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왕정시대(1000∼800 B.C.)
b. 과두정시대(800∼550 B.C.)
c. 참주정 시대(660∼500 B.C.)
d. 민주정 시대(500 B.C. 이후)
b. 과두정시대(800∼550 B.C.)
c. 참주정 시대(660∼500 B.C.)
d. 민주정 시대(500 B.C. 이후)
본문내용
30세 이상의 남자 자유민
ⓒ 운영방법: 한달에 50명씩 교대로 집무
ⓓ 권한: 행정권, 입법권, 사법권 소유
③ 민회 개편: 권한을 확대
④ 군사위원회 설치
ⓐ 선출방식: 1부족당 1명을 선출
ⓑ 구성인원: 10명
ⓒ 임기: 1년
ⓓ 역할: 군사업무 담당
⑤ Ostrcism
ⓐ 실시목적: 참주정 출현 방지
ⓑ 내용: 참주가 될 가능성이 있는 자를 아테네 시민이 1년에 1번 투표하여, 6000표
이상을 득표한 자를 10년동안 해외로 추방
ⓒ 폐단이 많았다
⑵ Pericles 改革
- 민주정 완성
① 민회 권한을 확대: 법률 인준 제정권 - 입법기관
② 군사위원회 변질: 중임가능
ⓐ 내각과 같은 위치로 상승
ⓑ 500인회 권한을 이양 받음
ⓒ 배심원제: 공정한 심판을 위해
ⓓ 공직자 수당제와 추첨제: 시민을 정치에 참여시키기 위해
ⓔ Heliaia(민중재판소) 설치: 다수결 판정
※ 아테네 민주정의 특징
1. 직접민주주의
2. 참정권을 제한: 18세 이상 남자 자유인
3. 직업관료가 없어 추첨에 의해 관리를 선출
4. 공직자에 대한 보수가 없었음
* 즉, 아테네 민주정은 Cleithenes가 기초를 마련하고 Persia 전쟁후더욱 더 발전하였으며
Pericles대에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스파르타
1. 특색
⑴ 귀족적인 軍國政治(Lykurgos 입법)
⑵ 이원정치
① 5부족에서 왕을 선출
② 왕권 미약
2. 기구
⑴ Ephors(감독관)
① 임기: 1년, 중임가능
② 구성원: 5명
③ 최고권력 소유자
⑵ Gerusia(원로원)
① 구성원: 왕을 포함해 60세 이상의 30명 귀족
② 권한
ⓐ 행정권 감독
ⓑ 법령 초안 작성
ⓒ 최고재판소
⑶ Apella(민회): 형식상 최고 결정기관
3. 사회신분
⑴ Spartiatai(시민)
① Dorians으로 전체인구의 5%
② 농업활동
③ 정치군사 특권 향유
④ 가정적인 면, 인간다운 면이 없는 계층
ⓐ 전시민의 전사화
ⓑ 생활의 병영화
⑵ Pelioikoi(半자유민)
① 정복당시 자발적으로 예속당한 후손, 동맹군의 후손, 외국인
② 상업활동
③ 참정권은 없으나, 군역, 공납의무가 있다
④ 가장 인간답고 안락한 계층
⑶ Helot(or Heilotai:노예)
① 피정복민으로 전인구의 50%
② 토지경작
4. 고립된 쇄국정책
⑴ 외국인의 出入國을 강하게 통제
⑵ 외국문물 수입을 금지
⑶ 시민 재산의 매매, 양도, 저당을 금지
⑷ 귀금속, 화폐 사용을 금지
ⓒ 운영방법: 한달에 50명씩 교대로 집무
ⓓ 권한: 행정권, 입법권, 사법권 소유
③ 민회 개편: 권한을 확대
④ 군사위원회 설치
ⓐ 선출방식: 1부족당 1명을 선출
ⓑ 구성인원: 10명
ⓒ 임기: 1년
ⓓ 역할: 군사업무 담당
⑤ Ostrcism
ⓐ 실시목적: 참주정 출현 방지
ⓑ 내용: 참주가 될 가능성이 있는 자를 아테네 시민이 1년에 1번 투표하여, 6000표
이상을 득표한 자를 10년동안 해외로 추방
ⓒ 폐단이 많았다
⑵ Pericles 改革
- 민주정 완성
