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농업의 현황과 방향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우리나라 환경농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Ⅲ. 우리나라의 특수환경 농산물

Ⅳ. 결 론

본문내용

은 회원의 연수교육을 주로 하고 있다15). 한편 정부에서도 최근에 환경농업정책의 일환으로 농업협동조합이 환경농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즉 1990년 영농기술지원단 교육에 유기농업과정을 설치하였고, 1995년 농협세계화 농업지도자 교육원에 유기.자연농업과정을 설치하여 연간 400명을 교육하고 있다. 또, 1995년 경북 경주시 아화면에 농협환경농업교육원을 개설하여 농업인, 학생, 소비자, 농업관련공직자 등을 대상으로 연간 5,700여명을 교육할 예정이다7). 그러나 일반농업에 관한 지도를 담당하는 농촌진흥청의 산하기관이 아닌 농업협동조합에서 교육하므로 일반농업지도와 방향이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환경농업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농업연구기관과 대학이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하며, 그 연구결과에 따라 농촌지도소나 농업협동조합이 연관성을 갖고, 같은 방향으로 농민을 지도해야 한다.
Ⅳ. 결 론
우리 나라의 농업은 현재 식량 자급률이 26.9%인 점을 고려하면 수량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품질이 좋고, 안전하며, 환경을 보전하는 농업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평야지에서는 화학비료나 농약의 적정시비량을 지켜 생산성을 유지하고, 상수원 보호지와 같은 특수지역에서는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거나 극히 제한하여 특수환경농산물을 생산한다.
수질오염과 토양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공업폐수, 도시하수, 광산폐수, 축산폐수의 정화를 강화하고, 농지에 쓰레기 매립을 억제해야 한다. 화학비료는 적정량을 사용하고, 작물의 요구에 알맞게 분해되는 완효성 비료, BB 비료 등을 개발하여 이용률을 높여 시용량을 줄이고, 비료 시용 횟수와 비료에 의한 환경의 부담을 줄인다. 유기성폐기물(음식물찌꺼기, 폐지, 식품가공페기물, 임산부산물, 축산폐기물 등)을 비료 화하여 환경오염원을 줄이고, 동시에 유기질비료로 자원화하여 지력을 증진시킨다. 병충해방제는 예찰체계를 강화하고, 생물농약의 개발, 성페르몬 처리, 천적 등 생물적, 생태적 방제법을 적극 개발하고, 또, 저항성 품종개발, 윤작 등 합리적인 재배적 방법을 이용하여 농약사용량을 최소한으로 줄인다. 농약은 저독성, 고성능, 잔효성이 짧게 하고, 생물농축이 없고, 토양이 이동성이 적은 것을 개발한다. 또 완효성 비료와 혼합하거나 종자에 피복하여 적소에 처리하고, 적기에 분해되게 하면 약효의 증가, 공해감소, 농약살포의 노력을 절감 등의 방안도 검토가 필요하다.
특수환경농산물 생산물 중 유기농산물을 생산하는 농가는 전체농가의 0.06%에 불가하지만 소비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특수환경농산물을 생산하는 방법은 좋은 점도 있지만 검정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고, 불합리한 것도 많으므로 연구기관과 협조하여 과학적인 기술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특수환경농산물은 일반농산물보다 생산성이 낮으므로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품질인증제와 유통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1. 金廣殷. 1994. 有機農業의 實踐方向. 農村振興廳 農業技術硏究所 주최의 有機農業의 現況 및 發展方向에 關한 심포지움 : 69-76.
2. 김복영. 1996. 환경오염의 실태와 대책. - 농업용수 및 농경지 오염을 중심으로 -. '96 농업환경 심포지움. 우리 나라 환경농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환경농학회 : 25-53.
4. 김종숙 외. 1996. 환경보존형농업의 기술체계와 농가보급방안. 농촌진흥청.
5. 金漢洙. 1995. 環境保全型農業의 現況과 政策課題.
6. 농림수산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수산청. 1996. 21세기를 향한 농림수산환경정책(안). 환경농림수산업중장기계획 공청회발표자료.
7. 농협중앙회. 1996. 환경농업 - 농업의 새로운 대안 -. 농협리포트 통권 제7호. p. 18.
8. 孫尙穆. 1994. 有機農法으로 生産된 農産物의 品質現況 - 窒酸態 窒素 含量을 中心으로 - 農村振興廳 農業技術硏究所 주최 有機農業의 現況 및 發展 方向에 關한 심포지움 : 249-276.
9. 李文弘. 1994. 持續的 農業을 위한 病害蟲 綜合管理. 農村振興廳 農業技術硏究所 주최의 有機農業의 現況 및 發展 方向에 關한 심포지움 : 231-247.
10. 이상규. 1994. 韓國의 有機農業 發想과 實際. 農村振興廳 農業技術硏究所 주최의 有機農業의 現況 및 發展 方向에 關한 심포지움 : 19-41.
11. 이상규. 환경농업의 연구현황과 과제. 1997. 농업과 환경보전의 조화. 영남대학교. 99-116.
12. 이은웅. 농업생산과 환경보전. 1997. 농업과 환경보전의 조화. 영남대학교.19-52
13. 吳浩成. 1995. 環境保全型 農業의 課題와 展望. 한국농업 50년의 회고와 전망 (광복50주년 기념학술대회) : 159-188.
14. 全學文. 1994. 畜産廢棄物의 高效率的 處理와 資源化. 農村振興廳 農業技術硏究所 주최 有機農業의 現況 및 發展 方向에 關한 심포지움 : 159-166.
15. 鄭眞永. 1994. 韓國의 有機農業 發展過程. 農村振興廳 農業技術硏究所 주최의 有機農業의 現況 및 發展 方向에 關한 심포지움 : 43-55.
16. 정진영, 한남용, 박영수, 윤경환, 김종숙. 1995. 지금 왜 환경보전형 농업인가. 농민신문사.
17. 정진오. 1995. 음식물쓰레기 EM퇴비화사업 추진현황. 유기성폐기물자원화 3(1) : 97-105.
18. 조석진. 1997. 환경농업의 유통전략. 농업과 환경보전의 조화. 영남대학교. 137-158.
19. 趙漢珪. 1994. 自然農法의 現況과 發展方向. 農村振興廳 農業技術硏究所 주최의 有機農業의 現況 및 發展 方向에 關한 심포지움 : 57-68.
20. 함병석. 우리 나라 환경농업의 실제. 1997. 농업과 환경보전의 조화. 영남대학교. 119-134.
21. Hong, C. W. 1994. Organic farming and the sustainability of agriculture in Korea. Food & Fertilizer Technology Center. Extension Bulletin 288. p. 8.
22. 庄子貞雄. 1997. 環境保全型最新農法(朴慶培 譯). 鮮一社. p. 348.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10.2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