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시가 A+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 후기의 시가 A+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조선 후기 시조
1.개관
2. 주요 작가
3. 시조의 변이
4. 사설시조 (長型時調)
5. 전문가객의 출현과 시조집 편찬
6. 결론

(3). 조선 후기 가사
1. 후기가사의 성격
2. 후기가사의 작가, 형식과 율격, 주제와 소재 고찰
3. 후기 가사 몰락의 사적 고찰
4.결론

본문내용

리고 노계가사에서 보이는 율격의 파격이 나타난다. 즉, 기존의
가사가 3.4나 4.4조를 기조로 하여 4보격이 중심인데 조계가사에서는 1행이 6
보음이거나 2음보나 3음보가 1행을 이루는 파격이 나타난다. 이는 조선후기
가사가 낭송위주로 되면서 詞意 전달을 중시하는데서 생겨난 현
상으로 본다.
형태의 변환
첫째 서두에 산문적인 사설을 넣는 것이 나타난다. <산수정가>같은 작품에
서 시작하여 <일동장유가>, <연행가>, <대한매본신보>, <우국경시가>등이
작품에서 나타난다. 두번째 산문화의 경향과 더불어 장형의 가사가 등장한다.
전기의 가사가 100행 내외였는데 후기가사에서는 <한양가>, <일용장유가>
처럼 수백행이나 수천행으로 늘어난 작품이 등장한다. 한편 짧아지는 현상등
이 나타난다. 짧아진 가사는 주로 장으로 나누는 것이 특징인데 이런 현상은 개화기 가사의 가창화한 작품들이 일정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인다. <농가
월령가>, <달거리>, <사치가>등이 대표적이다. 더불어 개화기에는 가사의
가창화가 이루어진다.
3) 주제와 소재
후기가사도 양반들이 지은 작품에는 전기의 주제와 소재를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 많다. <사제곡>, <노계가>등의 전원생활을 노래한 작품이다. 부임지의
산천과 임금에 대한 충성을 노래한 <출새곡>, <북정가>등, <일동장유가>같
은 기행가사, <북천가>, <별사미인곡>, <방언사>등의 유배가사등은 조선
전기 가사의 주제와 소재가 같다. 조선후기에는 주제와 소재가 확대되는데
전쟁가사, 현실비판의 내용, 애정의 주제, 종교적 내용등이 그것인데 후기가
사에서 확대된 주제와 소재를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전란을 소재로 하여 외적에 대한 적개심과 국가와 민족에 대한 애국심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대평사>, <용사음> - 전쟁의 비참한 현실을 그림
.<봉산곡> - 청에 대한 적개심
.백수회의 <도대마도가>, <재일본장가>
② 타락한 정치현실이나 사회현상에 대한 비판한 가사
.<고공답주인가> - 정치의 잘못을 주인과 고공관계로 빗댐
.<영남가> - 부역에 시달리는 백성생활
③ 실용성을 강조하는 작품 등장
.<농가월령가> - 농사풍습과 농사의 중요성 강조
④ 남녀간의 사랑을 주제로 한 애정가사가 많이 등장 - 주로 서민가사에 애정
을 노골적으로 표현한 작품이 많음
⑤ 종교가사 등장
가사의 출발이 불교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면 종교적 내용은 의미가 없다하
겠으나 조선전기에 사대부들의 전유물이다시피 되면서 종교적 내용이 없어
졌다가 후기에 다시 등장.
동학의 <용담가>, 천주교사상의 <십계명가>
그 외에도 개화를 찬양하는 <동유암흥록>, 개화를 비판하는 <성조감구가>
등이 새로운 경향을 보이며 사대부들의 항일 의명가사도 19세기 말의 새로운
경향의 작품이라 하겠다.
3. 후기 가사 몰락의 사적 고찰
