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과 시나리오의 차이에 대한 사례 연구 : 인생차압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영화와 문학, 시나리오와 희곡의 차이

3. 희곡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와 시나리오 <인생차압>의 비교 분석

4. 요약 및 남은 문제들

본문내용

의가 한 차례로 끝나는 게 아니고, 앞으로 진행될 비교 연구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였다. 앞으로의 논의는 이러한 상식을 바탕으로 좀더 전문적인 수준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해 본다.
둘째, 본고는 엄연한 문학 텍스트인 희곡과 시나리오만을 대상으로 삼았고, 실제로 상연된 연극과 상영된 영화를 대상으로 삼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종류의 접근이 가지는 가장 명확한 한계는 영화나 연극 속에서 동시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시각적·청각적 감각을 종이 위에 정연하게 옮겨 놓는 일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점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논의의 출발점으로서의 의의는 가질 수 있다고 본다.
셋째, 희곡과 시나리오의 비교는 어느 한 장르의 우위를 판가름하기 위한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각색에 관한 논문 중 가장 좋지 않은 경우는 두 작품을 적대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어느 한 쪽에 치우쳐 특정 작품을 다른 작품보다 훌륭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다. 우리는 우열을 가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두 매체의 성질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그것을 분명히 정리하는 일로도 족하다. 다시 말해 희곡과 시나리오는 경쟁관계보다 보완적인 서로 다른 예술작품으로 바라보는 편이 타당하다는 점이다. 본고가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참고 문헌
이근삼·서연호 편, 오영진 전집 1∼5권, 범한서적주식회사, 1989.
김만수, <언어소통 모델로 본 문화연구의 유형>, 정신문화연구 , 1999. 겨울호.
김만수, <영상문학에 대한 문제제기>, 한국문학 , 1999. 겨울호.
김정탁, 미디어와 인간 ,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한옥근, 오영진 연구 , 시인사, 1993.
한국극예술학회 편, 한국현대대표희곡선집 ·1, 월인, 1999.
L. 쟈네티, 영화의 이해 , 김진해 역, 현암사, 1987.
로버트 리처드슨, 영화와 문학 , 이형식 역, 동문선, 2000..
로널드 헤이먼, 희곡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김만수 역, 현대미학사, 1994.
토마스 소벅·비비안 C 소벅, 영화란 무엇인가 , 주창규 외 역, 거름, 1998.
비키 킹, 21일만에 시나리오 쓰기:마음으로 영화를 쓰는 법 , 이지영 역, 친구미디어, 1999.
빠트리스 파비스, 연극학 사전 , 신현숙·윤학로 역, 현대미학사, 1999.
Sylvan Barnet ets, ed., Types of Drama:Plays and Essays, Harper Collins, 1993.
ABSTRACT
한국극예술연구 제13집
A Case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a Play and a Scenario:In Case of O Yeong-chin
Kim, Man-su
This case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lay and the scenario, that 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film. The objects proper to our study is the works of O Yeong-chin.
O Yeong-chin(오영진, 1916∼1974) is a famous playwright and scenarist. His drama "The Great General Lee Chung-saeng who is still alive(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was written in 1947 and dramatised in 1949. About ten years later(in 1958), that drama was scenarized in another title of "Life Attachment(인생 차압)".
Most of the contents which the former drama contains are sustained unchangedly, but some components are changed in the latter scnario. The differences in contents are caused by the differences of media itself(literature and film), as well as by those of the times when those works were written and p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the brief summaries of the differences.
1. The change of the ending. The former play is ended with the death of the hero, but the latter scenario is ended with his imposition of the death.
2. In the scenario, many dramatic personae are supplemented and reinterpreted. The former play were focused on the hero himself, but the latter scenario were not. The effect of the former play is 'claustrophobia', that of the latter scenario lies in the 'illusionism'.
3. The change of the theme. The time and space in those works are different each other.
4. The reduction of the dramatic dialogues. In the scenarios, many dramatic dialogues were replaced by the various camera works.
5. The technics of the film editing(for exemple, close up and montague) were used frequently in the scenario to show the mise-en-scene to the spectators.
  • 가격3,3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2.10.1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