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후기의 역사인식 연구 - 삼국유사와 제왕운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삼국유사』

3. 『제왕운기』

4.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비교 검토

5. 맺음말

본문내용

술 논리를 가진 두 사서를 동일한 시대라는 범주만을 기준으로 삼아 하나의 글 속에서 이야기하면서 많이 고민하고 꼭 얻어내고자 했던 결과가 바로 단지 역사가가 살았던 현실이 아니라 역사가가 반응하고 인식한 현실이 어떻게 역사서의 성격을 결정하는가 하는 부분이었다.
참고문헌
今西龍, 1919, 「高麗普覺國尊一然に就きて」『藝文』9-7·9-8· 京都文學會.
李基白, 1973, 「三國遺事의 史學史的 意義」『震檀學報』36, 震檀學會.
今西龍, 1974, 「正德刊本三國遺事に就きて」『高麗及李朝史硏究』, 東京國書刊行會.
金煐泰, 1974, 「三國遺事의 體裁와 그 性格」『論文集』13, 東國大.
金泰永, 1974, 「三國遺事에 보이는 一然의 歷史認識에 대하여」『慶熙史學』5.
閔丙河, 1974, 「三國遺事에 나타난 孝善思想」『人文科學』3·4合, 成均館大.
三品彰英, 1975, 『三國遺事考 』 書店.
沈 俊, 1977, 「一然의 三國遺事에 대하여」『韓國學』13, 中央大 韓國學硏究所.
金相鉉, 1978, 「『三國遺事』에 나타난 一然의 佛敎史觀」『韓國史硏究』20.
蔡尙植, 1979, 「普覺國尊 一然에 대한 硏究」『韓國史硏究』26.
新羅文化宣揚會, 1980, 『三國遺事의 新硏究』.
金相鉉, 1982, 「『三國遺事』의 刊行과 流通」『韓國史硏究』38.
高翊晋, 1982, 「『三國遺事』 撰述攷」『韓國史硏究』38.
民族文化硏究所 編, 1983, 『三國遺事硏究』上, 嶺南大學校出版部.
金宅圭, 1984, 「三國遺事의 社會民族誌的 價値」『韓國社會와 思想』, 韓國精神文化
硏究院.
李在云, 1984, 「三國遺事의 始祖說話에 나타난 一硏의 歷史認識」『全北史學』8.
金相鉉, 1985, 「三國遺事 王曆篇 檢討-王曆 撰者에 대한 의문」『東洋學』15, 檀國大
東洋學硏究所.
李基白, 1985, 「『三國遺事』 王曆篇의 檢討」『歷史學報』107, 歷史學會.
白山資料院, 1986, 『三國遺事硏究論選集』.
鄭求福, 1987, 「三國遺事의 史學史的 考察」『三國遺事의 綜合的 檢討』, 韓國精神文
化硏究院.
金相鉉, 1987, 「三國遺事의 書誌學的 考察」『三國遺事의 綜合的 檢討』, 韓國精神文
化硏究院.
金泰植, 1987, 「三國遺事에 나타난 一然의 高麗時代認識」『蔚山史學』1. 蔚山大.
李基東, 1987, 「三國遺事에 의한 新羅史硏究와 敍述」『三國遺事의 綜合的 檢討』,
精文硏.
崔柄憲, 1987, 「三國遺事에 나타난 韓國古代佛敎史 認識-佛敎敎學과 宗派에 대한
認識問題를 중심으로」『三國遺事의 綜合的 檢討』, 精文硏.
田村圓澄, 1987, 「삼국유사와 불교」『三國遺事의 綜合的 檢討』, 精文硏.
李基白, 1987, 「三國遺事 塔像篇의 意義」『斗溪李丙燾博士九旬紀念 韓國史學論叢』,
知識産業社.
李基白, 1987, 「『三國遺事』 기록의 信憑性 문제」『아시아문화』2, 한림대 아시아
문화연구소.
兪塋淑, 1988, 「一然과 三國遺事의 撰述」『한성사학』5, 한성사학회.
蔡尙植, 1988, 「一然의 思想的 傾向」『韓國文化硏究』1, 釜山大 韓國文化硏究所.
蔡尙植, 1988, 「一然」『韓國史市民講座』2, 一潮閣.
尹柱弼, 1989, 「三國遺事의 體制와 主題-「感通」篇의 체제와 구성원리를 중심으로
