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희곡개론]The Glass Menagerie에 나타나는 인간에 대한 희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현실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주인공들
2. 등장인물들의 인간적인 모습
3. 인간에 대한 희망

Ⅲ. 결론

본문내용

ns [. . .]. (7. 168)
이 장면에서 그녀가 내적으로 급격한 성장을 했음을 알 수 있으며, 그런 로라의 변화는 그녀가 더 이상 유리 동물원의 세계에만 갇혀 있지 않고 밖으로 나갈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을 강하게 암시해 준다. 그리고 유니콘의 뿔이 떨어져 나가서 보통 말들과 어울리게 될 것이라고 하는 로라의 말은 이 작품 속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대사 중의 하나다. 등장인물들 중에서 가장 심한 현실 부적응의 경향을 보이던 로라가 자신이 남과 다르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갖게 된다는 것은 다른 등장인물들의 현실극복 가능성을 더욱 신빙성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가장 폐쇄적이던 그녀조차도 현실에 적응하려 노력할 것이라는 암시는 이 작품 속에 담긴 작가의 인간에 대한 희망을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또한 아만다의 경우에는 그녀가 탐에게 생계유지를 전적으로 의존하던 것과는 달리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다른 부인들에게 전화하여 잡지 구독을 권하며 집을 방문한 짐에게 자신의 화려했던 과거는 다 지난 일이라고 말하는데, 이를 통해 아만다가 생계를 위해 그동안 지켜오던 고상한 태도를 포기하고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manda: Gone, gone, gone. All vestige of gracious living! Gone completely! (6. 128)
그리고 로라가 다리를 저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작은 결함이 있을 뿐이라며 현실을 왜곡하여 받아들이던 그녀가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 탐에게 화를 내는 장면에서는 드디어 자신이 남편에게 버림받았고, 딸은 절름발이라는 사실을 직시하는 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Amanda: Don't think about us, a mother deserted, an unmarried sister who's crippled and has no job! (7. 188)
그리고 짐이 떠난 후 로라를 따뜻하게 감싸는 모습에서 그녀도 조금씩 지나가 버린 귀족사회에 대한 애착과 우아함을 추구하는 자세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그녀의 경우도 상당히 희망적이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이 작품 속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현실 부적응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은 그들의 노력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너무 급격히 사회가 변해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과거 농경사회의 생활습관과 가치관에 익숙한 등장인물들이 갑자기 도래한 산업화 사회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그 속에서 인생의 낙오자처럼 실패를 거듭하고 어려움을 겪는 모습은 현대인들에게도 공감을 준다. 왜냐하면 오늘날에는 쏟아져 나오는 수많은 정보와 신기술을 신속하게 받아들이고 습득하지 못하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시대에 뒤처지고 말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늘날 하루가 다르게 급속히 변해 가는 사회 속에서 그 속도에 따라가지 못하고 헤매는 사람들처럼 이 작품 속의 주인공들도 농경 중심의 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해 가는 과도기 속에서 그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것일 뿐이다.
그리고 등장인물들이 서로에게 보여주는 인간미 넘치는 태도와 현실에 적응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희망적인 결말은 작품 속에서 작가가 궁극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 암울한 현실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나약한 인간의 모습이 아니라, 그런 나약함을 서로의 사랑과 도움으로 극복하고 현실의 어려움을 헤쳐나가기 위해 노력하는 인간의 현실극복 가능성에 대한 희망이었음을 느끼게 해준다. 그리고 그러한 희망을 통해 윌리암스가 염세적이고 비관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랑을 지니고 있었던 작가였음을 알 수가 있다.
Works Cited
Ⅰ. Primary Source
Williams, Tennessee. The Glass Menagerie. 서울: 시사영어사, 1994.
Ⅱ. Secondary Sources
곽종태.「유리동물원: 갈등의 수레바퀴」.『영남저널』6 (1995): 1-31.
김윤철.「Tennessee Williams, 寫實과 상징의 공존」.『영미 극작가론』. 서울: 문학세
계사, 1987: 330-347.
안필규.「Tennessee Williams의 작품에 나타난 환상의 비극」.『영어영문학 연구』.
22 (1982): 1-17.
이형식.『현대 미국 희곡론』. 서울: 신아사, 1995: 75-108.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11.17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3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