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가건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민가라 부른다. 전라남도 다도해의 도서와 남서 해안 및 영산강 연안 지방에 분포한다. 과거에는 지금보다도 넓게 전남의 남서부에 분포되었으나 점차 부엌의 위치가 몸채의 한쪽 끝으로 옮겨지고 있는 경향이다.
평면은 4칸형이 대부분이며, 3칸형은 매우 드물다. 몸채의 평면은 마루 큰방 정지 모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루 : 전남의 방언으로 '말래' 또는 '마리'라 한다. 마루의 위치는 4칸집에서는 좌측 끝에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들은 흔히 마루라면 판자를 깐 방을 생각하나 판자가 보급되기 전에는 흙을 돋아서 만든 방의 경우에도 그 기능에 의해서 '마리'라 불렸다.
정지 : 정지는 큰방과 모방 사이에 위치하며, 두 방의 아궁이가 정지에 있기 때문에 불지피기에 편리하다. 조왕신을 모시기 위해 큰방쪽 벽의 중간에 받침대를 만들고 그 위에 정화수를 떠 놓은 사발이나 종지를 놓아 둔다.
큰방 : 큰방은 정지와 마루의 중간에 있는 방이다. 가족 중에서 가장 연로한 부부가 큰방을 사용한다. 즉 조부모가 생존해 있으면 생활 능력이 없더라도 큰방을 차지한다. 또한 조부나 조모 중 어느 한 편만 생존해도 계속해서 큰방을 사용하고, 조부모가 모두 사망했을 경우에만 다음 세대의 부부가 큰방으로 이전할 수 있다.
모방 : 아이들의 공부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2) 곡가형 민가
곡가형(曲家型) 민가는 ㄴ자형이 기본형이며, 여기에 부속 건물이 부가되어 ㄷ 口 「」자형을 형성한다. 곡가형은 멸악 산맥 이남의 황해도 남부와 경기도, 강원도의 서변부, 차령 산맥 이북의 충청남 북도 지방에 분포한다. 「」자형은 강화도에 많다.
안방 대청 건넌방으로 배열된 직가의 좌측에는 앞쪽으로 부엌이 돌출하여 ㄱ자형을 형성한다. 중국에서도 양쯔강 하류의 양단에 위치하는 장쑤성과 저장성에 경기지방의 ㄱ자형 구조와 같은 민가가 많이 분포되어 있다. 또 대청, 대문 등의 용어는 중국식 표현이다. 원래 한반도의 서부와 남부에는 홑집의 직가형 민가가 분포되어 있었으나, 중국의 양쯔강 하류 지역으로부터 곡가형의 민가가 서울에 전파되어 그것이 경기 지방으로 확산되어 현재와 같이 홑집 곡가형을 남과 북으로 분리시키는 결과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ㄴ자형에는 건물의 맞은편을 담으로 둘러싼 폐쇄형과 담이 없는 개방형이 있다. 전자는 도시에 많고 후자는 농촌에서만 볼 수 있다. ㄷ자형과 口자형도 서울을 비롯한 도시에 많고 농촌에서는 중농 이상의 농가에 많은 형태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5.05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8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