이 장에서는 조선 후기 가사를 좀더 시기별로 세분화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조선후기를 제 1 기(전란기;1592-1689), 제 2기 (보편화기;1618-1859) , 제 3기
(개화기;1860-1927)로 구분하였다.
정재호 「한국가사 문학론」 집문당 1982
1) 전란기의 가사
① 전란시기와 현실비판
이 시기는 장기간 전극규모의 전쟁이 일어나 그것을 소재로 한 가사가 많
이 등장한다. 이러한 전란가사는 전쟁의 비참함을 묘사(태평사, 용사음), 외
적에 대한 적개심, 일본에서의 포로생활 노래(재일본장가)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현실 비판의 가사가 등장하는데 <용사음>등이 있고 내용
은 백성이나 군사에 대한 수령과 변장들의 회포등을 비판한다.
② 전기의 계승
전원생활을 노래한 것(노계가)와 기행가사(박권의 서정별고), 유배가사등이
있다.
③ 작가
양반사대부들이 중심이었으나, 승려, 귀화인들이 등장한다.
2) 보편화기의 가사
① 실용가사, 애정가사, 천주교가사
실학정신에 바탕을 두고 현실적인 소재를 조래한 실용가사(농가월령가)가
등장하며, 사랑을 주제로한 애정가사(상사별곡, 춘단고)도 많이 등장한다.
양란이후 서학이 수입되고 이들 서학을 서울 근교 남인 학자등에 의해 연
구 신봉되었고 그들에 의해 많은 천주교 가사가 지어졌다.(이가환의 경세
가)
② 전기의 계승
강호가사
전후 사회가 안정을 얻자 양반들의 전원생활을 노래하는 강화가사가 계
속 창작되었다.(남도진의 낙은별곡등)
기행가사
전기 가사가 관료로서 그 지방을 여행한 가사가 많은 반면 이 시기에는
개인의 그 기호에 따라 여행한 가사가 많다. (정재문의 화양별곡등)
교훈가사
이들 가사는 양반들의 유교적 훈계보다 속어를 사용하여 도덕적인 내용
은 연역적으로 풀이하기보다는 구체적 인물을 동원하여 그의 생애를 보
여줌으로써 훈계하는 것이 특징이다.
③ 작가
이시기의 자각의 특징은 무명씨에 의해 많은 가사가 지어졌고 내방가사
가 등장한다. 이런 사실을 가사가 시조와 같이 일반화된 것으로 이해된다.
3)개화기의 가사
① 동학가사, 개화가사
동학은 서학에 대항하여 지어진 명칭으로 최제우에 의해 창건되었는데 가
족과 교도들을 깨우치고 훈계하기 위해 안심가, 교훈가, 권학가등의 가사를
지었다. 개화가시를 낡고 부패한 잔재를 벗어나 부국강병의 새로운 삶을
개척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삶을 개척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작품
으로는 독립신문의 수록돼 애국가사류가 대표적이다.
② 전기의 계승
강호가사
이 시기에는 강호가사의 작품수가 줄었는데 그 이유는 관료들의 타락,
민란등 국운의 쇠퇴등을 들 수 있다.
비판가사
이 시기에 가장 활발하게 전개돼 것은 현실 비판의 가사로 대한매일신
보 사회등에 게재되었다.
③ 작가
이 시기의 뚜렷한 작가로는 최제우를 들 수 있으며 전시대에 비해 높은
수준의 작가가 없다.
4.결론
조선수기 가사에는 작가, 형식과 율격, 주제와 소재등은 전기와 비교하였으며
조선후기를 좀더 세분하여 전란기, 보편화기, 개화기로 구분하여 가사를 고찰하
였는바 조선 후기 가사는 임란 이후 작가층이 확대되고 정형이 파괴되고, 평민
들에서 생리에 알맞는 변형을 이룩했다고 보여진다. 가사체는 갑오경장이후에
붕괴되면서 새로운 가형인 창가에 이어진다고 보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01.18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9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