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의 시 재고찰 - 그의 동시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재고찰의 동기 및 목적
2. 선행 연구의 고찰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본론 - 정지용 시의 구현 양상과 특징
1. 정지용 동시의 구현 양상
가. 유년의 순수성
나. 당대의 시대적 현실
다. 당대의 풍속
2. 정지용 동시의 율격적 특징
가. 2음보의 율격 양상
나. 3음보의 율격 양상
다. 3음보와 4음보의 혼합형
3. 정지용 동시의 시어적 특징
가. 향토어의 사용
나. 반복어구의 사용

Ⅲ. 결론

본문내용

논문, 75면.
정지용의 동시 23편 전편에서 반복어구가 사용되었다. 단어나 문장 단위의 반복은 동시의 내용을 강조하면서 리듬감을 살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정형률을 갖지 않는 11편의 동시에 반복어구가 사용됨으로써 내재율을 갖도록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지용의 동시 중에서 의성·의태어의 음성 상징을 사용함으로써 동시의 감각적 이미지를 더욱 더 실감있게 드러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바람>, <종달새>, <三月 삼질날>, <해바라기 씨>, <산앳색시 들녁사내>, <홍시>, <내 맘에 맞는 이> 등에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지용의 동시는 반복어구의 사용과 의성·의태어의 음성 상징을 사용함으로써 시에 리듬감을 갖도록 하며, 동심의 세계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Ⅲ. 결 론
정지용은 최초의 모더니스트로 주목받았는데,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논자들에 의해 주로 모더니즘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 대상이 되어왔다. 그동안 정지용의『정지용시집』제3부의 시에 대하여 동요·민요풍이라 지칭되었으나, 이원적 개념으로 분리되던 동요와 동시를 모두 어린이를 위한 시 개념으로서의‘동시’에 포괄하면서 동요를 그 하위 개념으로 하고, 민요풍의 시 또한 정형동시의 하위 갈래의 전승 동요시로 동시에 포함되므로 모두 살펴보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정지용시집』제3부의 <고향>을 제외한 22편과 시집에 수록되지 않은 <노니약이 구절>의 1편을 포함하여 23편의 시가 동시임을 규정·분석하여 보았다.
본문에서 정지용 동시의 구현 양상을 내용유형에 따라 셋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유년의 순수성을 나타내는 11편의 동시 <별똥>, <지는 해>, <띄>, <병>, <딸레>, <산에서 온 새>, <할아버지>, <산넘어 저쪽>, <무서운 시계>, <산소>, <바람>에서는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미지에 대한 동경과 아쉬움을 통해 어린 시절의 순수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당대의 시대적 현실을 드러내는 4편의 동시 <노니약이 구절>, <말>, <汽車>, <종달새>에서는 당대의 현실을 고향과 어머니의 상실로 표현하고, 당대의 풍속을 나타내는 8편의 동시 <三月 삼질날>, <해바라기 씨>, <산엣 색씨 들녁 사내>, <홍시>, <무어래요>, <숨ㅅ기내기>, <내 맘에 맞는 이>, <비듦이>에서는 우리 민족이 예부터 행해오던 세시 풍속과 놀이, 가족과 동물 등을 소재로 하여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하겠다.
내용 구현 양상의 분석을 토대로 정지용 동시에 나타나는 특징을 율격적 특징과 시어적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율격적 특징으로는, 2음보 3음보 3?4음보의 혼합 등의 정형률을 갖는 12편의 동시와 정형률을 갖지 않는 11편의 동시는 반복어구의 사용으로 리듬감이 갖는 내재율이 있다. 이러한 리듬감은 아동의 순수하고 어린이다운 면과 역동성을 느끼게 하면서 구송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시어적 특징으로는 고향에 대한 애틋한 정서를 표출하기 위한 소재로 전통적으로 전래되는 풍속, 전설, 민담 등을 선택하였고, 또한 가족들을 등장시켜 향토적 정감을 더욱 천진스럽고 정겹게 표출시켰다. 짙은 토속적 이미지로 고향의 아름다움을 구축함으로써 한국의 전통적인 숨결을 느끼게 한다. 또한 전편의 시에서 단어나 문장단위의 반복과 의성·의태어의 반복은 동시의 내용을 강조하면서 리듬감을 살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고에서는 정지용 동시의 구현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지용의 동시를 동요·민요풍의 시이기보다는 명백한 동시로 분류가 가능하다.
정지용의 시가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에 6차 교육 과정에서는 총 6편
<말>, <유리창1>, <고향>, <향수>, <비>, <바다1>.
7차 교육 과정에서는 총 9편
<호수>, <유리창 1>, <고향>, <향수>, <장수산>, <비>, <카페·프란츠>, <그대들 돌아오시니>, <바다9>.
이 실려 있다. 김소월의 <엄마야 누나야>, 박두진의 <해>, 김영랑의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과 같은 시인들의 동시는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 나타나는 데 반해 정지용의 작품은 중학교 3학년 교과서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이정현, 「정지용 시 텍스트 교수·학습 방법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4-15면.
이는 정지용의 동시들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본다. 이에 정지용의 동시가 갖는 교육적 함의를 연구하여 초등 교육에까지 활용할 수 있어야겠다.
참 고 문 헌
1. 자료
김학동 편, 『정지용 전집 1, 시』, 민음사, 1988.
김학동 편, 『정지용 전집 2, 산문』, 민음사, 1988.
정지용, 『정지용시집』, 시문학사, 1935,
정지용, 『산문』, 동지사, 1949.
2. 단행본
김학동, 『정지용연구』, 민음사, 1997.
박민수, 『아동문학의 시학』, 양서원, 1993.
성기옥, 『한국시가율격의 이론』, 새문사, 1986.
양왕용, 『정지용시연구』, 삼지원, 1988.
이상섭, 『문학비평 용어사전』, 민음사,2001.
임동권, 『한국 세시풍속연구 』, 집문당, 1993.
허창운 편저, 『현대문학의 이해』, 창작과비평사, 1989.
욜란디 야코비(이태동 역), 『칼 융의 심리학』, 성문각, 1978.
하이데거(소광희 역), 『詩와 哲學』, 박영사, 1978,
3. 논문
권정우, 정지용 동시 연구, 김신정 편, 『정지용 문학 세계 연구』, 깊은샘, 2001.
김훈, 정지용 시의 분석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0.
김휘정, 정지용 시의 고향 상실 연구,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1998.
이승복, 정지용 운율체계연구, 홍익대 박사학위논문, 1993.
이정현, 정지용 시 텍스트 교수?학습 방법 연구, 부산외국어대 석사학위논문, 2003.
이종록, 정지용 시 연구, 충남대 석사학위논문, 1983.
유종호, 현대시의 오십년, 사상계, 1962.
장화원, 정지용 시의 전통지향성 연구,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1997.
정의홍, 정지용 시의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1992
4. 인터넷 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검색, '이태준', '정지용' http://100.naver.com/?frm=nt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4.05.21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17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