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활동과 세계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GO활동과 세계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개념(영향) 및 법적지위
1. 개념 및 성격
2.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3. 법적 지위

Ⅲ. NGO와 정부의 상호작용
1. NGO와 정부의 관계
2. NGO와 정부 관계 모델

Ⅳ. 국제사회와 NGO
1. 국제 NGO의 특성
2. UN과 NGO
3. NGO의 UN내에서의 역할

Ⅴ. NGO와 UN의 협력활동
1. NGO와 아동권리협약
2. NGO와 UNHCR
3. UN의 빈곤퇴치전략
4. 르완다, 소말리아에서의 GNI

본문내용

세계빈곤문제를 접근하는데 세계 모든 정부가 그 의미를 먼저 깨달아야 한다고 판단했으며 그 중요한 의미가 아동의 권리 존중에 있음을 강조하게 된 것이다. 그녀는 한편으로 아동을 위한 보건, 교육, 복지에 대한 구체적 프로그램을 전개하면서 그 의미를 선언문에 담게 된 것이다. 1924년 그녀가 스위스에서 작성한 아동 권리에 관한 '제네바 선언문'은 UN의 전신인 LEAGUE OF NATIONS(국제연맹 : 1919-1946)에 의해 채택되었다. 이 선언문은 그 후 1948년 12월 10일 UN총회가 채택한 인권 선언문 헌장 25조에 아동 보호조문을 삽입시키는 자료가 된다. 또한 1959년 3월 16일-4월 10일 15차 UN ECOSOC 회의시 두 개의 NGO가 보완 제안하고 5명이 발언한 후 제2아동권리선언문을 채택하여 그 해 11월 20일 유엔 총회에서 만장일치 결의로 채택된다. 이때까지 이 선언문은 법적 강제성이 없었다. 1978년 폴란드 정부는 1942년 200명의 유태인 고아들을 돌보다 독일군에 의해 고아들과 함께 학살되었고, 이글랜틴과 함께 제네바 선언문에 서명한 38명 중 한 사람인 KORCZAK의 귀한 뜻을 기리고자 어린이 보호가 세계법으로 제정되어야함을 느끼면서 선언이 아닌 국제법 상 강제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을 유엔에 하게 되었다. 이에 점차 그 수가 많아진 41개 NGO들이 1983년부터 여기에 힘을 합하여 유엔으로 하여금 어린이 보호를 위한 강제 법조문을 만들게 하고 결국 1989년 11월 20일 유엔 총회의 만장일치 결의로 조약을 제정하여 그 후 전 세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NGO들은 각국 정부가 이 조약을 실행하는가 감시하며 아동권리증진을 위해 유엔과 함께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2. NGO와 UNHCR
1951년 UNHCR이 설립되어 난민 보호가 시작된 후 SCF 등 많은 민간 단체가 여러
모로 UN과 함께 일해온 후 1992년 ICVA(International Council of Voluntary
Agencies)와 협약을 체결하고 93년도에 UNHCR은 예산 3억불을 300여개 NGO에 배정
하였고 그들은 세계 도처의 난민을 구호하였다. UNHCR은 매년 10월 운영 위원회를 개최하며 NGO들을 참가시키고 있으며 80-100개의 NGO가 여기에 참여하여 세계 난민구호의 정책 등을 연구·토론하고 있다. 난민 구호에서 식량 배급, 주거지 마련, 식수, 보건의료, 위생, 교육, 기술교육 등의 분야로 NGO의 역할을 구분하여 담당하고 있다.
3. UN의 빈곤퇴치전략
UN이 창설 후 지난 50년간 세계 전체의 총생산고(GDP)는 7배, 평균 개인 소득은
3배의 증가세를 보였다. 85년에 32%였던 기아 인구가 95년에는 25%로 내려갔으며