-」『韓國學論集』15, 漢陽大 韓國學硏究所.
金相鉉, 1991, 「麟角寺 普覺國師碑 陰記 再考」『韓國學報』62.
蔡尙植, 1991, 『高麗後期佛敎史硏究』, 一潮閣.
朴永 , 1992, 「신자료를 통해서 본 麟角寺普覺國師碑陰記」『비블리오필리』3.
金相鉉, 1994, 「三國遺事의 歷史方法論的 考察」『東洋學』23, 檀國大 東洋學硏究所.
채상식, 1996, 「일연과 『삼국유사』」『한국사 21-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국사
편찬위원회.
李根直, 1998, 「『삼국유사』 왕력의 편찬성격과 시기」『韓國史硏究』101.
하정룡, 1998, 「『삼국유사』 최고본의 간행시기-학산조종업소장고판본을 통한 접근
-」『사학연구』55·56合(죽전신재홍박사정년퇴임기념논문집).
하정룡, 1998, 「『삼국유사』 학산이인영구장고판필사본의 서지학적 고찰」『白山學
報』50, 白山學會, 1998.
河廷龍, 1998, 「『三國遺事』의 編纂과 刊行」『先史와 古代』11, 韓國古代學會.
조동걸·한영우·박찬승 엮음, 1999,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상, 창작과비평사.
한국역사연구회, 1999, 『한국역사입문』②, 풀빛.
權熹耕, 2000, 「三國遺事를 통해 본 高麗的 시각」『書誌學硏究』20, 書誌學會.
金福順, 2000, 「『三國遺事』「興法」篇과 中古期의 설정」『慶州史學』19, 동국대
경주사학회.
李佑成·姜萬吉 篇, 2000, 『韓國의 歷史認識』上, 創作과批評社.
이범직·김종연, 2000, 『한국인의 역사의식』, 청년사.
金杜珍, 2001, 「三國遺事의 體制와 내용」『韓國學論叢』23,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姜仁求 외, 2002, 『譯註 三國遺事』Ⅰ·Ⅱ, 이회문화사.
姜仁求 외, 2003, 『譯註 三國遺事』Ⅲ·Ⅳ·Ⅴ, 이회문화사.
金相鉉, 2003, 「三國遺事의 書誌的 考察」『譯註 三國遺事』Ⅴ, 이회문화사.
金杜珍, 2003, 「三國遺事의 史料的 性格」『譯註 三國遺事』Ⅴ, 이회문화사.
이우성, 1962, 「고려중기의 민족서사시-동명왕편과 제왕운기의 연-」『논문집』7, 성
균관대.
김상기, 1965, 「고려간본 '제왕운기'에 대하여」『고고미술』56·57.
진영영, 1969, 「제왕운기 연구」『한국어문학연구』9, 이화여대 한국문학회.
이기동, 1977, 「고조선문제의 일고찰-제왕운기 소재 고조선 기년에 대한 존의」『大
丘史學』12·13.
劉璟娥, 1986, 「李承休의 生涯와 歷史認識-『帝王韻紀』를 中心으로-」『高麗史의 諸 問題』, 三英社.
邊東明, 1990, 「李承休의 『帝王韻紀』 撰述과 그 史書로서의 性格」『震檀學報』70.
河炫綱, 1991, 「李承休의 史學思想 硏究」『東方學志』69, 延世大 國學硏究院.
柳璟俄, 1996, 「『제왕운기』의 편찬」『한국사 21-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李種文, 1999, 「『帝王韻紀』의 原典에 對한 몇 가지 疑問點」『고려시대 역사시 연
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변동명, 2000, 「이승휴」『한국사시민강좌』27, 일조각.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4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