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혁명의 배경 - 1905년 혁명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目 次




Ⅰ. 서론

Ⅱ. 본론
1. 러시아 혁명의 원인
1) 러시아 구체제의 모순 : 전제정치와 농노제
2) 산업화와 그에 따른 모순의 심화
2. 혁명운동의 성장
1)급진적 지식인의 활동
2) 마르크스주의의 도입과 혁명정당의 설립
3)노동/농민 운동의 전개
3. 1905년 혁명과 스톨리핀의 반동
1) 1905년 전야의 러시아 혁명운동
2) 혁명의 고양과 12월 무장봉기
3) 혁명의 실패원인
4) 스톨리핀의 반동정치 : 혁명세력의 퇴조

Ⅲ. 결론

본문내용

투쟁에 의해서만 짜르군주제를 타도하고 자본주의의 멍에를 타도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증명하여 주었다.
혁명은 모든 계급과 정당의 실체를 그들의 실제행동을 통해서 보여 주었으며, 그들 계급들, 정당들의 지향 및 그들의 역할과 의의를 명확히 하였다. 각각의 당이 무엇을 향해 싸우는가, 누가 누구의 계급적 이익을 옹호하는가를 인민대중에게 보여준 것이다.
혁명은 노동자계급의 통일이 혁명 승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는 점을 분명히 확증하였다.
근로농민은 갖가지 동요를 거듭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자계급의 동맹자로서 행동하였다. 무엇보다도 이 동맹이 형성과정 중에 있었어도, 이직 자연발생적이었으며 무자각적이었던 점은 사실이다. 노동자·농민의 힘은 아직 분열되어서 충분히 조직되지 않았다.
프롤레타리아트는 인민대중에 대한 지도권을 자유주의적 부르조아지로부터 빼앗아 역사상 최초로 부르조아민주주의혁명의 지도자, 헤게모니 장악자로서 행동하였다. 자본주의가 충분히 발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적으로는 프롤레타리아트가 국내 인구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었긴 하나, 혁명의 지도자로 되는 능력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동시에 혁명은 민주주의적 농민대중이 승리획득을 위하여 프롤레타리아트를 돕는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혁명은 부르조아의 반 혁명성을 여실히 폭로하였다.
혁명은 세계 혁명운동의 중심이 러시아로 이동한 점, 영웅적인 러시아 프롤레타리아트가 전 세계의 혁명적 프롤레타리아트의 전위가 된 점을 보여주었다.
제1차 러시아혁명은 이전의 혁명까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투쟁수단과 투쟁형태를 제기하였다. 무장봉기로 성장, 전화하는 대중적 정치스트라이크가 처음으로 사용된 것이다. 혁명의 과정 중에 대중적 정치스트라이크가 처음으로 사용된 것이다. 혁명의 과정 중에 만들어진 노동자대표 소비에트(평의회)는 단순한 봉기기관만이 아니라 프롤레타리아트와 농민의 혁명적인 민주주의 독재의 맹아적 형태이기도 하였다. 이 소비에트는 10월 사회주의혁명이 승리한 뒤에 확립된 러시아 소비에트 권력의 원형이었다.
혁명의 전 기간을 통하여 우크라이나, 백러시아, 폴란드, 발트해 연안 지방, 카프카즈, 중앙아시아, 기타 러시아 변경지방의 노동자·농민은 러시아 인 노동자·농민과 함께 짜리즘과 지주에 반대하여 영웅적으로 투쟁하였다. 혁명의 경험은, 민족적 해방과 사회적 해방을 향한 공동 투쟁을 위해서는 러시아의 모든 민족의 근로자가 프롤레타리아트의 지도 하에 전투적 동맹을 결성할 필요가 있으며 또 가능하다는 것을 확증하였다.