개도국들이 선진 공업국보다 더 빠른 경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발전의
혜택이 균등하게 나눠진 것은 아니다. 가난한 사람의 수는 50년 전에 비해 더 늘
어났다. 세계 인구 57억 중 15억이 세계 은행이 규정한 '절대 빈곤'의 부류에 속한다. 놀랍게도 이 숫자는 매년 2천 5백만명씩 증가했다. 또 2억의 아동을 포함한 8억의 인구가 영양 실조에다 안전한 식수 공급도 못받고 있다. 이제 근본적인 해결없이 인간발전을 위한 평화와 민주와의 추구는 임시방편의 대책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 유엔 정책메이커들의 공통된 견해이다. 또 환경 오염처럼 빈곤 문제 역시 해당 장소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국가와 사회에 직·간접의 영향을 미쳐 그들의 경제·사회 발전과 떼놓을 수 없는 관계가 있음을 믿게 됐다.
빈곤퇴치의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제안이 있지만 유엔개발기구들에서 추진하는 프로젝트도 '20:20 비젼'이라는 것이 있다. 완전 시력의 수치를 딴 이 정책은 선진 국가는 유엔이 정한 NGP의 0.7%를 해외 원조로 사용하고 그 중 20%를 교육, 보
건 등 인간 개발에 할애하며 피원조국들은 국내 예산의 20%를 이 분야를 위해 써야 한다는 원리를 세웠다. 빈곤퇴치가 이제 심각하게 국제 사회에서 받아들여지는 자체가 큰 발전임은 틀림없다. 특히 우리 나라의 경우 OECD 가입과 함께 GNP 0.7%를 ODA기금으로 내놓을 준비를 해야하며, 그 기금의 일부를 NGO들이 사용하면서 세계 도처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손발이 되어야 하겠다.
4. 르완다, 소말리아에서의 GNI
유엔은 ECOSOC산하에 UNDP, UNICEF, UNHCR등의 상설 기구 외에 UNKRA(한국), UNSOM(소말리아) 등 전쟁 발생 지역에 임시 기구를 설치하여 구호와 치안을 담당한다.
1993년부터 GNI는 소말리아 모가뒤슈시 변두리 자시라 마을을 THE 4TH WAVES와 협력하여 지원하였다. 우리가 그 곳에서 활동할 때 UNOSOM 본부는 PKO군대를 파견하여 우리의 신변을 보호하였고 의료 및 보건 서비스에도 협력하였다. 르완다 난민촌의 경우 유엔 협력과의 사전 준비나 지식없이 파견된 1994년 8월 11일 GNI 구호대원 8명은 난민촌 변두리에 TENT CAMP를 세우고 의료 진료와 식량배급, 고아를 위한 무료 급식을 시작하였다. 물론 무법과 무질서의 현장에서 어떤 사고를 당할지도 몰랐다. 첫번째 우리가 당면한 문제는 난민에 대한 유엔정책을 전혀 몰랐기 때문에 우리가 유엔에 사전에 활동 신고를 하고 UNHCR 본부의 협력을 얻지 못하므로써 본회 CAMP를 유엔이 통제하는 기본 캠프장 밖에 설치한 것이다. 한편 콜레라와 이질이 그때까지 남아있어 긴급 환자가 줄을 이었기 때문에 가져간 수액이 금방 동이 났다. 우리는 이러한 현지의 봉사 활동을 왜 유엔이 통제하는가를 분명하게 배울 수 있었다. 물론 우리의 텐트는 점차 유엔의 통제구역으로 옮기었고 유엔의 협조로 필요한 주사액 및 의약품을 공급받았고 매일 제공하는 유엔의 브리핑에 참여하여 유엔 난민정책에 협력하였다. 국내에서 모여진 의약품 및 구호품을 UNDP 한국 대표부와 UNHCR 일본 대표부와 협력하여 르완다 난민촌인 고마 UNHCR에 보내기도 하였다. 이 활동은 한국역사에 비정부기구(NGO)로서 최초로 활동한 기록이 되었으며 외무부의 대외원조 보고서에 포함되었다.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0.27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