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민족언어 갈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인도경계에 따른 언어이질화
(2) 집단간 언어갈등
(3) 식민통치에 영향에 의한 원인
(4) 제국주의에 산물

2 결론
(1) 연방제 채택에 따른 해결방안

본문내용

철저히 견제하였다.
2 결론
(1) 연방제 채택에 따른 해결방안
연방제의 채택은 나름대로의 정치사적인 의미도 갖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것이 갖는 또 다른 의미는 새로운 정치 중심지인 뉴델리 즉 힌디권 벨트의 중심지에 대한 비힌디권 특히, 따밀(어)를 비롯한 남부 인도어권과 벵갈어를 쓰는 벵갈 지방의 자치권을 확보하는 데에 있었다. 따라서 정치 체제인 연방제의 채택은 바로 힌디의 모국어화에 대한 방해 내지는 실패, 나아가서 단일 언어를 통한 국민 국가의 건설의 좌절을 의미하기도 했다. 이는 영국의 지방어나 무슬림 등과 같은 마이너리티 문화에 대한 적극적 지원의 직접적 결과였다. 독립 인도의 지방 구획 개편이 언어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지게 된 것도 바로 이런 배경 하에서였다. 여러 토후 세력들 특히, 독립 인도의 지리적 배경 속에 섬처럼 남아 있던 몇몇 무슬림 군주/다수 토후국들에 대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하여 정부로서는 지방 언어를 중심으로 하여 주(province) 경계를 새로 구획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등장한 것이 공용어(official language) 문제였다. 독립 후 1967년까지 약 20년 동안 문제로 비등해 온 것이 힌디가 정부의 대표 공용어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가의 문제였다. 결국 1963년에-그 후 1967년에 개정하지만-공용어안(Of ficial Language Act)을 반포하여 힌디를 정부의 '유일 공용어'로 그리고 영어를 '부가 공용어'로 채택하고 더불어 14개의 주 지방어를 학교나 관공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당한 공용어로 인정하게 되었다.
이 안은 일 년 후 인도 정부가 결의한 TLF(Three La nguage Formula; 세 언어 규정)의 모태가 되었다. 이 TLF에 따르면 모든 지방의 첫째, 초등 교육은 모어로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중등 교육은 여러 가지 어려운 여건에 따라 (공용어로 인정 받은) 주 지방어로 이루어지며, 셋째, 이 때 동시에 힌디 혹은 영어를 가르치게 된다. 독립 인도 정부의 민족 단일화 정책은 식민 통치의 영향-곧 종교 분파주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언어의 별개성을 강조하면서 민족의 단일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각 주를 언어별로 구획하여 중앙으로부터의 원심력을 훨씬 키우는 쪽으로 방향이 기울었으며 그 나머지 중앙 정부의 허약함과 언어 분파주의의 심화가 초래되었다. 결국 지방의 학생들은 현실적으로 모어, 지방어, 힌디, 영어의 4개 언어 혹은 그 이상의 언어를 배워야 한다는 비현실적인 상황에 빠져들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동북부의 앗삼이나 남부의 따밀나두 같은 지방의 언어 정책에 대한 반발은 두말할 필요도 없고, 전체적으로 볼 때 하나의 국민 국가에서 언어를 두 언어 제도(bi lingual system)가 아닌 다언어 제도(multi lingual system)를 채택하면서 하나의 민족 형성에 큰 장애가 초래되었다. 이 모든 것이 영국의 분할 통치(divide & rule)에 의한 민족 분열의 결과라 해도 크게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 가격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2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