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효과이론 : 문화계발효과이론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화계발효과이론의 대두 배경
1. 유럽에서의 연구 동향과 그 입장
2. 미국학자들의 입장과 그 연구동향
3. 문화계발에 대한 연구의 시작

Ⅱ. 문화계발효과이론의 기본가정과 그 이론적 배경
1. Gerbner의 문화계발효과이론의 제창 이유
2. `문화계발`의 개념과 그 이론적 배경
3. 문화계발효과이론의 구체적 기본가정들

Ⅲ. 문화계발효과이론에 대한 실증적 연구
1. `문화지표연구`의 방법에 대한 개관

Ⅳ. 문화계발효과이론에 대한 비판과 평가

본문내용

∼430.
3) 계발효과분석과 그 분석결과의 실례
이제 위에서 살펴본 계발효과분석에 따른 결과를 실례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전 인구 중 경찰인력의 비율'에 관한 설문의 경우를 예로 들면, 내용분석 결과에서는 이 설문에 대해 텔레비전의 응답이 10%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 미국의 경찰인력은 전체 인구의 1%에 불과했다. 즉 텔레비전에서는 전 인구 중 경찰인력의 비율을 10% 정도라고 과장해서 제시했다는 뜻이다. 이런 차이를 'cultivation differential' 이라고 하는데, 이런 차이는 텔레비전에서 현실을 과장해서 제시했기 때문이다.
한편, 면접조사에서 나타난 이 설문에 대한 시청자들의 응답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시청자들의 속성에 관계없이 중시청자들이 경시청자들에 비해 텔레비전 응답인 10%에 일치되는 답을 한 경우가 더 컸다. 따라서 Gerbner 등은 텔레비전은 현실세계에 대한 시청자들의 지각이나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들을 '문화지표연구'라고 부르며, 이 연구를 통해 Gerbner 등은 계발효과이론의 가정을 입증했고, 그 타당성을 주장했다.
2. 계발효과에 대한 문화지표연구들의 결과
Gerbner 등은 자신들의 문화계발효과이론을 입증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들을 했다. 처음의 연구가 앞에서 살펴본 텔레비전 폭력물들에 관한 것이고, 이후 계속해서 그 결과들을 'Violence Profiles' 시리즈로 발표하였다. 더 나아가 텔레비전이 어린이들의 직업관에 미치는 효과, 성적(性的)역할과 소수집단에 대한 관념에 미치는 효과, 교육적 성취와 기대에 미치는 효과, 가정의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성과 성교육에 미치는 효과, 죽음에 대한 관념에 미치는 효과, 노인들의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들에게 미치는 계발효과 등을 연구했다. 대체로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텔레비전의 계발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렇게 되자, 다른 연구자들도 이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게 되었고, 많은 경우 계발효과가 발견되어 Gerbner의 이론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또한 적지 않은 연구들에서는 텔레비전에서의 문화계발효과가 발견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해 Gerbner 등은 연구의 가정들과 검증방법을 여러 가지로 수정·보완하여 종래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그 예로, 'mainstream'과 'resonance' 등을 들 수 있다.
차배근 앞의 책, p.432∼434.
Ⅳ. 문화계발효과이론에 대한 비판과 평가
1. 문화계발효과이론에 대한 비판
이 이론에 대한 비판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Gerbner의 문화지표연구들을 거의 그대로 다시 반복 연구하였으나, 문화계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거나 심지어는 상반된 결과까지 나왔다는 비판이다. 둘째는 문화지표연구의 방법론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는 비판들이다. 여기서는 첫 번째 유형의 비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먼저 Doob과 McDonald의 연구를 살펴보면, 이들은 텔레비전 중시청자들이 그들 지역사회 내에서 폭력을 당할 두려움을 더 느끼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 따르면, 그 두려움의 원인은 시청자들 주위에서 실제로 발생되는 폭력적 범죄의 양에 의한 것이지, 반드시 텔레비전 시청 때문이 아니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텔레비전 시청량과 폭력에 대한 두려움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못한 이들은 텔레비전 시청만이 현실에 대한 개인들의 관념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인이라고는 볼 수 없다며 Gerbner의 문화계발효과이론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Michael Hughes도 Gerbner의 한 연구를 거의 그대로 반복하여 재검증했으나, 같은 결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는 문화계발효과이론에 몇 가지 비판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1) Gerbner 등이 내용분석을 통해 내세운 텔레비전 응답이라는 것은 객관성이 부족하며, (2) 그들의 연구에서 시청자들의 사회적 속성들만을 고려에 넣고, 시청자들의 성격과 기존의 태도 등은 무시했다는 것, (3) 텔레비전이 미국 사회에서 그 문화를 계발시키는 핵심적 에이젠시라는 가정의 계발효과이론은 문화를 너무 단순하게 파악하고 있으며, (4) 더구나 중시청자와 경시청자간의 관념상의 차이만 내세워서 문화계발효과이론을 주장하는 것은 대단한 무리가 있다고 비판한 것이다.
차배근 앞의 책, p.435∼436.
한편 Adoni, Cohen 과 Mane도 문화계발효과이론에 대해 비판하였다. 자신들의 연구에 다르면 청소년들도 '현실세계에서의 사회현실'과 '텔레비전 속의 상징적 사회현실'을 서로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텔레비전이 현실에 대한 시청자들의 지각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문화계발효과이론이 지나치게 과장된 것이라는 비판을 하였다.
2. 문화계발효과이론에 대한 평가
문화계발이론은 위와 같이 여러 학자들에 위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문화계발효과이론에 관계되어 행해진 그간의 84편에 달하는 연구들을 재검토해 보면, 대부분의 연구에서 텔레비전의 시청량과 시청장르의 신념간에는 서로 관련성이 있다는 증거들이 나타났다.
Hawkins와 Pingree에 의하면 "텔레비전의 시청이 그 시청자들에게 사회현실에 대한 관념구조를 어떤 특정한 양태로 형성시켜주고 있다"는 문화계발효과이론의 기본가정에는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다고 하였다. 그들은 덧붙여 몇 가지 문제점도 제시하였는데, 텔레비전 내용에 담긴 함축적 의미에 대한 주관적 의미부여, 텔레비전 시청정도와 현실에 대한 시청자들의 관념을 측정하는 방법의 단순성, 그리고 수용자 중심이 아닌 텔레비전 중심의 입장 등에 의한 오류를 범하고 있어서 그 과학적 설명이 결여되었다고 지적하였다.
이상 살펴본 Gerbner의 문화계발효과이론은 이제까지 지나치게 매스미디어의 효과를 과소평가했던 종래의 효과이론들에 대한 재검토를 촉구했다는 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이 사실이지만 아직은 정립단계에 있는 이론이다.
차배근 앞의 책, p.438.
Ⅴ. 참고문헌
이강수, "현대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차배근,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4.05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