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밀더 - 사회극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서밀더 - 사회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서밀러 - 사회극

머릿말

본문 1. 극의 배경
2.아서밀러의 희극론
3.아서밀러의 작품읠 통한 구체적 통찰
1) 세일즈맨의 죽음
2) All my son
3) The crucible

맺음말

본문내용

없다.
3) The Crucible
Miller는 자신의 출세작 All my sons와 대표작으로 꼽히는 death of a Salesman에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그릇된 가치관의 결과로 죽음을 맞는 common man의 비극을 극화하고 있다. 비평가들의 많은 주목을 받아왔고, 또 꾸준히 논란의 대상이 되는 The Crucible 에서도 The Killers에서처럼 주인공이 죽음을 담담히 받아들이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는 점에서는 모두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이 극은 개인적인 차원에서보다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항거하는 개인의 나약함을 대비시킴으로써 개인의 존엄성을 위협하는 사회의 무서운 힘을 비판하려는 작자의 의도를 엿볼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작품의 시대적 배경이 미국 청교도 시대인 17세기 말이고, 내용도 종교적인 마녀재판에 관한 것이지만, 이 극의 토지나 권력에 얽힌 인간들의 탐욕과 갈등, 원한, 복수, 남녀간의 애정과 시기심 등 시대를 초월한 인간 공통의 주제들이 생생하게 나타나 있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공감을 받으면서 공연되고 있다. 이는 한정된 시간성을 뛰어넘는 보편적인 인간 악을 주제로 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은 곧 Miller가 말한 대로 연극은 "The art of the present tense par excellence"
) Miller, Collected Plays. p 11
임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The Crucible 의 내용은 1692년 Salem 마을에 실제로 있었던 마녀 재판을 다루고 있다. 이 마을의 소녀들이 흑인 하녀인 Tituba와 함께 어른들 몰래 청교도 사회에서 절대로 금지된 놀이를 숲 속에서 즐긴다. 이들 놀이패 중 Parris 목사의 딸 Betty가 정신을 읽고 눕게 되자 마을 사람들은 소녀들이 마술에 결렸다는 추측을 하게 된다. 마을 사람들 가운데 마녀가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자 소녀들은 자신들이 금지된 놀이를 한 것에 대한 질책이 두려워 마을의 무고한 사람들, 평소에 따돌림 받던 사람들, 자신들에게 원망스럽던 사람들을 마녀로 몰기 시작한다. 마녀재판이 열리자 고발의 힘이 더욱 강해지고 사건의 진실을 밝히려는 몇몇 의로운 사람들의 노력은 무위로 끝나며, 결국 20여명의 마을 사람들이 마녀로 몰려 사형을 당하게
된다.
이들 교수형을 당하는 사람들 가운데에는 이 마을에서 가장 신앙심이 깊고 성스러웠던 청교도 Rebecca Nurse 와 영향력이 있는 성실한 농부인 John Proctor까지 끼게 된다. John Proctor는 평범한 농부로서 Abigail과의 간음 사건과 자기 부인과의 삼각 관계가 자신을 파멸로 몰아 넣는다는 것을 밝히려고 하므로 어떤 면에서는 단순한 치정극처럼 보이나 이 극의 특수한 구성과 빠른 진행, 집단 최면과 같은 마을 사람들의 정죄, 마녀들에 대한 사회의 횡포 등을 통하여 개인의 존엄성, 악과 선의 투쟁, 정의와 부정의 투쟁이라는 새로운 메시지를 전달해주고 있다. Miller는 과거 미국의 청교도들이 Massachusetts의 Salem에서 인디언들에게 행했던 똑같은 일을 현재 미국인들이 미국 사회에서 행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그는 한 개인이나 소수 문명집단이 다른 문명집단, 또는 더 큰 사회의 횡포에 의해 억압당하는 실질적인 예로 17세기의 청교도 사회를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 Miller. Collected Plays. vol. 1, pp 225-229의 내용
아서 밀러의 사회극. 허 종. 한국학술정보. 2001. p 115 발췌함
맺음말
Miller의 작품을 살펴보면서 저마다 독특한 개성과 액션과 의도가 있어 서로 별개의 작품이긴 하지만 그 주제 면에 있어서는 다 똑같은 주제의 변형들이라 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작품은 기본적인 전제가 바로 사회란 인간형을 만드는 기계이며 현대인이 걸치고 다니는 거짓 얼굴과 그릇된 가치들을 공급하는 신화와 편견들을 조달하는 기관이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개인은 거의 선택의 여지가 없으며 그는 Joe Keller나 Willy Loman처럼 순응하다가 파멸되거나 아니면 John Proctor나 Eddie Carbone처럼 순응하기를 거부하다 파멸되거나 하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 작품 속에는 인간에 대한 일종의 막연한 믿음 같은 것, 다시 말하면 종국적으로는 개인이 그 통일된 인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는 짐작 같은 것이 내재해 있기 때문에 이들 작품은 위와 같은 해석에도 불구하고 결코 비관적이라고만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 김우택. 영미희곡개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3. p 263
이상을 요약하면 Arthur Miller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묘사함으로써 미국의 문명과 사회를 비판하고 있다 하겠다. 물론 심리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묘사가 지나치게 두드러진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인간이 자신과 가족의 한계를 넘어 사회 속의
존재로서 그 사회에 대한 죄와 책임을 통해 자신의 이름 다시 말하자면 정체
(identity)를 추구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사회는 그 자체의 여러 가치와 편
견으로 옳은 것이건 그릇된 것이건 간에 소속된 인간들의 정체를 형성하고 개인은 그것을 자기 것으로 받아들이느냐 거부하느냐 하는 선택만 하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 어느 쪽을 택하여도 인간은 파멸을 면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자신이 선택한 정체를 끝까지 추구하여 마침내는 개인의 승리와 긍정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비록 그의 후기 작품들이 전기 작품들에 비해 별로 두드러진 것이 못된다 하더라도 위에 소개한 작품만으로도 제 2차 대전후의 미국의 주도적인 극작가의 하나로 군림하기에 충분하다 하겠다.
참고문헌 1) 김우택. "영미희극개론"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1983.
2) 허 종. "아서 밀러의 사회극" 한국학술정보. 2001
3) 예영수. "영미희곡사상사" 형설출판사, 1985
4) 이형식. "현대 미국 희곡론" 신아사, 1995
5) 하해성/한국 드라마 학회 "영미희곡과 극예술" 푸른사상, 2000
6) 김우탁 외 공저. "영미극작가론" 문학세계사.1987. 307-327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8.02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3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