레닌은 마르크스주의를 거대한 혁명의 경험으로 풍부히 하였다. 레닌의 저작 중에서 마르크스주의 혁명이론이란 국가론, 또한 부르조아민주주의혁명과 사회주의혁명에서 노동자계급의 지도적 역할을 보증하는 혁명적 정책을 발전시켰다.
이 혁명이 진행되고 있던 수년 같은 구 개의 정치노선, 즉 볼셰비키 노선과 멘셰비키 노선이 시련을 받은 시기이기도 했다. 혁명투쟁의 과정은 볼셰비키의 전략계획과 전술이 옳았음을 확증시켜 주었다. 당 대회에서는 멘셰비키와의 첨예한 대립 속에서 당의 집단적 사고에 의해서 대중의 혁명투쟁의 구체적 방법과 수단, 혁명적 의회전술의 원칙, 프롤레타리아트 국가주의에 기초한 여러 민족들의 사회주의 정당과의 통합형태 등이 작성되었다.
1905∼1907년의 러시아혁명은 노동자계급의 마르크스주의 정당이 독자적인 강령과 전략전술을 갖는 독립된 정치세력으로서 행동한 세계사상 최초의 혁명이었다. 볼셰비키당은 커다란 정치학교를 졸업하고 대중속에서의 조직활동의 풍부한 경험을 몸에 익혔다. 1905년까지는 볼셰비키를 아는 사람들이 소수에 지나지 않았으나 혁명의 결과 볼셰비키가 광대한 대중에게 알려지게끔 되었다. 당이 이 혁명의 결과 대중적인 당으로 된 것이다. 볼셰비키는 인민의 이익을 위하여 헌신적으로 싸우고 가장 전투적이고 가장 위험한 투쟁부서에 있었다. 이러한 것은 모두 인민대중의 의식 중에 깊은 흔적을 남겼고, 그것이 나중에 2월 혁명과 10월 혁명 사이에 나타났다.
참 고 문 헌
1. N. V. 랴자 노프스끼 『러시아의 역사 (1801∼1976)』(서울 : 까치, 1982)
2. 이인호『러시아 지성사 연구』(서울 : 지식산업사, 1985)
3. R. D. Charques 박태성 편역『러시아사』(서울 : 역민사, 1991)
4. 김광수「혁명전 러시아 농민병사들의 의식구조」(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88. 90p)
5. 김민제『러시아 혁명의 환상과 현실』서양근대혁명사 제 3부 (서울: 역민사, 1998)
6. 김우승「농민 공동체의 신념 체계와 러시아 혁명」(연세대학 박사학위논문, 1994)
7. 김웅희「레닌혁명의 사회·경제적 배경」《북한》. 203(1988. 11): 166-178
8. 쉴라, 페츠페트릭, 김부기 역『러시아혁명: 1917-1932』(서울: 예왕사, 1990)
9. 신상초『레닌과 러시아 혁명』(서울: 명문당, 1992)
10. 신상호『레닌과 러시아혁명』(서울: 태양 문화사, 1977)
11. 이인호 편『러시아 혁명사론』(서울: 까치글방 79, 1992)
12. 이인호「러시아혁명과 노동자-혁명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서양사연구》12 (1991:1-36)
13. 이정희「1917년 러시아혁명과 노동계급의 정치의식」《혁명·사상·사회변동》
(대구: 경북대학교 출판국
14. 이채욱「1905-7년 러시아혁명과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서양사연구》12
(1991: 107-166)
15. 카아, E. H. 편집부 역.『러시아혁명 1917-1929』(서울: 나남, 1983)
16. 피츠페트릭, 쉴라. 김부기 역『러시아혁명 1917-1932』(서울: 대왕사, 1990)
17. 하용출『러시아 혁명기의 사회와 문화』(서울: 믿음사, 1988)
18. 한기영 편저『러시아 혁명의 해석』(제주대학교 출판부, 1998)
19. 힐, 크리스토퍼, 반형광 역『레닌과 러시아 혁명』(서울: 이론과 실천, 1986)
20. 거름신서 편집부『러시아혁명사Ⅰ』(서울: 거름, 1987)
21. 거름신서 편집부『러시아혁명사Ⅱ』(서울: 거름, 1987)
22. 독고종 지음『볼셰비즘을 넘어서』(서울: 과학과 사상, 1994)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