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 론
1. 작품 속에 나타난 작가의식
2. 구운몽의 사상
- 삶의 두 지향과 그 통합적 의미
3. 유형과 구조
4. 구운몽의 한계점
Ⅱ. 본 론
1. 작품 속에 나타난 작가의식
2. 구운몽의 사상
- 삶의 두 지향과 그 통합적 의미
3. 유형과 구조
4. 구운몽의 한계점
본문내용
부정한 양소유의 견해에서는 양반 사대부들이 내세우는 부귀공명이란 허망하고 부질없는 것이라는 비판적인 태도가 반영되어 있기는 하나 거기에는 또한 불교의 허무적인 '무상론'이 뒷받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소설<구운몽>은 불교의 금욕주의를 비판하면서도 주인공들이 인생의 말년에 가서는 인간생활을 '일장춘몽'으로 보면서 다시금 '극락세계'로 되돌아가게 함으로써 불교의 허황성에 대한 비판에서 불철저성을 발로시키고 있다. 작가는 양소유와 팔선녀 후신들과의 사랑을 그 어떤 고루한 도덕규범에 얽매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사랑으로 그리고 있으나 그것을 계속 의롭고 건전한 사랑관계에로 전개시켜 나가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양반들의 축첩제도를 그대로 따르며 봉건귀족들의 향락적인 생활을 이상화하는 방향으로 끌고 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