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대중매체가 여대생신체변형에 대한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1) 선행 연구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가설 설정

2. 연구방법
1) 응답자
2)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변인
3) 자료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1) 기초 분석
2) 연구 분석

4. 결론 및 의의
1) 요약
2) 논의 및 제언

본문내용

력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심리적 효과. 《방송학 연구》, 제6호, 5-39.
나은영 (1999). 3수준 태도변화 이론의 검증: 태도강도에 따른 내ㆍ외집단 전달자와 메시지 강약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3권 1호, 65-90.
박은아ㆍ성영신 (2001). 광고모델에 대한 소비자 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체이미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ㆍ광고》, 제2권 1호, 87-115.
배정숙 (1998).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적간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
성형수술, 이젠 선택 아닌 필수. (2001. 1. 20). 《한국일보》, 18.
외모만능의 사회, 정신병적 신드롬. (2001. 6. 6). 《국민일보》, 1.
외모에 인생을 건다. (2001. 8. 9). 《한국일보》, 20.
이강수 (2001). 《수용자론》. 서울: 한울아카데미.
이기학ㆍ이학주 (2000). 대학생의 진로 태도 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1호, 127-136.
이영자 (2000).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여성과 남성》. 서울: 나남.
인생의 성패가 외모에 달렸다. (2001. 10. 8). 《한겨레》, 4.
양은주ㆍ한종철(1999). 여대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연구. 《한국심리학 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1권 1호, 79-94.
젊은 목숨 앗아간 외모중시 풍조. (2001. 10. 5). 《문화일보》, 31.
조항제·장익진·임영호·원용진·마동훈 (2000). 《21세기 미디어 연구의 패러다임》. 서울: 한나래.
외모에 인생을 건다. (2001. 7. 11). 《조선일보》, 5.
월스트리트저널, 한국여성들 성형붐. (2001. 2. 23). 《중앙일보》, 25.
차정은 (1997).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
최경숙 (2000). 《하이틴 잡지가 여학생들의 신체를 규정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
한서설아 (2000). 《다이어트의 성정치》. 서울: 책세상.
Bauer, R. A. (1964). The obstinate audience. American Psychologist, 19, 319-328.
Cooper, P. J., Taylor, M. J., Cooper, Z. & Fairbum, C. G. (1987).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ody shap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6(4), 485-494.
DeFleur, M. L., & Ball-Rokeach, S. (1989). Theories of mass communication (5th ed.). New York: Longman.
Harrison, K., & Cantor, J.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nsumption and eating disorders. Journal of Communication, 47(1), 40-67.
Harrison K. (2000). The body electric: Thin-ideal media and eating disorders in adolescents. Journal of Communication, 55(2), 119-143.
Katz, E., & Lazarsfeld, P. (1955). Personal influence: The part played by people in the flow of mass communications. New York: Fee Press.
McQuail, D. (1999). 《수용자 분석》 (박창희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원저 출판연도 1997).
McQuail, D. (2000). McQuail's mass communication theory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McQuail, D., & Windahl, S. (2001). 《커뮤니케이션 모델: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임상원·유종원 역). 서울: 나남출판사. (원저 출판연도 1993).
Myers, P. N., & Biocca, F. A. (1992). The elastic body image: The effect of advertising and programming on Body image distortion in young woman. Journal of Communication, 42(3), 108-133.
Renee, A. B. (1999). Television Images and Adolescent Girls' Body Image Disturbance. Journal of Communication, 54(1), 22-41.
Stice, E., Schupak-Neuberg, E., Shaw, H. E., & Stein, R. (1994). Relation of media exposure to eating disorders symptomatology: An examination of mediating mechanism.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3, 836-840.
Stice, E., & Shaw, H. E. (1994). Adverse effects of the media portrayed thin-ideal on woman and linkages to bulimic symptomatolog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ical, 13, 288-308.
Tan, A. S. (1979). Television beauty ads and role expectation of adolescent of female viewers. Journalism Quarterly, 56, 238-288.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2.12.29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1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