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과 특성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사상적 기반

Ⅱ. <구운몽>에 나타난 사상

Ⅲ. 내재된 사상의 화합

Ⅳ. 구운몽 사상의 특성

본문내용

만물은 ‘모두 도에서 나서 도로 돌아간다.’는 도교의 원리를<구운몽>속에 담아보려고 노력하였다는 점이다.
양소유는 삼교(三敎)에 대해 논하기를
천하에 유도, 선도, 불도가 특히 높으니 이 이른바 삼교라. 유도는 살아 있을 때의 사업이
니 죽고 나면 이름만 남을 뿐이요, 신선은 예로부터 구하여 얻은 자가 드무니 진시황과 황
무제와 현종 황제를 겨우 볼 것이라. 내 벼슬을 버리고 물러난 후부터 밤에 잠이 들면 항
상 포단 위에서 참선하는 것이 보이니 이 분명 불가와 인연이 있는지라. 위의 책, p.228
하여 양소유는 삼교사상(三敎思想)을 두루 체험하면서 제(諸) 사상의 화합을 꾀하였으며 결국 불교에 의해 득도하고자 했다.
이처럼 <구운몽>은 불교(佛敎), 유교(儒敎), 도교(道敎)사상을 고루 갖추고 있다. 천(天), 지(地), 인(人)의 리(理)를 밝히는 유교의 원리, 천지만물(天地萬物)은 모두 도(道)에서 나서 도(道)로 돌아간다는 도교의 원리 ‘개아(個我)가 모든 사물(事物)의 본성(本性)을 알 때, 득도(得道)에 이르게 된다.’는 불교(佛敎)의 원리가 <구운몽>속에 나타나있다.
한편,<구운몽>사상은 불계의 육관대사와 도교계의 위부인 그리고 성진과 팔선녀를 통하여 불교와 도교를 인문계 윤회를 통하여 유교를 화합함으로써 삼교화합사상(三敎和合思想)을 이룬다. 박지경, 앞의 논문,
Ⅳ. 구운몽 사상의 특성
<구운몽> 사상의 특성은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자연배경을 사상배경으로 충분히 이용하였다.
대부분의 고대소설이 구체적은 배경묘사를 하지 못한 채 서두 부분에 바로 주인공을 등장시키거나 위치를 알리는 정도의 배경묘사로 그치는 반면 <구운몽>은 자연배경을 사상배경으로 묘사하고 있어 상당히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것을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구운몽> 배경은 <구운몽>의 사상의 근원과는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조웅전(趙雄傳)」의 경우,
송문제(文帝) 즉위 이십 삼년이라. 조희웅(1978), 「조웅전」, 형설출판사, p.11.
하여 인물과 시대만을 언급하고 있으며,
「유충렬전(劉忠烈傳」)의 경우를 보면,
각설이라 대명국 영종황제 즉위 초에 황실이 미약하고 법령이
불행한 중에 남만 북적(北狄)과 서역(西域)이 강성하여 모반할
뜻을 둠에… 서대석(1977), 「유충렬전」, 형설출판사, p.9.
라고 하여 역시 조웅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물과 시대언급이 되면서 사건 구성으로 들어가고 있다.
그러나 <구운몽>은 처음부터 상당히 구체적인 묘사가 되고 있으니,
천하에 이름난 산이 다섯 있으니, 동쪽의 태산, 서쪽의 화산, 가운데의 숭산, 북쪽의
항산, 남쪽의 형산이 그것이니 이를 일컬어 오악이라 한다. 오악 중에는 형산이 세상
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데, 그 남쪽에 구의산이 있고 북쪽에 동정호가 있으며
상강이 삼면을 두르고 있다. 형산의 일흔두 봉우리 가운데 오직 다섯 봉우리가 가장
높으니 축융봉, 자개봉, 천주봉, 석름봉, 연화봉이 그것이다. 항상 구름 속에 묻혀있어
청명한 날이 아니면 이곳을 볼 수가 없었다. 태조께서 홍수를 다스리고 나서 형산에
올라 비석을 세워 공덕을 기록하였는데, 하늘 글의 구름 전자가 완연히 남아 없어지지
않았다. 김만중, 앞의 책, pp.9~10
고 하여 <구운몽>의 배경은 불교와 도교의 사상 근원지로서 선정하고 있으며, 팔선녀의 눈을 통하여서는 인간과 자연의 교감을 꾀하고 있으니,
여덞명이 다리 위에 앉아 물을 굽어보니 여러 골짜기의 물이 다리 밑에 모여 넓은 못을
이루었는데 그 맑음이 마치 광릉(廣陵) 거울의 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의 보배인 거울을 새로 닦은 듯하였다.
푸른 눈썹과 붉은 단장이 물속에 떨어져 한 폭의 미인도 같았다. 김만중, 앞의 책, p.13
둘째, 꿈과 현실이라는 이중구성을 하여 사상을 화합하였다는 점이다.
현실의 세계는 불교와 도교가 존재하던 곳이고, 꿈의 세계는 인간계 선교사회인 것이다. 서포는 꿈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시켜 더욱 관심을 갖게 하고 작품상 현실의 세계 즉, 작자나 독자에게는 가상의 세계나 다름없는 천상계를 사실적인 수법을 써서 불교와 도교가 화합하도록 하였다.
불교와 도교, 유교 삼교가 화합함으로써 꿈과 현실의 세계는 승화하여 하나의 세계 즉,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게 된 것이다.
셋째, <구운몽> 사상은 현실적인 성격과 내세적인 성격의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성진이 불가의 계율을 파괴하는 술을 마시고, 팔선녀와 희롱하고 인간의 부귀영화와 권세를 생각한 죄로 인하여 육관대사가 성진에게 윤회의 고통을 주고자 하자 성진이 울면서 용서해 주기를 간청하지만, 끝내 육관대사는
“마음이 깨끗하지 못하면 비록 산중에 있어도 도를 이루기 어렵고, 근본을
잊지 아니하면 속세에 있어도 돌아올 길이 있는지라. 네 만일 오고자 하면
내 손수 데려올 것이니 의심 말고 행할지어다.” 위의 책, pp.18~19
라고 하여 인간계에 내려가는 윤회의 고통을 주고 여러 가지 현실적인 인간의 삶을 통하여 제자 성진이 도의 근본을 깨닫기를 대사는 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간계의 권세와 부귀영화에 만족하지 않고 <구운몽> 사상은 내세를 바라게 되니,
성진과 여덟 비구니가 동시에 깨달아 불생불멸하는 도를 얻으니 대사가 성진의
戒行이 높고 순수하고 원숙한 것을 보고 대중을 모아놓고 말하되,
“내 원래 전도를 위해 중국에 들어왔는데 이제 맑은 법을 전할 곳이 있으니
나는 돌아가노라.” 위의 책, p.233
고 하여 <구운몽> 사상은 가장 현실적인 성격과 내세적인 성격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넷째, <구운몽>은 평범한 인간적인 차원의 해피엔딩으로 끝맺지 않고, 사상 승화의 세계로 이끌어 갔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고대소설이 인간적인 삶의 행복을 추구하는 해피엔딩식의 결말인데 비해 <구운몽>은 인간세계의 올바른 삶을 통하여 참 진리를 찾고 유, 불, 도 삼교사상을 화합하여 내세를 바라며 극락에 이르고자 승화하는, <구운몽>만이 갖는 차원 높은 작품세계를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현명철(1983), 구운몽의 사상적 연구, 숭전대학교대학원, pp.63~70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3.1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