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변강쇠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줄거리
* <변강쇠가>의 요소분석을 통한 줄거리 체계

2. 내용의 구성

3. 구조

4. 중심인물

5. 판소리로서의 전승

6. 변강쇠가의 기원과 형성을 보는 여러 관점

7. 특성
* 심청가 [沈淸歌]
1. 줄거리
2. 구조
3. 중심인물
4. 근원설화
5. 심청의 효행에 대한 의의

본문내용

주할 것을 약속한다.
사. 심청은 공양미를 마련하기 위해 인당수 제물로 팔린다.
아. 심청은 옥황상제 명을 받고 꽃봉으로 환생하여 황후가 된 뒤 황제께 맹인 잔치 배설을
제의한다.
자. 딸을 잃은 심봉사는 탄식하던 중 뺑덕어미를 만나 살다가 함께 맹인 잔치에 참여하러 길을
떠난다.
차. 가는 도중 뺑덕어미는 황봉사와 달아난다.
카. 심봉사는 목욕 도중 도적을 맞고 신관의 도움을 받는다.
파. 잔치에서 딸을 만나고 심봉사는 눈을 뜬다.
하. 포상과 후일담
위와 같은 14개의 사설 단위가 후대본에 이르러 더늠을 중심으로 한 확대 과정을 거치면 서 사설도 더욱 유자하고 세련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더늠의 내용
* 더늠
판소리의 유파나 가풍에 따라 계승되어 오는 특징적인 대목이나 음악적 스타일을 일컫는 것으로 '더 넣다'에서 온 말인 것으로 추정된다. 어떤 명창이 부른 판소리의 측정한 대목이 만인에게 공감을 주고 격찬을 받게 되면 그 대목은 '아아아 더늠'이라고 말하게 되고 후배명창들에 의해 계승된다. 송홍록의 '귀곡성', 이날치의 적벽가 중 '새타령' 임방울의 춘향전 중 '쑥대머리' 등이 유명한 더늠이다.
삯바느질- 김채만 심청 탄생 대목- 김제철 곽씨부인 출상- 백근용
젖동냥하며 심청기르는 대목- 주상환 심청의 동냥 자청- 최승학
중타령- 정창업 부녀이별- 이창윤, 김창록 범피중류- 전도성
심청이 용궁에서 꽃봉타고 환생하는 대목- 전해종 화초사설- 김창룡
위의 14대 사설 단위와 더늠들은 현존 창본에서 대부분 수용하여 불리워지고 있다. 사설 의 수용 양상은 한애순 창본에서는 초기본의 간결한 모습을, 정권진 창본에서는 새로운 사 건의 삽입과 구체적인 사설 내용을, 김연수 창본에서는 더욱 확대, 부연되었음을 알 수 있 게 되었다.
5. 심청의 효행에 대한 의의
<심청가> 이해하기
이 작품의 주제는 유교의 근본 사상인 효에 있다. 심청가에서는 유교적 이념을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에 접맥시키고 있다. 이러한 효행 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은 사람의 몸을 제물로 바치는 이른바 인신공희(人身供犧) 설화를 보탬으로써 효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그만큼 이 작품에서는 비장미(悲壯美)가 잘 구현되어 나타나고 있다.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하면서까지 아버지의 행복을 좇는 심청이의 아름답고도 슬픈 모습이 생생히 표현되었다.
또, 주목할 것은 표현의 사실성(事實性)이다. 인물의 행동과 심리가 매우 현실감 있게 묘사되고, 사건의 발전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런 점에서 리얼리즘의 표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심청전의 행동을 중심으로 보면, 우선 이 작품의 주제는 '효(孝)'이다. 이 효는 유교적 덕목만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 심성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자기 목숨을 저버리는 것이 정말 효인가라는 반문도 제기할 수 있다. 자식의 희생으로 눈을 뜬다는 것이 심봉사로서는 더 큰 아픔이자 슬픔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심청이 인당수에 빠지고 난 뒤 심봉사가 뺑덕어미와 벌이는 행동은 도덕적 덕목과는 거리가 먼 비속한 세태를 반영한 것이다. 그런가 하면 심청은 물에 빠졌다가 거듭나기 때문에 그 제의적(祭儀的) 의미 역시 중요하게 해석되기도 한다. 이처럼 이 작품의 주제는 논란거리인 만큼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고, 그 현대적 의미도 거듭 평가되고 있다.
효행설화와 인신공희 설화는 부모를 위하여 자신의 귀중한 것 - 목숨이나 자식 -을 바치는 것이 효행의 본보기로서 고대로부터 민간에 널리 전해졌으며, 이러한 효의 실천이 선행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효는 불교의 자기 희생적 효와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유교적인 효의 관점에서는 죽음을 통한 희생적인 효는 이효상효(以孝傷孝)가 된다. 도교적 효의 수용에서는 심청이 자신을 희생하여 선행을 이루고자 했으므로 하늘의 도움을 받는 질서다. 그러므로 심청의 죽음이 작품의 결말일 수 없었고, 황후가 되어 결말에 이르는 구조를 갖는다.
심청의 효에 대한 설화적, 불교적, 도교적, 유교적 관점의 효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설화적 관점에서 나타난 효는 자기희생, 자식희생, 아내희생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효로써 효의 절대성을 강조한 효이다. 이러한 효는 고대로부터 민간에 본보기로 전해지면서 사람들의 효관에 영향을 끼쳤으며 심청이 또한 살신성효를 실천한다.
둘째, 불교적 관점의 효는 신앙의 차원에서 효가 이행하여야 극락왕생할 수 있다고 하여 극락왕생의 구비조건에 해당하므로 신앙자로서 효의 이행은 절대적이다. 그러므로 불교를 신앙하는 심청은 효를 위한 죽음으로 부친에 대한 기원이 이루어질 것을 확신하며 죽음을 결정한다. 불교적 관점에서도 심청의 효는 살신성효에 해당한다.
셋째, 유교적 관점의 효에서 심청이 죽음으로 효를 이행하면 신체 훼손의 불효와 시봉하지 못하는 불효를 범하게 된다. 그러나 불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 죽음이므로 부친의 행복에 대한 기원이 이루어질 것으로 믿기 때문에 큰 효- 부친개안, 아들 낳아 조상향화-를 위한 작은효- 신체훼손- 의 희생이라고 판단하고 죽음을 택한다.
넷째, 도교적 관점에서는 직접적으로 효의 방범에 대안 언급은 없으나 근원적으로 효의 이행이 선행이므로 하늘의 도움받는 질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질서로 인하여 효를 행한 심청을 다시 재생시키는 구조를 도교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다. 즉 자기희생적 효행을 보상하는 도교적 질서가 심청을 효녀로 만들었던 것이 아니라 효를 행한 심청에게 행복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 효관에서 알 수 있듯이 심청의 효행은 어느 하나의 사상에 의해 설명될 수 없으며 고대로부터 전승되어 온 설화적 효 사상에 불교, 유교, 도교의 사상이 유입되어 배경 사상이 된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목 차
1. 줄거리
* <변강쇠가>의 요소분석을 통한 줄거리 체계
2. 내용의 구성
3. 구조
4. 중심인물
5. 판소리로서의 전승
6. 변강쇠가의 기원과 형성을 보는 여러 관점
7. 특성
* 심청가 [沈淸歌]
1. 줄거리
2. 구조
3. 중심인물
4. 근원설화
5. 심청의 효행에 대한 의의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0.06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6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