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현황과 발전방향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벤처기업의 현황

Ⅲ. 벤처기업의 성공사례 (다음, 새롬 등)

Ⅳ. 앞으로의 대응방안

Ⅴ. 결 론

본문내용


기술 인프라 구축
·High-Tech를 중심으로 자금지원
·정보종합처리센터의 체계완비
·R&D에 대한 정책적 지원 강화
·기술인력 보호장치 마련
·R&D에 대한 적극 투자(매출액의 일정
규모 이상 재투자)
·지식기술집약적 산업에 중점 투자
<표 4-6> 우리나라 벤처기업 활성화 방안
2) 창업보육센타와 공공벤처펀드
1999년말 기준으로 정부는 200개 수준의 창업보육센터를 지정 지원하고 있고, 한국벤처투자조합(KVK : Korea Venture Fund) 등 공공벤처캐피탈의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물론, 운영은 민간에 위임하고 있으나, 언제까지나 정부가 지원을 해줄 수는 없고 이는 정부의 벤처정책의 기조하고도 상충된다.
현재는 정부에서 지원 내지는 자금의 일부를 투여하고 있으나, 민간이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수익성 제고 등 제도적 개선방안을 강구하여 이스라엘의 경우에서 부듯이 초기에는 정부가 지원 내지 운영하던 창업보육센터를 민간기능에 맡기고, 벤처캐피탈 시장이 성숙되면 민영화하여 자율적인 시장기능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Ⅴ. 결 론
이상에서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개념과 특성,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벤처기업의 성공사례를 들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그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벤처기업의 환경적 요인 개선방안, 제도개선안, 벤처기업지원에 대한 정책적 함의 등 앞으로의 대응방안에 대해서 연구해 보았다.
최근의 소비구조를 보면, 상품의 순환기가 짧고, 상품이 고도화·다양화 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소량다품종 생산체제는 대기업보다는 중소·벤처기업이 영위하기에 적합하다. 그동안 수차례 걸친 무역 마찰은 대기업의 소품종 대량 생산에 의한 수출에서 빚어지는 일이 많았으므로 여러 우수한 제품들의 소량수출로 인한 무역구조 개선을 위해서도 정부의 지속적인 벤처기업의 육성정책이 필요한 것이다.
자본주의의 발전은 시장과 분업에 의해서 특히 산업간, 산업내 분업, 대기업과 벤처기업간 분업, 무역을 통한 국제분업 등을 통해 생산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었던 것이 자본주의의 번영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벤처기업과 대기업의 합리적인 협력 방안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대기업과 벤처기업의 협력모색에 있어서 벤처기업은 대기업의 불공정거래로 인한 구조적 악순환을 거듭해왔음을 알 수 있다. 정부는 이에 대한 방안의 일환으로 벤처기업과 대기업의 협력이 상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대등한 관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엄정하고 활발한 논의와 제도로써 이를 뒷받침하여야겠다. 또한 대기업과 수입유명브랜드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중소기업청 개청이래 공동브랜드에 대한 자금, 기술, 판매, 수출 등의 종합지원책과 함께 마케팅이나 자본능력이 부족한 벤처기업이 공동브랜드를 돌파구로 삼는 공동브랜드의 확산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신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벤처기업의 성장은 기술개발을 통한 산업구조의 고도화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의 육성이라는 측면에서도 관심을 가져야할 분야이며, 한국경제의 활성화와 아울러 지방경제의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신기술을 보유하고도 만성적인 자금불황 및 경험 부족, 기술력 부족 등으로 결실을 맺지 못하는 창업자가 많은 것이 국내 현실이며 이러한 문제점은 벤처 기업이 겪는 일반적인 현상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제대로 풀린다면 그건 경제활성화의 시작이며, 왜곡된 경제의 새로운 부흥일 것이다. 하지만 벤처 사업에 대한 지원은 일반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과는 다른 시각을 가지고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기술에 대한 투자가 국가경쟁력 제고의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금융 및 인적, 기술적 지원도 보다 다양하고 전향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국의 자본주의는 벤처 기업이라는 조그마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사업을 필두로 한국적 자본주의의 모습을 갖추고 재조명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한 준 호(2000),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활성화 요인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 근 홍(2000), 한국 벤처기업 발전의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 태 영(1999), 벤처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사례중심으로, 조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 장 우(1997), "한국 벤처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미 비교를 통한 벤처산업 발전전략: '97 한·미 벤처포럼」 이 장 우(1997), 「벤처경영」. 매일경제신문사
이장우·김선홍(1998), 벤처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산업자원부. 벤처기업협회
LG 경제연구원(1999), 벤처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중소기업청 벤처기업국(1999), "2000년 벤처기업정책", 중소기업청
대한상공회의소(1999),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창업실태와 활성화 방안」
김 선 홍(1997), "국내 벤처기업의 현황과 전망", 「기업경제」,
현대경제사회연구원, 통권 46호, pp. 14-22
한국생산성본부, 「기업경영」, 각년도
세계일보(1999), 「1999 한국벤처기업총람」, 그리방
박 경 민(1997), "벤처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LG경제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1998), "벤처기업 창업 및 육성 5개년 계획"
양봉현·주현외(1997), "벤처기업실태 및 육성전략", 산업연구원
성백남·정갑연(1999), "미시경제학", 박영사
이 필 상(2000), 「벤처기업의 성공조건, 뉴스메이커」
이 기 환(1998), 「벤처기업의 자금과 주식시장의 역할」, 벤처경영연구
중소기업청, 산업연구원(1999), 중소기업관련 정책자금의 지원 및 운영체계개편 방안
최동규공저(1999), 중소기업 활력과 벤처기업육성, 중소기업연구원
http://www.daum.net
http://www.serome.co.kr
http://www.interactive.or.kr
http://www.v2news.com
http://www.angelclubs.com
http://www.hiven.com
http://www.onetrade.co.kr
httP:/www./kosdaq.or.kr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02.11.01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9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