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의 성장과 우리의 산업정책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경제의 성장과 우리의 산업정책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중국경제의 부상
1.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
2. 수출의 호조 및 수출상품 구조의 고도화
3. 주요 제조업의 위상 부상
4. 한국경제의 상대적 위축

Ⅲ. 중국경제의 경쟁력 제고 요인 분석
1. 중국의 일관되고 효과적인 산업정책
2. 외자도입의 호조
3. 고정자산투자의 확대
4. 절대 및 상대적 저임금의 지속과 인력배양의 중시
5. 제조업 구조의 장기 변화 전망

Ⅳ. 우리나라 산업경쟁력의 상대적 후퇴
1. 한·중교역의 심화와 경쟁력 비교
2. 우리나라의 대중투자

Ⅴ. 우리나라의 산업정책방향

Ⅵ.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키는데 즉시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지난 5년간 국내투자 부진의 지속으로 산업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이 중국경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후퇴되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투자 및 교육"의 요소가 중국의 산업경쟁력 제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는 사실은 성장동력과 경쟁력강화를 모색중인 우리경제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한편 중국이 나름대로 경쟁력을 구비하고 있는 데에는 중국자체의 노력도 있지만 상당 부분이 외국투자업체에 의해서 이루어 졌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자체가 근본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면 중국과의 경쟁력 논쟁은 무의미할 수도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일깨워 주고 있다.
과거 경제도약에 성공한 각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역시 산업정책의 핵심은 투자 및 교육 등 장기적 수단에 의존하는 것이 가장 유효하다. 가령 일본의 메이지유신이나, 중국의 개혁ㆍ개방, 과거 우리나라의 고도성장 등의 경험에서 보듯이 결국 성공적인 경제발전은 새로운 투자와 교육을 강화한 결과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 산업정책의 나아갈 방향을 찾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교육투자를 통해서 개개인이 새로운 투자 기회를 스스로 포착할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장기적으로 올바른 산업정책방향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참고문헌 >
고용수ㆍ이규인, "중국경제의 고성장 배경과 성장지속가능성," 『한은조사연구』2003-3, 한국은행 조사국, 2003. 6.
김기환, "동북아경제 중심지 개발전략," 『월간조선』, 조선일보사, 2001. 11.
김석진, "중국고도성장 언제까지 계속되나," 『LG주간경제』, LG경제연구원, 2003. 4. 30, pp. 4-9.
박성빈, "중국경제성장이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업무정보, 2003. 3.
박중구·김정현, "한ㆍ중ㆍ일간 첨단기술산업의 경쟁력 비교,"『Issue Paper』, 산업연구원, 2001. 7, pp. 16-18.
신현수ㆍ이원복, "한ㆍ중ㆍ일 제조업 경쟁력의 비교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Issue Paper』 2003-128, 산업연구원, 2003.
안효승, "중국신지도부의 경제정책," 외교안보연구원 내부자료, 2003.
오용석, "중국의 WTO 가입이후 대외경제정책변화 효과와 대외파급영향," 『東北亞經濟硏究』제13권 제1호, 2001. 11, pp. 91-128.
, "중국 무역체제개혁의 전개와 방향," 『比較經濟硏究』제9권 제2호, 2002, pp. 235-285.
은호성ㆍ임윤상ㆍ김진용, "중국의 WTO가입 및 올림픽 개최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향," 『한은조사연구』2001-10, 한국은행, 2001.
이시영, "중국 주요산업의 경쟁력현황과 우리의 대응방안 : 자동차, 철강, IT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조사국 외부연구용역보고서, 2003.
정상은, "중국경제의 최근 이슈와 향후 전망,"『CEO Information』제409호, 삼성경제연구소, 2003. 7.
정영록, "동북아지역 무역구조와 역내수출경제력비교," 『정책연구』 92-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
정영록, "동북아시대에 대비한 한국의 경제적 진로," 『한국북방학회논집』, 한국북방학회, 1997. 11.
정영록, "중국 元貨환율 전망과 정책과제," 『대외경제연구』봄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8.
정영록, "중국의 경제개혁 평가," 『현대중국연구』제4집 1호, 2002.
정영록, "중국의 이동통신시장 진단과 전망," 『Telecommunication Review』Special Issue 2002, 2002. 7.
한국산업은행, 『中國의 改革戰略과 成果』, 2001.
Chang, Gorden G., The Collapse of China, New York: Random House, 2001.
Cheong, Young-Rok, "Comparison of FDI into China," Global Economic Review, Vol.28 No.1, Yonsei University, 1999.
Grubel, H.G. and Lloyd, P.J., Intra-Industry Trade, McMillan Ltd., London, 1975.
Krugman, "The Myths of Asian Miracles," Foreign Affairs, November/December 1994.
Lardy, Nicholas R., China in the World Economy,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Washington, D.C., 1994.
Perkins, Dwight H., "Reforming China's Economic System," The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 26, No. 2(June),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1988.
World Bank, China 2020: Development Challenges in the New Century, New York, 1997.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03.
國家統計局,『中國統計年鑒』, 각년판, 北京: 國家統計出版社, 1982-2001.
國務院發展硏究中心, 『未來20年我國經濟發展前景分析』, 北京: 中國發展出版社, 1999.
王洛林, 中國外商投資報告, 2002.
王夢奎 主編,『中國2010』, 北京: 中國發展出版社.
外經貿部, 『中國對外經濟貿易白皮書 2000』,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0.
, 『中國對外經濟貿易白皮書 2002』, 北京: 中國物資出版社, 2002.
李京文, "21世紀中國經濟發展趨勢," 中國宏觀經濟信息網, 2001.
李善同ㆍ翟凡ㆍ侯永志, 『中國經濟增長的前景,』, 北京: 中國發展出版社, 2000, pp. 18-31.
李秀恒, "21世紀中國市場," HongKong, 2001.
日本經濟硏究セソタ, 『2020年アジアの産業競爭力』, 1999. 12.
日本經濟硏究センタ-, 『2020年の中國』, 2000. 3.
  • 가격4,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03.11.2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