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자연적 인간관'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자의 자연적 인간관'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논

Ⅱ. 인간의 구성요소와 본성
1. 인간의 구성요소
1) 형
2) 심
(1) 성심
(2) 상심
3) 성
2. 인간의 본성(덕)
1) 도와 덕의 관계
2) 형·심·성과 덕의 관계
3) 유가의 도덕관념에 대한 비판

Ⅲ. 인간본성의 미혹과 회복
1. 인간본성의 미혹요인
1) 심의 좌치
2) 위형
2. 인간본성의 회복방법
1) 심재
2) 좌망
3) 현해

Ⅳ. 장자의 자연적 인간관

본문내용

환원시키는데 반하여 坐忘은 一氣로 환원된 心齊로써 忘我, 忘物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心齊란 物我兩忘의 단계 이전에 필연적으로 있어야 할 과정이라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物我兩忘이란 도의 관점에서 만물을 볼 때 만물이 齊一하다는 것과 그 인식에 따른 만물의 개체성으로서의 독립된 영역을 인정하려는 의도임을 짐작할 수 있다. 천지만물에는 각자의 고유한 性이 있고 이 性의 특수성을 장자는 인정하는데, 그 個物들은 그 자체로 완전하므로 거기에는 서로를 비교하여 愚劣이나 美醜, 또는 善惡같은 가치 판단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는 것이 바로 萬物齊同이요, 齊物論인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장자는 '天地與我竝生, 萬物與我爲一'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나 이는 오직 心齊와 坐忘을 통해서 이루어진 결과이고 따라서 迷惑된 본성도 이를 통해서 자연히 회복될 수 있는 것이다.
3) 懸解
마침 태어난 것은 未子가 태어날 때가 되어서 그런 것뿐이고 마침 죽은 것은 떠나가야 할 운명에 따른 것이다. 때에 편안하고 운명에 따라서 처하면 슬픔과 가쁘이 들어오지 못한다. 옛날 사람이 이를 帝의 懸解라고 했다.「養生主」
대저 얻는 것은 時이요, 잃은 것은 順이다. 때에 편안하고 운명에 따라서 處하면 哀樂이 들어오지 못한다. 이를 옛날에 일러 懸解라고 했다 「大宗師」
懸解라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풀려나는 것이니 이는 곧 속박으로부터의 해방이다. 즉, 장자가 인생의 속박요인으로 보았던 仁義禮樂이나 心의 坐馳, 또는 감각적인 욕구로써 形體만 爲하는 것(爲形)으로부터 해방을 말한다. 이 懸解란 대상에 대한 편견이나 집착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物에는 제 각기의 고유성이 있다. 이 고유성은 道에 근거하며 이로써 萬物齊同의 여지가 마련된다. 사람들은 外物에 현혹되어 인간의 본성을 스스로 얽어매어 자신을 부자연스럽게 만든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벗어나오는 것이 바로 懸解이다. 따라서 이 懸解는 바로 無의 自由로 인식되어질 수 잇다. 이 無의 自由는 개체의 절대자유로써 이를 통해 장자의 자연적 인간관을 엿볼 수 있게 된다.
장자의 기본적 입장은 만물의 동질성에 따르는 차별성, 즉 만물이 다같이 얻었다는 점에서 德(得也)과 또는 德을 인식하고 난 다음에 만물에 각각 儀則이 있다는 점에서 개체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萬物齊同이란 도가 個物에 내재화 되어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의미가 있고 모든 物은 그 자체로서 절대로 평등하다는 것이 둘째의 의미이다. 따라서 인간만이 우월하고 위대한 존재라는 명제는 장자에게 있어서는 성립이 불가능한 것이다. 왜냐하면 도를 제시하고 난 다음에 모든 물이 존재한다는 그 사실만으로 다같이 평등하며 다같이 존중되어야 마땅하기 때문이다.
Ⅳ. 장자의 자연적 인간관
장자철학의 목적은 萬物齊同이라는 기본적인 명제에서의 '天地與牙竝生' 과 '天物與我爲一'로 표현되어지는 自由와 逍遙에 있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만물제동에 대한 이해방식이다. 이를 자구에 국한되어 해석하게 되면 장자의 진의를 파악하지 못한다. 다시말해 萬物齊同이란 명제를 만물이 각자가 지니고 있는 특별한 性狀을 무시한 채 단순히 萬物이 하나이다 라는 뜻으로 오해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현상계에서의 모든 물이 하나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모든 物은 제각기의 형태와 성질이 있게 마련이고 이로서 物과 物을 구분짓게 되는데 장자는 역시 이를 '物際'라고 하였다. 이처럼 물과 물 사이에는 분명히 구별이 있는데 장자는 왜 萬物이 齊同하다는 주장을 하게 되었는가? 이에 대한 해명이 곧 장자의 자연적 인간관을 말해 주는 것이 될 것이다.
먼저 만물제동의 의미를 살펴보자
첫째, 存在者의 존재근거로서의 도가 個物에 내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萬物齊同이다. 이 때 내재화된 道는 바로 德이다. 이 德은 모든 物이 공히 지니고 있으므로 遍在性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齊物論編에서 도는 통하여 하나가 된다 라는 말이 비록 상대적인 가치판단의 절대화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말이기도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도의 만물내재로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둘재 天地編에 '形體保身, 各有儀則謂之性'이라는 말이 있다. 즉, 個物이 個物로서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을 性이라고 하는데 이는 德보다 구체적이어서 이 性으로써 物과 物의 차이점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어떠한 物이라도 그 物의 특징을 나타내주는 것으로서의 性을 지니지 않는 것이 없다, 이러한 점에서 또한 萬物齊同이다. 다시말해 모든 물은 다른 물과 차이가 있고 따라서 物은 그 자체로 완전하여 自然이라는 점에서 같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是非니 善惡이니 하는 상대적인 개념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 個物은 그 차체로 완전한 것이다. 이때의 性은 특수성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특수성의 인식은 반드시 遍在性의 이해로부터 도출된다.
인간도 만물 가운데의 일부이므로 나름대로의 개별성을 지니고 있고 이 개별성 그 어느 것에 의해서도 제한이나 규정을 받지 않는다. 그런데 物의 관점에서 보면 스스로를 귀하다고 하고 상대방을 천하다고 하므로 이것은 物의 自然을 속박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로써 보면 장자의 입장에서 自然的 人間觀이라 비록 인간이 유한한 존재라고 하더라도 인간이라는 개별성은 절대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인간을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그 개별성이 바로 특수성으로 이해 될 수 있는 이른바 性이며 이 性으로써 우리는 다른 사물과 인간을 구별할 수 있다. 장자에 있어서는 인간은 다른 存在者들보다 뛰어난 존재가 결코 아니다. 따라서 자연적 인간이란 이와 같이 道을 전제하여 도의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볼대 物과 我의 동질성을 인식하여 그 안에서 절대적 자유를 누리는 인간을 말하며 그 인간관 역시 萬物齊同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문헌 ------------------------------------------------------
(석사학위논문)
1. 장자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최유신, 동국대학교, 1998
2. 장자의 자연적 인간관에 관한 연구, 이용수, 연세대학교, 1987
(국내학술잡지)
3. 장자의 이상적 인간론, 이강수, 중앙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1980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5.14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01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