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문해 학습에 있어서 큰책접근법의 효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논문개요

I.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 목적 및 문제

II. 이론적 배경
A. 유아의 문해 학습
1. 문해 학습의 관점
2. 성인-유아간의 이야기 책 읽기
B. 큰책 접근법
1. 배경
2. 의의
3. 큰책의 특성
4. 원리 및 전략
C. 큰책 접근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III. 연구 방법
A. 연구 대상
B. 측정 도구
C. 연구 절차
D. 자료 분석

IV. 연구 결과 및 해석
A. 유아의 읽기 능력
B. 유아의 쓰기 능력
C. 유아의 책 내용 이해 능력
D. 유아의 이야기 개작 능력

V. 논의 및 결론
A. 요약 및 논의
B.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책접근법」을 경험한 유아들을 관찰한 결과, 유아들이 자신을 지은이라고 생각하고 이에 대한 만족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신이 꾸민 이야기 책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읽어 보는 모습을 자주 발견하였다. 특히 유아들은 '숫자풀이', '이서방' 등의 전래동요로 리듬, 운율 또는 내용을 바꾸어 보는 활동에 많은 흥미를 보였다.
한편 유아가 구성한 이야기가 질적으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야기에 사용된 문장 수와 어절 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은 평균 18.78 문장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한 반면에「큰책접근법」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 유아들은 평균 10.94 문장을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가 구성한 이야기에 사용된 어절 수를 비교해 본 결과,「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이 사용한 어절 수는 평균 83.67인 반면「큰책접근법」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 유아들은 평균 51.67개의 어절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즉,「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집단 유아들이 더 많은 어절을 사용하여 더 긴 문장의 이야기를 구성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큰책접근법」이 유아의 이야기 개작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B. 결론 및 제언
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읽기 능력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유아들은 책을 읽을 수 있는 유아들이 많았으며, 경험하지 않은 유아들에 비해 읽기 발달 단계가 향상되었다. 또한 단어 해독 능력도 향상되었다.
둘째,「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쓰기 능력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유아들은 경험하지 않은 유아들에 비해 쓰기 수준이 높은 범주인 문장 쓰기 단계에 있는 유아들이 많은 반면 쓰기 단계가 낮은 범주인 글자 형태가 나타나는 단계 이하의 유아들은 적었다. 즉,「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유아들은 쓰기 발달 단계가 향상되었다.
셋째,「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책 이해 능력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유아들은 경험하지 않은 유아들 보다 책 내용 이해 능력이 더 향상되었다.
넷째,「큰책접근법」은 유아의 이야기 개작 능력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큰책접근법」을 경험한 유아들은 경험하지 않은 유아들 보다 이야기 개작 능력이 우수하였을 뿐만아니라 더 긴 문장으로 이야기를 구성하였으며, 또한 더 많은 어절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따라서「큰책접근법」은 유아의 문해 학습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큰책접근법」을 사용하여 문학 경험의 즐거움 뿐만아니라 더 의미있고 즐거운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문해 학습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유아기 문해 학습의 한 방법으로「큰책접근법」의 적용은 바람직한 일로 생각된다.
둘째,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 유아교육현장에서는 교사-유아간 함께 책 읽기를 어려운 과제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유아 학급에「큰책접근법」을 적용함으로써 도서 영역에서 교사-유아간의 일대일로 상호작용하면서 함께 책을 읽는 경험의 잇점 뿐만아니라 집단의 여러 또래들과의 책 읽기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들과 함께 책 읽는 시간을 유치원 일과 활동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아들에게는 교사가 이야기 책을 읽는 동안 읽혀 지고 있는 인쇄물을 보면서 글자-소리 관계, 인쇄물의 방향과 관례, 책 다루는 태도등을 보면서 능동적으로 이야기 듣기에 참여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넷째, 유아는 교사와 함께 읽은 이야기 책이나 들은 이야기 경험을 독립적으로 읽어 보는 기회를 가질 필요가 있다. 유아 학급에서 교사와 함께 읽은 책이나 들은 이야기 책을 도서영역에 제시하여 유아가 혼자 독립적으로 또는 또래와 함께 읽어 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다섯째, 우리나라 유아교육과정에서의 문해 학습은 유아로 하여금 글자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데 있으며 문해 학습 방법의 일환으로 이야기 책을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문해를 학습하는 방법을 지향한다. 따라서 유아기 문해 학습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이에 따른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큰책접근법」의 효과를 문해 학습 측면에 제한하여 분석하였다.「큰책접근법」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시하는 문학 경험이 주는 심미적인 측면과 함께 문해 학습에 가치를 부여하는 교수 방법이다. 따라서「큰책접근법」이 문해 학습 뿐만아니라 심미적인 측면에도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는 후속 연구가 요망된다.
둘째, 본 연구는 문해 능력이 비교적 상위 수준에 있는 유아들과 가정에서 의 문해 학습 경험이 있는 4, 5세 유아들이 많이 참여하였다. 그러나「큰책접근법」이 읽기, 쓰기 수준이 낮아 읽기, 쓰기에 어려움을 가진 유아들에게 더 효과적이라는 선행 연구를 참고로 가정에서의 문해 학습 경험이 없거나 문해에 어려움을 느끼는 유아들을 대상으로한 연구가 요망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큰책접근법」의 선정 기준에 적합한 책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큰책 선정 기준에 적합하면서도 교육과정의 주제와 관련되는 책을 사용한다면 통합교육과정 측면에서 다양한 확장활동이 격려될 뿐 만 아니라 문해 학습에 더 기여할 것이다.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요망된다.
넷째, 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큰책을, 개별 유아를 대상으로 작은책을 사용하여 같은 접근 방법을 적용한 후에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즉,「큰책접근법」의 효과가 집단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지의 검증이 요구된다.
다섯째,「큰책접근법」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교사 변인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 변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교사의 학력, 경력 및 교수 방법을 통제하였다. 그러나 연구 설계상 교사의 내적인 변인은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연구가 요망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04.09.14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0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