크2』 (민중사, 1990), 440-466.
안병무, 「마태오의 민중적 민족주의」, 『신학사상』 78 (1992 가을), 563- 605.
―, 「민중의 하느님」, 『신학사상』 54 (1986 가을), 684-708.
―, 「예루살렘 성전체제와 예수의 대결」, 『신학사상』 58 (1987 가을), 511-530.
―, 「예수운동과 물」, 『신학사상』 62 (1988 가을), 562-579.
엄정식, 「비트겐슈타인과 언어 신비주의」, 분석철학연구회 엮음, 『비트겐슈타인의 이해』 (성광사, 1985), 297-332.
「민중신학자들과 독일신학자들의 대화」, 『신학사상』 69 (1990 여름), 395-437.
오동렬, 「시민운동, 그 약진과 진통」, 『사회평론 길』 (1993 10월), 44-51.
오영석, 「개혁신학의 전통과 기장신학」, 『기장신학의 회상과 미래』 (기장신학연구소, 1993), 113-129.
윤상철, 「사회민주주의 논쟁」, 『한국사회이해를 위한 길잡이』 (사회평론사, 1992), 206-213.
이기홍, 「시민사회론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 21 (1993 봄), 322-344.
이신건, 「독일고백교회 투쟁기(1933-45년)에 나타난 칼 바르트의 교회 이해」, 『신학사상』 62 (1988 가을), 714-752.
―, 「칼 바르트와 공산주의」, 『신학사상』 65 (1989 여름), 433-450.
이정배, 「한국적 신학 어떻게 할 것인가」, 『신학사상』 82 (1993 가을), 54-95.
이정희, 「민중의 언어 없이 민중의 시대는 오지 않는다」, 『신학사상』 81 (1993 여름), 100-126.
임진철, 「80년대 한국 기독교운동과 민족민주운동」, 『기사연 무크1』 (민중사, 1990), 59-80.
임태수, 「민중.민중연대자.민중지도자」, 『전환기의 민중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2), 326-350.
―, 「민중은 메시아인가」, 『신학사상』 81 (1993 여름), 56-78.
장일조, 「죽제를 위한 하나의 대화」, 『전환기의 민중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2), 141-163.
―, 「한국민중신학에 대한 몇 가지 테에제」, 『한국민중신학의 조명』 (대화, 1984), 119-144.
전경연, 「민중신학의 신학사적 의미와 그 평가」, 『한국민중신학의 조명』 (대화, 1984). 51-94.
정상시, 「민중교회의 대두와 한국교회의 갱신」, 『기사연 무크1』 (민중사, 1990), 38-58.
정재현, 「죽음의 신학적 인간학」, 『기독교사상』 404 (1992.4), 171-184.
정현경, 「오소서, 성령이여, 만물을 새롭게 하소서」, 『기독교사상』 386 (1991.4), 93-119.
최형묵 조하무, 「한국 그리스도교 민중공동체의 성서 해석」, 『1980년대 한국 민중신학의 전개』 (한국신학연구소, 1990), 408-444.
최형묵, 「민중신학에서의 이데올로기 문제」, 『예수 민중 민족』 (한국신학연구소, 1992), 711-722.
―, 「민중신학적 정치경제윤리의 모색을 위한 서설」, 『변화하는 사회와 한국교회』 (1993), 8-35.
현영학, 「민중.고난의 종.희망」, 『1980년대 한국민중신학의 전개』 (한국신학연구소, 1990), 11-23.
―, 「민중신학과 한의 종교」, 『1980년대 한국민중신학의 전개』 (한국신학연구소, 1990), 445-456.
홍근수. 「대결에서 대화」, 『신학사상』 63 (1988 겨울), 893-913.
―, 「프로메테우스적 구원론에 대한 고찰」, 『신학사상』 65 (1989 여름), 406-432.
황필호, 「비트겐슈타인과 종교」, 분석철학연구회 엮음, 『비트겐슈타인의 이해』 (성광사, 1985), 289-296.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363페이지
  • 등록일2002.09.26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