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이염(otitis media)
2. Tonsillectomy, Adenoidectomy
3. 사시
4. 전염병
5. 피부질환
6. 독극물 중독
2. Tonsillectomy, Adenoidectomy
3. 사시
4. 전염병
5. 피부질환
6. 독극물 중독
본문내용
트레스, 유분기가 있는 화장품, 피임약
- 항생제, 적외선 치료
- 여드름을 짜지 마라, 향이 없고 자극성 없는 비누로 깨끗하게 씻기, 모자 사용 금기,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 건강한 생활(영양, 휴식, 스트레스 최소화)
2. 아토피성 피부염
- 원인 모름
- 음식 조절,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 가려움증에 대한 간호: 비누사용 피한다, 처방한 약물 사용, 손톱 깎기, 장갑 사용, 옷은 면 사용, 적외선 노출
3. 요충(pinworms)
- 장에 기생충 서식, 항문에 나와서 알을 깜, 심하게 가렵다.
- 학령기에서 주로 보임
- cellophane-tape test: 2-3번 반복 검사, 아동의 활동이 없는 새벽에 검사
- 약물: Poven-대변이 붉게 변함, 씹어먹으면 치아에 착색되므로 씹지 말아야 한다.
- 간호: 가족이 같이 치료받는다, 손 씻기, 개인위생, 팬티는 타이트하게 입힌다, 매일 속옷을 갈아 입힌다, 긁지 않도록 장갑 사용
4. 이(lice)
- 원인: pediculus humanus
- 직접 접촉에 의해서 옮는다.(contact isolation)
- kwell shampoo(5세 이상), NIX, RID
- 뜨거운 물에 옷을 세탁한다, 될 수 있으면 너무 긴 머리는 자른다, 참빗 사용, 개인 물건 사용
독극물 중독
1. 정의: 영양이 없는 물질(납, 휘발유, 아스피린 등)을 먹어서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고 중독되는 것
2. 호기심 많은 유아기(1-4세)에서 많이 일어남
3. 의식이 없는 아이, 쇼크에 빠진 아이, 휘발유를 먹은 아이는 구토 금기
4. 아스피린: 2grains/kg 먹으면 중독, 호흡기 중추 자극, 구토, 과환기, 혼돈, 혼수, 땀, 탈수 일으킴, 구토를 유도하기 위해 ipecac시럽을 준다.
5. 타이레놀: 처음 24시간동안 오심, 구토 있다, 치료 안하고 1주일이상가면 간세포 괴사, 간부전 일으킴, 구토 유도하거나 위세척한다, 해독제(Mucomyst)를 사용-냄새가 심하므로 과일 쥬스나 콜라와 함께 먹인다, 수액요법, 고칼로리, 고단백식이
6. 부식성(암모니아): 입 속에 화상, 부종, 연하곤란, 통증, 강산일 때는 구토와 위세척 금기, charcoal제공, 1분 이내로 적은 양의 물로 희석, 호흡부전이 심하면 기관지절개, 금식한다면 수액 요법
7. 휘발유(가솔린): 흡인되어 페렴이 되기 쉽다, 목과 입에서 타는 느낌, 오심과 구토, 기면, 열, 구토는 금기, 산소공급, 수액요법
8. 납: 신장, 신경, 혈액에 문제 일으킴, 급성(빈혈,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변비), 만성(과활동, 기면, 발달 지연, 간질, 혼수, 단백뇨, 신부전), 위험 환경(오래된 집, 쓰레기 매립지, 납 공장) 주의, Chelating agents(EDTA, BAL) 사용
9. 간호: 적절하다면 구토 유발시킨다, 아동이 구토한 물질을 가지고 병원으로 가지고 간다,활력증상, 신체 관찰, 산소공급, seizure 예방, 정확하게 I/O check, 전해질 균형, 처방된 진통제 투여, 적절한 놀이 제공, 부모교육
- 항생제, 적외선 치료
- 여드름을 짜지 마라, 향이 없고 자극성 없는 비누로 깨끗하게 씻기, 모자 사용 금기,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 건강한 생활(영양, 휴식, 스트레스 최소화)
2. 아토피성 피부염
- 원인 모름
- 음식 조절,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 가려움증에 대한 간호: 비누사용 피한다, 처방한 약물 사용, 손톱 깎기, 장갑 사용, 옷은 면 사용, 적외선 노출
3. 요충(pinworms)
- 장에 기생충 서식, 항문에 나와서 알을 깜, 심하게 가렵다.
