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분석 감상문] 존 말코비치 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2.1 자아 분열
2.2 인간의 잠재적 욕구
2.3 SEXUALITY
2.4 자아 정체성

결론

본문내용

체성을 찾은 것이다.
반면에 크레이그는 어떠한가? 크레이그가 영화에 처음 나올 때 지극히 평범하고 착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러다가 우연히 취직하러 들어간 회사에서 맥신이라는 여자를 보고 한눈에 반해버린다. 맥신을 처음 만나본 이후로 크레이그는 맥신을 차지하기 위해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게 되는데 심지어 맥신과 하루밤 지새우기 위해 자신의 아내인 라티를 원숭이가 있는 철창 우리에 가두고 총기를 위협해서 맥신을 속이고 그녀와 하루밤을 보내게 된다. 처음에 착하게 나오는 크레이그가 왜 그렇게 변하게 되었을까? 이유는 단 한가지 맥신이라는 여자 때문이다. 여기에서 맥신의 역할은 크레이그의 욕망의 대상, 즉 게임으로 따지면 즐거움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이그의 모습은 흡사 게임중독증 환자와 비슷하다. 게임중독증 환자가 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 보면 게임에 접하기 전에는 지극히 평범한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다가 게임을 우연히 접하게 되었는데 그 게임이 주는 재미에 빠져 버린 나머지 게임에 점점 중독되어 가고 더 나아가서 학교에서 돌아온 뒤에는 한시라도 게임을 하지 않으면 못살고 가상 현실과 실제 현실을 착각해서 게임에서의 자신의 캐릭터가 죽었다는 이유만으로 그 캐릭터를 죽인 사람을 찾아가 심한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프로 게이머와 게임 중독증 환자와 거의 차이점이 없어 보인다고 반문하면서 크레이그나 라티나 둘다 비슷한 거 아니냐하고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확실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다. 물론 게임을 즐기는 것에는 공통점을 보이나 게임 중독증 환자는 즐거움만을 추구한 나머지 자신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질 않는다. 그들에게 존재하는 것은 오직 게임을 즐기는 현재 뿐이다. 하지만 프로게이머는 게임을 즐기긴 하지만 게임 중독증 환자와는 달리 미래에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즉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3.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에는 단순히 자아 정체성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SEXUALITY, 인간의 잠재적 욕구, 자아 분열 등 여러 가지 인간의 모습을 담아 내고 있다. 따라서 " 존 말코비치 되기" 라는 영화는 블랙코미디로 가볍게 웃어 넘기기에는 우리에게 전해 주는 메시지가 결코 단순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 영화를 통해 잠시나마 우리 인간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갖을 수 있어서 좋았다.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0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