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의 로고스 찬양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므로 요한공동체의 현재의 고난과 환란은 성육한 예수 처럼 아버지의 말씀을 지키고순종하였기에 오는 세상으로부터의 소외와 고난이며,이러한 고난은 장차 요한 공동체가 얻게 될 영광을 향한 필 수 불가결한 과정이다.
그러므로 요한 공동체는 환란을 당하나 담대해야 된다.아들이 세상을 이겼기 때문이다(16:33).그리고 아들의 영광을 저희도 보게될 것이기 때문이다(17:24).그러므로 성육한 하나님의 아들의 영광의 명시는 요한 공동체의 영광으로 나타난다.네째로,예수의 성육은 아버지-아들-요한 공동체의 친교와상호 거주를 위한 징표이다.
이러한 친교와 상호 거주의 근거는 아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고 순종한 것처럼 요한 공동체가 아들이 전해준 하나님의 말씀을 받고 순종하였다는데 있다(17:8).따라서 아버지-아들-요한 공동체의 친교와 하나됨은 세상으로 하여금 하나님의 계시와 구원자로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육으로 오신 것을 요한 공동체를 통해 증거하고 믿게 하려는 것이다(17:21). 여기서 "세상"은 포괄적인 용어이지만,그 일차적 대상으로 "유대인"이란 용어와의 대치 사용할 수 있다고 볼 때 결국 요한 공동체와 유대교와의 대립은 예수 그리스도를 누구라고 고백했느냐에 따른 기독론적인 문제가 그 대립의 중심논쟁 주제가 되었다.
. 결 론.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논고는 요한 복음의 서막 연구를 서막의 언어적 배경,상이한 자료 문제에서 다루기 보다는 요한 복음서에 나타난 요한 공동체의 사회적,종교적 삶의 정황과 연관시켜 다루었다. 왜냐하면 서막의 신학적 체계들은 저자 개인의 신학적 사유물이라기 보다는 이 복음서를 산출한 요한 공동체의 신학과 신앙의 표현으로 거기에는 요한 공동체의 삶의 정황이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요한 복음서에서 서막의 현 위치와 신학적 주제들은 요한 복음서 기록 목적들이 예수가 그리스도요 하나님의 아들이라(20:31)는 기독론적 문제와 상응하는 것으로,이러한 기독론적 문제가 요한 공동체와 유대교의 대립에 중심적 위치에 있었다는 대립 정황을 살펴볼 때 요한 복음서에서 서막을 현 위치에 배치시킨 저자의 의도는 보다 더 잘드러난다. 우리는 서막의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 하였다.
첫째 서막의 구조는 크게 로고스 찬양시(1-14a) 부분과 요한 공동체 신앙고백(14b-18) 부분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서막의 앞 부분인 로고스 찬양시는 요한 공동체가 대외적으로 공동체의 정체성과 변호를 위한 것으로 로고스의 영접의 주제(12-13)를 로고스 거부 주제(9-11) 바로 밑에 첨가하므로 거부와 영접의 대립 구조는 요한 공동체의 삶의 정황속에서 일차적으로 유대인들을 향한 것으로 그들이 성육한 로고스 예수를 거부함으로 사탄의 자녀로 남을 것인가 아니면 영접함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될 것인가에 결단을 촉구하기 위한 것이며,더 나아가 이러한 결단의 촉구는 이차적으로 요한 공동체 주위의 다른 종교적 세계를 향한 것이다.
반면에 서막에 나머지 부분인 요한 공동체의 신앙고백(14b-18) 부분은,공동체의 내부적 차원에서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립해주기 위한 부분으로 성육한 하나님의 아들이 아버지의 말씀에 순종으로 인한 영광은 이제 하나님의 아들의 영광을 본 요한 공동체 위에 나타나며,이러한 요한 공동체의 영광개념은 유대교로부터의 축출로 인해 사회적 신분의 현저한 하향 이동을 겪은 요한 공동체의 멤버들의 내부적 불안과 두려움을 해소시키며 그 현실로부터의 상향 이동에 희망을 표출시키고 있다.
둘째.로고스 찬양시(1-14a)에 나오는 로고스의 선재와 성육은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요한 공동체의 기독론적 고백에 중심 두축으로 이러한 고백은 14b-18절에 요한 공동체의 고백 부분에서 집약되어 있으며,복음서의 나머지 전반 부분에 나타나 있는 주제이다.
세째.이러한 로고스 기독론의 중심인 선재와 성육 개념은 예수에 대한 신앙과 고백으로 인해 처하게 된 요한 공동체의 상황과 연관하여 다루어져야 한다. 먼저 선재 개념은 공동체가 고백하는 예수 그리스도가 공동체 내부에 기독론적 의구심에 해소와 외부의 기독론적 경쟁자 보다 우위에 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공동체 내부적으로는 세례 요한이 메시야가 아닐까 하는 내부적 의혹의 해소를 위해 예수의 선재를 강조하며 세례 요한은 단지 예수그리스도의 증거자라고 한다.
공동체의 외부적으로는 유대교 율법의 창시자인 모세 보다 예수가 우위에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한편 성육 개념은 세 가지 국면에서 요한 공동체의 정체성의 근거를 제공해 준다.첫째 국면은 성육 개념이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과 계시의 드러냄으로 영접과 거부에 뚜렷한 구분으로 이끈다는점이다. 영접과 거부의 대립 구조속에서 요한 공동체는 성육한 예수를 영접하므로서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그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둘째 국면은,성육은 하나님의 아들의 영광의 명시이다.하나님의 아들의 영광은 아들이 아버지의 말씀에 순종함속에서 주어진다.아들의 십자가의 죽음은 그 순종의 극치로서 아버지가 아들로 인해 영광을 얻는 순간이며,아버지가 아들에게 준 영광을 위한 필 수 불가결한 과정이다.그 맥락에서 아들을 영접한 요한 공동체는 아들이 전해준 아버지의 말씀을 받아들이며,그 말씀을 따르려는 데서 오는 세상으로부터의 핍박과 고난은 요한 공동체가 아들의 영광에 참여하기 위한 해산의 고통이다.
세째 국면으로는,성육은 아버지-아들-요한 공동체의 친교와 상호 교제의 징표이다.아버지의 말씀을 받고 그 말씀에 순종하는 아들이 아버지와 하나이듯,그 처럼 성육한 아들의 중재를 통하여 요한 공동체는 아버지 아들과 더불어 상호 거주한다.이와 같은 성육한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함에 따르는 상호 거주 개념은 요한 공동체에게 세상으로 부터의 두려움을 이길 수 있는 용기와 담대함을 부여했다.
결론적으로,서막은 요한 복음서의 기록 목적에 따른 요한의 기독론적 주제와 공동체의 신앙고백의 집약으로 요한 공동체의 대변자인 저자에 의해 복음서의 서막으로 위치되었고,이러한 기독론과 그것에 대한 고백은 요한 공동체의 세계관을 새로이 구성하여 주었고,이로써 공동체의 종교적,사회적정체성을 강화시켜 주었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0.1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9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