- 학령기에서 주로 보임
- cellophane-tape test: 2-3번 반복 검사, 아동의 활동이 없는 새벽에 검사
- 약물: Poven-대변이 붉게 변함, 씹어먹으면 치아에 착색되므로 씹지 말아야 한다.
- 간호: 가족이 같이 치료받는다, 손 씻기, 개인위생, 팬티는 타이트하게 입힌다, 매일 속옷을 갈아 입힌다, 긁지 않도록 장갑 사용
4. 이(lice)
- 원인: pediculus humanus
- 직접 접촉에 의해서 옮는다.(contact isolation)
- kwell shampoo(5세 이상), NIX, RID
- 뜨거운 물에 옷을 세탁한다, 될 수 있으면 너무 긴 머리는 자른다, 참빗 사용, 개인 물건 사용
독극물 중독
1. 정의: 영양이 없는 물질(납, 휘발유, 아스피린 등)을 먹어서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고 중독되는 것
2. 호기심 많은 유아기(1-4세)에서 많이 일어남
3. 의식이 없는 아이, 쇼크에 빠진 아이, 휘발유를 먹은 아이는 구토 금기
4. 아스피린: 2grains/kg 먹으면 중독, 호흡기 중추 자극, 구토, 과환기, 혼돈, 혼수, 땀, 탈수 일으킴, 구토를 유도하기 위해 ipecac시럽을 준다.
5. 타이레놀: 처음 24시간동안 오심, 구토 있다, 치료 안하고 1주일이상가면 간세포 괴사, 간부전 일으킴, 구토 유도하거나 위세척한다, 해독제(Mucomyst)를 사용-냄새가 심하므로 과일 쥬스나 콜라와 함께 먹인다, 수액요법, 고칼로리, 고단백식이
6. 부식성(암모니아): 입 속에 화상, 부종, 연하곤란, 통증, 강산일 때는 구토와 위세척 금기, charcoal제공, 1분 이내로 적은 양의 물로 희석, 호흡부전이 심하면 기관지절개, 금식한다면 수액 요법
7. 휘발유(가솔린): 흡인되어 페렴이 되기 쉽다, 목과 입에서 타는 느낌, 오심과 구토, 기면, 열, 구토는 금기, 산소공급, 수액요법
8. 납: 신장, 신경, 혈액에 문제 일으킴, 급성(빈혈,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변비), 만성(과활동, 기면, 발달 지연, 간질, 혼수, 단백뇨, 신부전), 위험 환경(오래된 집, 쓰레기 매립지, 납 공장) 주의, Chelating agents(EDTA, BAL) 사용
9. 간호: 적절하다면 구토 유발시킨다, 아동이 구토한 물질을 가지고 병원으로 가지고 간다,활력증상, 신체 관찰, 산소공급, seizure 예방, 정확하게 I/O check, 전해질 균형, 처방된 진통제 투여, 적절한 놀이 제공, 부모교육
추천자료
식품의 위생적 관리
기업의 위기관리 Communication에 관한 연구 ; 위기 유형별 성공과 실패 사례를 중심으로...
[법철학] 안락사에 관한 논쟁
저체중아 출산
식품의 안전성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특징과 치료
식품 위생과 병원성 미생물
유아응급처치교육
청소년복지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자살
식품 약물 오남용 안전사고 예방교육
유아 유해 환경과 안전을 위한 환경 조성
주방의 식품위생관리
아동안전관리, 식품·약물오남용안전·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 정책
장기간 의식장애가 있는 환자의 가족은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들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