① 민회 권한을 확대: 법률 인준 제정권 - 입법기관
② 군사위원회 변질: 중임가능
ⓐ 내각과 같은 위치로 상승
ⓑ 500인회 권한을 이양 받음
ⓒ 배심원제: 공정한 심판을 위해
ⓓ 공직자 수당제와 추첨제: 시민을 정치에 참여시키기 위해
ⓔ Heliaia(민중재판소) 설치: 다수결 판정
※ 아테네 민주정의 특징
1. 직접민주주의
2. 참정권을 제한: 18세 이상 남자 자유인
3. 직업관료가 없어 추첨에 의해 관리를 선출
4. 공직자에 대한 보수가 없었음
* 즉, 아테네 민주정은 Cleithenes가 기초를 마련하고 Persia 전쟁후더욱 더 발전하였으며
Pericles대에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스파르타
1. 특색
⑴ 귀족적인 軍國政治(Lykurgos 입법)
⑵ 이원정치
① 5부족에서 왕을 선출
② 왕권 미약
2. 기구
⑴ Ephors(감독관)
① 임기: 1년, 중임가능
② 구성원: 5명
③ 최고권력 소유자
⑵ Gerusia(원로원)
① 구성원: 왕을 포함해 60세 이상의 30명 귀족
② 권한
ⓐ 행정권 감독
ⓑ 법령 초안 작성
ⓒ 최고재판소
⑶ Apella(민회): 형식상 최고 결정기관
3. 사회신분
⑴ Spartiatai(시민)
① Dorians으로 전체인구의 5%
② 농업활동
③ 정치군사 특권 향유
④ 가정적인 면, 인간다운 면이 없는 계층
ⓐ 전시민의 전사화
ⓑ 생활의 병영화
⑵ Pelioikoi(半자유민)
① 정복당시 자발적으로 예속당한 후손, 동맹군의 후손, 외국인
② 상업활동
③ 참정권은 없으나, 군역, 공납의무가 있다
④ 가장 인간답고 안락한 계층
⑶ Helot(or Heilotai:노예)
① 피정복민으로 전인구의 50%
② 토지경작
4. 고립된 쇄국정책
⑴ 외국인의 出入國을 강하게 통제
⑵ 외국문물 수입을 금지
⑶ 시민 재산의 매매, 양도, 저당을 금지
⑷ 귀금속, 화폐 사용을 금지
추천자료
한국의 발전 모델, 위기와 탈출의 정치경제학
박정희 - 경제발전과 정치, 사회의 변혁과 그에 대한 비판적 평가
[사회복지]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제도와 경제 및 정치적 전환의 관계, 사회보장법, 사회...
한국 정치 발전을 위한 과제
[교원단체][교원단체 정치활동]교원단체의 의의, 교원단체의 중요성, 교원단체의 역할, 교원...
한국형 사회협약 정치의 발전 방향에 대한 고찰
[정치외교A+] 한국 정당의 체계,구조,특징 및 한국정당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관광] 국제회의 유치에 따른 파급효과(정치, 사회, 관광, 문화적 측면),한국 국제회의 산업...
정치학의 발전사 개요
중국 정당제도 특징, 정치 구조, 중요 징조, 국력, 건설, 다당 합작, 현대화, 변천, 문제점, ...
세계화 특징, 정의,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정치, 경제, 문화의 세계화, 세계화 발전의 ...
룩셈부르크의 경제발전, 정치적 지리적 여건, 경제성장 과정, 시사점, 경제적 효과, 역할, 방...
[생산양식][생산][양식][생산양식 정의]생산양식의 정의, 생산양식의 역사, 생산양식의 구분,...
[비교발전행정론] 나이지리아 분석보고서 [국가 개요 경제 지표 정치 사회 동향 경제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