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파의 동도서기론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화파의 동도서기론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저자소개
2.동도서기론의 기존연구 동향
3.동도서기론의 개념
4.신기선의 동도서기론
(1)신기선
(2)신기선과 개화파
(3)신기선의 동도서기론
5.개화파와 동도서기론
(1)개화파 분화
1)개화파 분화에 대한 명명
2)시무개화파와 변법개화파

Ⅲ.결론-동도서기론의 논리적 구조

본문내용

이 권오영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 연구」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신기선을 통하여 동도서기론을 살펴봄으로서 스승의 임헌회의 오기다과론, 즉 인간의 오기에 많고 적음의 차이가 있어 이를 기준으로 성범의 구별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을 뛰어넘은 신기선만의 동도서기론을 형성시켜나갔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또한 「동도서기론의 구조와 그 전개」에서는 신기선의 도기론을 통해 동도서기론의 논리적 구조를 살폈다. 이에 따르면 신기선은 영원히 바뀌지 않는 도와 시대에 따라 변하는 기의 조화를 동양의 도와 서양의 기와의 관계 속에서 설명하였다. 이 논리의 연원은 도와 기는 한 사회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요소이므로 비록 서법 또는 서기를 수용한다고 하더라도 그 것이 곧 동도를 서교나 서도로 대체함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이 두 가지는 병행하더라도 결코 모순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신기선을 비롯한 동도서기론자들은 도와 기를 어떠한 범위까지 이해하느냐 혹은 수용할 서기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이해하느냐가 중요한 문제였을 뿐 전통도덕이라는 동도를 우선시하는 것은 기본적 입장이었다.
그러나 동도서기론 자체의 오류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동도로 일컬어지는 동양의 도덕과 서기로 일컬어지는 서양의 문물제도가 한 사회 속에서 상호 영향 없이 분리되어 공존할 수는 없다. 설령 공존이 된다 하더라도 그땐 이미 동도와 서기의 성격을 구분하기 어려워져 동도서기라는 명칭을 붙이기도 애매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 논문은 전체적으로 동도서기론의 진행과정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할 수 있다. 동도서기론 자체에 대한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다른 논문의 참고가 불가피했다. 또한 동도서기론이라는 개념이 자체적으로 치밀한 논리구조를 가지고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이 계속 떠나지 않았다. 그 구조는 중국의 중체서용론과 별로 다를 바가 없었고, 동도와 서기의 개념 또한 그들 역시 명확히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앞서 얘기한 바와 같이 동도서기론의 구체적인 구조와 사상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5.참고문헌
-동도서기론 연구반, 「동도서기론의 연구동향과 과제」,2003.
-권오영, 「동도서기론의 구조와 그 전개」,한국사 시민강좌 7, 일조각, 1990.
-권오영,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연구」,청계사학 1, 1984.
- 申箕善의 東道西器論 硏究(『淸溪史學』1, 韓國精神文化硏究院 淸溪史學會, 1984년 6월 30일)
- 金平默의 斥邪論과 聯名儒疏(『韓國學報』55, 1989년 6월 10일)
-崔漢綺의 政治觀(『韓國學報』59, 1990년 6월 5일)
- 東道西器論의 構造와 그 展開(『韓國史市民講座』7, 一潮閣, 1990년 8월 20일)
1881년의 嶺南萬人疏(『尹炳奭敎授 華甲紀念 韓國近代史論叢』, 1990년 12월 5일)
-崔漢綺의 西歐制度에 대한 認識(『韓國學報』62, 1991년 3월 15일)
-崔漢綺의 氣說과 宇宙觀(『韓國學報』65, 1991년 12월 15일)
-1870년대 李恒老學派의 斥邪論(『白山朴成壽敎授華甲紀念論叢 韓國獨立運動史의 認識』, 1991년 12월 10일)
-崔漢綺의 師友와 그 家門의 來歷(『韓國學報』68, 1992년 9월 5일)
-兪莘煥의 經學觀과 性理學思想(『淸溪史學』10, 1993년 12월 31일)
-惠岡 崔漢綺의 學問과 思想 硏究(韓國精神文化硏究院 附設 韓國學大學院 歷史學科 博士學位論文, 1994년 8월)
-崔漢綺의 學問觀과 氣學의 性格(『韓國學報』77, 1994년 12월 10일)
-惠岡 崔漢綺의 科學思想(『國史館論叢』63, 國史編纂委員會, 1995년 9월 30일)
-1881년의 京畿斥邪論-鄭胤永의 斥邪論을 中心으로-(『吳世昌敎授華甲紀念韓國近現代史論叢』, 1995년 12월 8일)
-斥邪運動의 연구성과와 과제(『韓國史論』25, 國史編纂委員會, 1995년 12월 30일)
-崔漢綺의 社會思想(『震檀學報』81, 震檀學會, 1996년 6월 30일)
-위정척사운동(『한국근대사강의』, 한울아카데미, 1997년 2월 28일)
-朝鮮後期  壤趙氏의 官歷과 政治活動(『春川世居氏族 壤趙氏淮陽公派硏究』, 1997년 6월 15일)
-18세기 湖洛論辨의 爭點과 性格(『朝鮮時代의 社會와 思想』朝鮮社會硏究會, 1998년 4월 17일)
-崔漢綺의 生涯와 學問遍歷(『東洋哲學硏究』18, 東洋哲學硏究會, 1998년 6월 2일)
-崔충의 九齋과 儒學思想(『史學志』31, 檀國大學校史學會, 1999년 2월)
-定齋學派의 형성과 위정척사운동(『한국근현대사연구』10, 한국근현대사연구회, 1999년 6월)
-任憲晦와 그 學脈의 사상과 행동(『韓國學報』96, 1999, 9월)
-개화사상의 발전(『신편한국사』38, 국사편찬위원회, 1999년)
-최한기의 삶과 학문편력(『최한기의 철학과 사상』철학과 현실사, 1999년)
-기측체의에 대하여(『문헌과 해석』 2000년 봄호)
-새로 발굴된 자료를 통해본 혜강의 기학(『혜강 최한기』청계, 2000년)
-19세기초 安東儒林의 儒會와 그 活動(『李樹健敎授停年紀念 韓國中世史論叢』, 2000년 8월)
-19세기 安東儒林의 學脈과 思想(『大東文化硏究』38,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0년 6월)
-鶴峯 金誠一과 安東지역의 退溪學脈(『韓國의 哲學』28,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0년 12월)
-崔漢綺의 사회경제적 처지와 현실인식(『韓國學報』101, 2000년 12월)
-退溪의 心性理氣論과 그 사상사적 위치(『退溪學報』109, 2001년 4월)
-18세기 기호학계의 학설논쟁(『전통과 현대』, 2001년 여름호)
-가학의 형성과 계승(『영양 주실마을』, 안동대 안동문화연구소 편, 예문서원, 2001년 12월 24일)
-19세기 江右學者들의 學問動向(『南冥學硏究』11, 2001년 12월 31일)
-朴世和의 사상과 현실인식(『제천의병의 이념적 기반과 전개』(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학술총서, 이회문화사, 2002년, 공저)
-학봉 김성일의 학문성향과 역사의식(『민족문화』25, 2002년 12월)
-개화파의 현실인식과 개화운동(『한국민족운동사연구』, 나남출판, 2003년 3월 21일)
-19세기 영남유림의 강회와 학술활동(『조선시대 사회의 모습』, 집문당, 2003년)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10.29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