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인의 권익을 위한 동료옹호자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정신장애인의 인권
2. 정신장애인의 권리
3. 정신장애인의 권익옹호

Ⅲ. 사례연구

Ⅳ.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와 임파워먼트의 증진을 들 수 있다. 세째, 인간관계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한 대인관계기술의 증진이나 인간관계의 신뢰를 더 한층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역할에 있어서 동료옹호자의 스트레스와 갈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치료 혹은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더욱이 가족이나 주변사람들의 지나친 기대는 오히려 동료옹호자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체계화된 조직을 통하여 동료옹호자가 옹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Ⅳ. 결론 및 제언
이러한 정신장애인들의 권익을 위한 동료옹호자의 필요성에 관하여 이론적 배경과 사례를 통하여 검토하여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권익을 옹호해 나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데 동료옹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동료옹호에 관한 기존연구가 거의 없는 현 시점에서 정신장애인의 동료옹호자의 역할과 필요성을 피력함으로써 정신장애인의 권익옹호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 있어서는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권리, 권익옹호의 이론적 측면과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하였기 때문에 동료옹호자가 될 수 있는 요인이나 실제 행동화할 수 있는 변수를 찾는 대는 어려움이 많다. 더욱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실제 동료옹호자를 양성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동료옹호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동료옹호자가 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후속연구로 동료옹호자가 배출 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현장에서 동료옹호자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정신장애인들을 지속적으로 독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누구보다도 정신장애인들의 동료옹호는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추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노력도 필요하겠지만, 자조집단을 통한 정신장애인운동의 효과가 크기 때문에 점진적으로라도 자조집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정신장애인들의 고충을 대변하는 대변자로서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자기옹호를 할 수 있도록 자기옹호에 대한 많은 관심과 실천적 적용을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신장애인들은 아직도 많은 편견과 선입견으로 인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펼치고, 적극적으로 삶을 유지하는 데 많은 장애를 가지고 있으므로 정신장애인이 아닌 일반인들의 정신장애인들에 대한 옹호의 노력도 증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권건보. 1999. "장애인의 기본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이영. 1998. "정신질환자의 인권:정신보건법." ≪정신건강연구≫제16집. 한양대학 교정신건강연구소.
김철권. 1999. "정신질환자의 인권." ≪정신보건≫ 제4권 1호. 한국정신사회재활협 회. pp.91-97.
박미은. 2000.“정신장애인의 인권운동에 관한 토론.” 한국정신보건사회업학회춘 계학술대회자료집. pp.45-50.
신섭중, 신복기, 현외성, 김경호, 박경일, 김익균. 1999. ≪한국사회복지법제개설≫ 개정증보판. 서울: 대학출판사.
오혜경·백은령·허미선. 2000.“정신지체장애인 자립생활실천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재활재단논문집 통권 제9호. pp. 3-78.
윤찬영. 2000, “정신장애인의 인권운동.”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춘계학술대 회자료집, pp.32-40.
Fichter, M. M. 2001. Self-help groups from the professional point of viem. Vervalfems Therapies. 11(2). pp.92-93.
Kaplan, R. M. 1995. " Quality of Life, Resource Allocation, and the U. S. Health-care Crises." In Joel E. Disable & Andrew Baum(Ed.). Quality of Life in Behavioral Medicine Research. New Jersey : Lawrence Erratum Associates, Publishers.
Laissez, A. S & E. Gjengedal. 2000. The Significance of fellow patients for the patient with cancer- What can nurses do? Cancer Nurses. 23(5). pp.382-391.
Leydon, G. M et al. 2000. Faith, hope, and charity, an in-depth interview study of cancer patient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73(1). pp. 26-31.
Peterson, C. B, J. E. Mitchell & S. Engbloom. 2001. Self-help versus therapist -led group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inge eating disorder at follow-up. International Journal Eating Disorder. 30(4). pp. 363-374.
グティエ-レス, L. M & R. J.パ-ソンズ & E. O.コックス編著. 2000. ソ-シャルワ-ク 實踐におけるエンパワ-メント-その理論と實際の論考集-. 東京 : 相川書房.
久保章監 譯. 1985. ≪セルフ·ヘルプ·グル―プの理論と實際≫東京 : 川島書店.
久田則夫. 1997. “社會福祉における權利擁護の視点に立つ新たな援助論: 利用者主 體のサビスの實踐を目指して.”≪社會福祉硏究≫第70 . pp. 46-58.
世倉秀夫. 1997. "基本的人權の今日的意味-自己決定權とプライバシの權利." ≪社 會福祉硏究≫ 第70 . pp.14-21.
小田兼三·杉本梅夫·久田則夫 編著. 1999. ≪エンパワメント實踐の理論と技法≫ 東京 : 中央法規出版
精神保健福祉士養成セミナ編輯委員會. 1998. ≪精神保健福祉論≫ 東京: へるす出 版.
  • 가격1,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11.27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