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관노가면극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릉 관노가면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연희의 기원
등장인물
연희과장
음악 구성

3. 결론

본문내용

3. 결론
지금까지 강릉 관노가면극을 주로 민속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관노가면극은 희극적 성격이 강하다. 양반과장은 타 가면극과 달리 신랄한 풍자나 항거의식의 표출보다는 해학성과 희극성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소매각시의 죽음의식과 정조간의 대칭을 통해 그것을 뛰어넘는 희극성으로 갈등을 해결하고 있다. 장자마리의 기능은 연희개막의 행위무, 풍농기구의 기원무의 성격을 지니며 시시딱딱이는 벽사기능을 지닌 인물로 예방주술적 가면을 쓰고 나오므로 방상씨계열이라 할 수 있으며 신적 의미로는 여역신을 상징한다.
이상을 종합하여 관노가면극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자면, 첫째, 서낭(城隍)계통의 제의연희(祭儀演戱)로서 가면극의 토착성을 시사한다. 둘째, 한국가면극중에서 유일한 묵극(默劇)으로 춤과 동작이 몸짓 언어로 이루어진다. 셋째, 관노들이 중심이 되어 관민(官民)이 일체가 된 연희이다. 넷째, 양반광대를 통한 해학성의 발로로 풍자개념이 약화되고 화해와 지역의 안녕을 추구하였다. 다섯째, 소매각시의 규범적 행위를 통하여 도덕성과 정조의식을 발현하였다. 여섯째, 장자마리와 시시딱딱이의 상징을 통하여 벽사진경(僻邪進慶)의 의미와 풍요기원을 구현하였다. 일곱째, 민간전승으로 지역성을 살렸으며 춤사위와 음악의 토속성을 강조하였다.
관노가면극은 소박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서낭굿계 탈놀음의 모습을 보여주는 관노가면극은 축제마당에서 인격화된 신과 인간들이 하나가 되는 체험을 주는 것이다.
※참고
·張正龍, 「江陵官奴假面劇硏究」, 集文當, 1989.
·강릉관노가면극홈페이지 http://www.kwanno.or.kr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5.26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