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부외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호흡기계 ★
1. Thorax(흉곽)
2. Rib(늑골)
3. Diaphragm(횡격막)
4. 흉부근
5. Mediastinum(종격)
6. Lung(폐)
7. Trachea(기관)
8. Bronchus(기관지)
9. bronchiole(세기관지)
10. 폐포관, 폐포

★ 호흡생리 ★
1. 숨쉬기(work of breath)
2. 폐용적
3. 압력차 ★

★ 흉부외상 ★
1. 흉부진탕
2. 흉부 압상
3. 흉부 좌상

4. 늑골과 흉골의 골절 ★★
1) 원인
2) 병리와 종류
3) 증상과 진단
4) 치료
5. 늑골골절의 합병증
1) 무기폐
2) 기흉
3) 긴장성 기흉
4) 유동흉벽
6. 혈흉

본문내용

방법임과 동시에 치료법이 된다.
◐ 환자의 거담능력이 부족할 때 특히 무기폐가 발생하였을 때는 기관내 흡인이 필요한 때 가 많다. 기관내 흡인 조작은 그 자체가 기침발작을 유발시키는 방법이 되어서 가래침 배설이 잘 될 수도 있다. 환자는 좌위를 취하고 suction tip을 경비적으로 삽입하고 혀는 가제로 싸잡고 밖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쉽게 기관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굴곡된 catheter를 이용하면 좌우 기관지에 선택적으로 진입시킬 수도 있다. 목적한 깊이까지 진입시킨 다음 흡인력을 작용시켜 흡인하면서 밖으로 서서히 뽑아낸다. 이러한 조작을 몇번씩 반복하면 잘 흡인할 수가 있다.
2) 기흉
늑골골절의 골절편이 예리하고 내부로 돌출하면 폐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의 폐손상은 보통 심하지 않으며 약간의 기흉을 만들 뿐이다. 피하기종은 반드시 폐손상을 의미 하지만 이때 기흉은 발생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폐손상 이외의 기관지계, 식도, 흉벽의 손상도 기흉의 원인이 된다. 때로는 늑골골절이 없는 폐쇄성 흉부외상에서도 기흉이 발생할 수가 있다. 늑골골절에서 발생하는 기흉은 기흉 단독으로 발생하기 보다는 혈흉을 겸하는 혈기흉인 경우가 많다. 기흉은 타진에서 고음이고 청진에서 호흡음이 감소 혹은 소실하는 것으로 알 수 있지만 X-ray 흉부사진에서 가장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3) 긴장성 기흉
◐ 늑골골절로서 발생하는 폐손상으로도 긴장성 기흉이 야기할 수는 있지만 실지에 있어서 는 발생이 드물다. 폐가 손상당할 때 만들어진 조직편이 판막작용의 역할이 성립하면 폐 에서 유출하는 공기가 흉막강내로 유출하지만 호기시에는 유출한 공기가 탈출할 수가 없 게 된다. 이리하여 흉막강내 공기는 계속 증가하여 결국 흉막강 내압이 상승하고 폐를 허탈시키고 종격동 이동까지 야기시켜서 반대측 폐까지 압박하는 결과가 되어서 심한 호 흡곤란을 초래하고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질식상태로 발전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X-ray 촬영이 늦어지고 진단이 늦어지던가 응급치료가 늦어지면 질식사를 초래할 수도 있다.
◐ 진단은 X-ray 흉부사진으로 용이하다. 청진과 타진으로 본 증이 의심스러울 때 흉막강 에 큰 주사침을 찌르면 상당한 압력으로 공기가 유출하는 것으로도 진단할 수 있다. 주 사침 삽입부는 환자가 반좌위면 쇄골중앙선의 제 2늑간이고 누웠을 때는 전액와선의 제 3∼5늑간이다.
◐ 치료
최소한의 기흉은 안정만으로도 공기가 흡수되어 치유한다. 그러나 혈흉을 합병하였을 때 는 폐쇄성 흉강삽관술이 적응된다. 수상 후 처음 X-ray 흉부사진에는 늑골골절과 기흉 이 있었으나 24∼48시간 경과하는 도중에 혈흉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특히 다발 성 늑골골절에 있어서는 2∼3일간은 매일 흉부촬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기흉이 중등 도 혹은 그 이상일 때는 처음부터 흉강삽관술을 실시하는 것이 안전하다.
4) 유동흉벽
다발성 중복골절 시에는 흉벽의 고정성이 상실되어서 비고정흉벽 유동흉벽의 상태가 된다. 이들 중에서도 1부터 3까지의 발생빈도가 많고 역행성운동도 더욱 심하다.
(1) 흉부측방의 다발성 중복골절(lateral type)
(2) 양측성 흉골평행성 다발성 늑골골절(anterior type)
(3) 여러개 늑골의 2중 혹은 3중골절
(4) 양측성 배측부 다발성 늑골골절(posterior type)
(5) 흉골골절을 합병한 다발성 늑골골절
위와 같은 늑골골절에서는 비고정성 흉벽의 유동성 흉벽부분이 호흡운동과는 반대되는 역행성 운동이 나타나서 심한 호흡기능장애가 발생한다.
흉벽의 유동부분은 흡시기는 흉강 내부로 함몰하여 폐를 압박하고 호기시는 반대로 흉벽이 외부로 융기하여 폐를 팽창시키는 역행성 운동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흡기시에는 외상측 폐내공기가 반대측 폐내로 진입하므로 그만큼 외부공기의 흡입이 감소한다. 그리고 호기시에는 건강측 폐내공기가 외부로 유출할 때 일부는 외상측 폐내로도 유입하게 되므로 매호흡때마다 외상측폐와 건강측 폐 사이를 왕래하는 공기 때문에 외기와의 환기가 불충분하여지므로 결과적으로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이상과 같은 호흡환기장애로 말미암아 이론적으로는 건강측 폐의 폐포 농도가 상승하고 폐포 농도는 감소하게 되므로 심한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6. 혈흉
외상성 혈흉은 늑골골절, 폐쇄성 흉부외상에서도 발생하지만 흉벽 관통상에서는 가장 많은 합병증이며 혈기흉인 경우가 절대로 많다. 출혈은 흉벽의 혈관손상 또는 흉내장기의 손상, 혈관손상에서 발생한다.
  • 가격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6.1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9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