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페미니즘을 통해 본 민족주의와 제3세계 페미니즘의 상관 관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지의 여성운동이 생겨나고 전개되는데 있어서 그 의식적 근거를 제공해 주었다. 민족적 주체성에 대한 확신, 지배 세력에 대항하는 투쟁 정신은 제 3세계 여성들이 서구 제국주의에 맞서 그들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던 것이다.
흑인 페미니즘도, 백인 지배와 인종적 편견에 맞서서 흑인 고유의 민족적 정체성을 찾으려는 흑인 민족주의를 그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흑인 예술이 주장하는 정치성이라던가, 문자로 기록하기보다 '이야기하기' 방식에 치중한 구전 전통에 입각해서 작품을 창작하는 것, 한 개인 작가보다는 흑인 공동체의 집단 의식을 강조하는 점 등 흑인 페미니즘 문학은 흑인 미학의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다. 흑인 여성 작가들이 작품 속에서 흑인 구전 전통과 흑인 민속 문화의 형식을 이용한다는 것은 곧 자기 문화와 역사와의 유대를 보존하고 민족적 뿌리에 대한 자각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백인 지배 이데올로기의 인종적 편견을 없애려는 흑인 민족주의의 평등주의적 가치체계도 실은 여성을 억압하고 종속시키려는 남성 중심적 편견에 물들어 있었다. 흑인 남성들은, 인종적 일체감으로 뭉쳐있는 흑인 민족주의의 내부에 흑인 여성들이 성에 관한 담론을 제기하고 나섬으로써 결과적으로 그들이 흑인 공동체를 분열시키고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흑인 남성들은 모계 중심의 흑인 가족구조가 노예제의 과거를 생각나게 하는 동시에 남성을 무능하게 만든다고 여기고 남성의 권위를 강화시켜주는 가부장제를 옹호함으로써, 그 성 차별적 의식에 있어서는 오히려 그들이 맞서 대항하고자 했던 백인 남성들과 유대를 형성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민족주의 운동 자체가 페미니즘과는 상반되는 면을 가지고 있었다. 페미니즘은 남성 지배에 의해 지금까지 주변부에 위치해 있던 여성들이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넘어서 '국제적인 자매애(international sisterhood)'로 뭉친 여성 공동체를 지향한 반면, 민족주의는 그 민족의 정체성을 찾고 문화적, 정신적 독립을 추구하기 위해 자기 민족의 지역적, 문화적 특성들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제 3세계 페미니즘은 현존하는 서구 백인 여성 중심의 페미니스트 비평이 그들 제 3세계 여성들의 목소리를 결코 대변할 수 없음을 인식하고, 가부장제와 제국주의적 가치를 비판하는 그들의 민족적, 인종적 담론안에 성의 문제를 포함시켰다. 남성들이나 백인 여성이 아닌 제 3세계 여성들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적, 문학적 정체성의 추구가 백인 페미니즘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페미니스트 문화의 지평을 한층 확장시킨 것이다.
제 3세계 페미니즘 중에서도 특히 흑인 페미니즘은 미국 내 흑인의 위치라는 역사적, 사회적 특수성 속에 놓여 있다. 미국 내 흑인들은 일찍이 노예제의 과거를 가지고 있었고 노예 해방이 된 이후에도 경제적, 사회적으로 백인들에게 예속된 채 한 나라에서 그들과 공존의 삶을 살아야 했다. 그리고 흑인 여성은 흑인 사회 내부에서 흑인 남성들의 남성 우월주의적 가치관에 의해 또 한 번 억압을 당하면서 살아가는 위치에 있다. 흑인 여성 작가들은 이런 흑인 여성들의 삶에 주목하여, 잊혀져 왔던 흑인 여성의 존재를 부각시키고 그들의 문제를 제시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흑인 여성들이 겪는 제한되고 억압된 삶은 단순히 인종적 편견이나 가부장제 사회구조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은, 흑인들이 미국 백인들의 가치에 동화되어 소비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편승하고 중산층으로 올라서고자 하면서 현대 흑인 공동체 전체가 겪는 위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현대 흑인 여성의 삶은 인종과 성, 계급의 범주에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따라서 흑인 페미니즘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세 범주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 문헌》
이소영, 정정호(공편).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한신문화사, 1992.
Amos, V. and Parmar, P. "Challenging imperial feminism". Feminist Review 17, 1984.
Christian, Barbara. Black Feminist Criticism. Pergamon Press, 1985.
Donaldson, Laura E. Decolonizing Feminisms. London: Routledge, 1993.
Dubey, Madhu. Black Women Novelists and The Nationalist Aesthetic. Bloomington: Indiana UP, 1994.
During, Simon. ed. The Cultural Studies Reader.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3.
Humm, Maggie. Feminist Criticism. New York: Harvester Wheatsheaf, 1986.
______________. The Dictionary of Feminist Theory. New York: Prentice Hall, 1989.
______________. Practising Feminist Criticism. London & New York: Prentice Hall, 1995.
Leavitt, Dinah Luise. Feminist Theatre Groups. Jefferson, N.C.: McFarland. 1980.
Morrison, Toni. "Rediscovering Black History". The New York Times Magazine (August 11). 1974.
______________. Song of Solomon. New York: A Plume Book, 1977.
Spivak, Gayatri Chakravorty. The Post-Colonial Critic. New York & London: Routlede, 1990.
Walker, Alice. In Search of Our Mothers' Gardens. San Diego: Harcourt, Brace, Jovanovich, 1983.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03.07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